이 글에서는 영칙의례를 통해 태종∼세종대에 『세종실록』 오례 성립을 위한 의주 정비의 노력이 있었고, 미진한 부분을 보완한 『국조오례의』의 편찬으로 조선 국가의례가 완성되었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039281
2022
-
900
KCI등재
학술저널
75-101(27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영칙의례를 통해 태종∼세종대에 『세종실록』 오례 성립을 위한 의주 정비의 노력이 있었고, 미진한 부분을 보완한 『국조오례의』의 편찬으로 조선 국가의례가 완성되었다...
이 글에서는 영칙의례를 통해 태종∼세종대에 『세종실록』 오례 성립을 위한 의주 정비의 노력이 있었고, 미진한 부분을 보완한 『국조오례의』의 편찬으로 조선 국가의례가 완성되었다는 조선 초 예제 성립의 기존 인식에 대해 재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조선 초 거행된 영칙의례에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었다. 첫째, 영칙의례는 편의적으로 거행되었다. 조선에서 영칙의례를 예제적으로 더욱 올바르고 치밀하게 정비하기 위해 꾸준한 노력을 계획적으로 진행한 흔적은 없었다. 의례 거행 당시의 상황이 일반적 기준에 적합하면 그대로 거행하였고, 그렇지 않다면 적합하지 않은 규정과 절차를 수정하였다. 둘째, 오례의에 편제된 「영칙서의」는 영칙의례 절차의 표준을 보여주는 지침이었을 뿐, 절대 불변의 완성형이 아니었다. 이들 의주는 의한 글자도 추가하거나 삭제하면 안 되는 것이 아니었고, 언제든 그 글자 그대로 의례를 행할 수 있을 만큼 예외적 상황까지 포괄하고 있는 것도 아니었다. 「영칙서의」는 의례 거행시에 변수가 발생한다면 그 상정 의도를 헤치지 않는 선에서 언제든 변용될 수 있었다. 조선은 분명히 고도로 세련된 의주로써 오례의를 편찬하였다. 다만 그 과정은 이미 계획되고 설정된 완성형에 도달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의례 거행 때마다 전례를 고찰하고 수정하였던 순간순간을 수렴하는 진행형이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revious studies tend to talk about the completion of national rite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n terms of developmentalism. This explanation is not unreasonable to discuss the overall process of establishing the Joseon national Rites. However, have...
Previous studies tend to talk about the completion of national rite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n terms of developmentalism. This explanation is not unreasonable to discuss the overall process of establishing the Joseon national Rites. However, have all national rites been completed through a developmental proces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analyze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under the theme of the protocol of receiving Chikseo(迎勅儀禮).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rotocol of receiving Chikseo hel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can be newly explained with two characteristics. First, Joseon Dynasty created a new procedure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at the time of the protocol. Second, 「Yeong-chikseoui」(「迎勅書儀」) in the Five Rites(五禮儀) was only a guideline containing the standard of the protocol procedure, and was never an immutable completion. As such, the publication of the Five Rites was not carried out as a developmental process of reaching the already planned and set completion typ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문식, "조선시대 國家典禮書의 편찬 양상" 한국학중앙연구원 (21) : 79-104, 2009
2 김해영, "조선 초기 禮制 연구와 『國朝五禮儀』의 편찬" 조선시대사학회 (55) : 41-80, 2010
3 임민혁, "조선 초기 국가의례와 왕권 - 『국조오례의』를 중심으로 -" 역사실학회 (43) : 45-82, 2010
4 강제훈, "조선 「世宗實錄」 「五禮」의 편찬 경위와 성격" 한국사학회 (107) : 169-227, 2012
5 윤승희, "고려 말 명 사신 영접의례의 성립- 迎大明賜勞使儀와 迎大明無詔勅使儀를 중심으로-" 한국중세사학회 (55) : 571-599, 2018
6 "高麗史"
7 "朝鮮王朝實錄"
8 유바다, "朝鮮 初期 迎詔勅 관련 儀註의 성립과 朝明關係" 한국역사민속학회 (40) : 123-160, 2012
9 정동훈, "宣德帝의 말과 글: 서울과 북경에서 바라본 황제의 두 얼굴" 규장각한국학연구원 (87) : 61-85, 2019
10 "大明集禮"
1 김문식, "조선시대 國家典禮書의 편찬 양상" 한국학중앙연구원 (21) : 79-104, 2009
2 김해영, "조선 초기 禮制 연구와 『國朝五禮儀』의 편찬" 조선시대사학회 (55) : 41-80, 2010
3 임민혁, "조선 초기 국가의례와 왕권 - 『국조오례의』를 중심으로 -" 역사실학회 (43) : 45-82, 2010
4 강제훈, "조선 「世宗實錄」 「五禮」의 편찬 경위와 성격" 한국사학회 (107) : 169-227, 2012
5 윤승희, "고려 말 명 사신 영접의례의 성립- 迎大明賜勞使儀와 迎大明無詔勅使儀를 중심으로-" 한국중세사학회 (55) : 571-599, 2018
6 "高麗史"
7 "朝鮮王朝實錄"
8 유바다, "朝鮮 初期 迎詔勅 관련 儀註의 성립과 朝明關係" 한국역사민속학회 (40) : 123-160, 2012
9 정동훈, "宣德帝의 말과 글: 서울과 북경에서 바라본 황제의 두 얼굴" 규장각한국학연구원 (87) : 61-85, 2019
10 "大明集禮"
11 李範稷, "國朝五禮儀의 成立에 대한 一考察" 122 : 1989
고구려 태조대왕과 신대왕 王系에 대한 재검토 : 초기 王系의 복원을 통한 왕실교대와 국내천도 시기의 탐색
초·중등 역사교과서의 삼국 시대 영역 표기에 대한 검토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5-3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외대사학 -> 역사문화연구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5 | 0.75 | 0.6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6 | 0.49 | 1.216 | 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