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401년(廣開土王10年)부터 404年(廣開土王13年)까지 동아시아의 정세속에서, 고구려의 동향과 대처를 분석했다. 이를 위해, 고구려와 국경을 접한 後燕의 정지척 정세와 後燕과 北魏...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741721
201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97-320(2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401년(廣開土王10年)부터 404年(廣開土王13年)까지 동아시아의 정세속에서, 고구려의 동향과 대처를 분석했다. 이를 위해, 고구려와 국경을 접한 後燕의 정지척 정세와 後燕과 北魏...
이 논문은 401년(廣開土王10年)부터 404年(廣開土王13年)까지 동아시아의 정세속에서, 고구려의 동향과 대처를 분석했다. 이를 위해, 고구려와 국경을 접한 後燕의 정지척 정세와 後燕과 北魏와의 관계, 後秦과 北魏의 전쟁을 살펴보았다, 또한 한반도에 있던 百濟· 新羅의 관계를 규명하면서, 倭의 帶方지역에 대한 침입을 검토하였다. 다음은 논문의 중요한 내용이다. (1) 401년-402년에, 북중국의 강자인 北魏에 대해 後秦과 柔然이 대결하는 상황이 전개되었다. 이러한 정세 속에서, 고구려는 402년 5월에 후연의 宿軍을 공격해 함락시켰다. 이 때, 북위는 후진·유연과 전쟁을 하고 있었다. 따라서 후연은 적대국인북위를 의식하지 않고 전쟁을 할 수 있는 환경이 되었다. 그럼에도 후연은 고구려에 대해 반격을 할 수 없었다. 이 점은 후연의 내적인 혼란에 기인하는 것이었다. 후연은 401년 8월, 慕容盛이 시해되며 심각한 상황에 처해 있었다. 또한 후연에서는 402년11월, 石城令高和가 반란을 일으켜, 궁전이 약탈당했다. 결국 401년-402년 후연의 내정 혼란은 고구려가 숙군 성을 공격해 차지할 수 있는 주요한 배경이 되었다. (2) 403년에 한반도에서는 백제가 신라를 침공하였다. 이에 따라 고구려는 주적인백제에 대한 경계수위를 낮출 수 있게 되었다. 또한 403년-404년에, 後燕主慕容熙는 龍騰苑을 만들고 逍遙宮을 지으며 민심을 잃고 국력을 피폐시켰다. 더욱이 404년에 있은 모용희의 遊전으로 백성들이 고통을 받았으며, 士卒로 호랑이와 이리에게 죽은 자와 凍死者가 五千餘人인이었다. 고구려는 이 틈을 타, 다시 404년 11월에 후연을 공격하였다. 결국 고구려의 공격은 후연주 모용희의 실정과 깊은 관련이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고구려는 404년에 帶方지역(帶方界)에 침입한 倭를 궤멸시켰다. 이것은 고구려가 서북쪽에서 일어난 후연의 혼란과 한반도에서의 백제· 신라 간의 대립으로 인해, 그 군사력을 왜 격멸에 집중시킬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oguryo(高句麗) was facing a chance to take advantage of the new era. during 401 A. D.~402 A. D., Goguryo(高句麗) and Later-Yan(後燕) shared a common border. At this time, the ruler of Later-Yan, Moyongsung(慕容盛) was killed by the revolt....
Goguryo(高句麗) was facing a chance to take advantage of the new era. during 401 A. D.~402 A. D., Goguryo(高句麗) and Later-Yan(後燕) shared a common border. At this time, the ruler of Later-Yan, Moyongsung(慕容盛) was killed by the revolt. Moyonghee(慕容熙) ascended the throne. The royal authority in Later-Yan was shaken by the revolt. Internal insecurity in the Later-Yan gave advantage to Goguryo. A great change occurred in the East Asia in 402 A.D. Power dynamics in the East Asia was divided into Northern Wei(北魏) and Later-Qin(後秦). And Jou-Jan(柔然) had sided with the Later-Qin in a military alliance. Later-Qin and Northern Wei fought a fierce battle from may to October in 402 A. D. Jou-Jan supported Later-Qin in the militarily at this time. In May A. D 402, Goguryo attacked Sukgoon(宿軍) in Later-Yan. The governor of Pyungju(平州), Moyonggui(慕容歸) of Later-Yan fled, abandoning the castle. Later-Yan did not strike back to Goguryo in A. D 402. And Goguryo attacked Later-Yan in november A. D 404 once more. Because Later-Yan was going through a political confusion at this time. Moyonghee built giant garden and palace. People of Later-Yan suffered the tyranny. The decline of Later-Yan appeared during Moyonghee’s reign. What’s more, Later-Yan was not connected with Later-Qin and Jou-Jan. Later-Yan was isolated in the East Asia. These situations leads to the triumphs of Goguryo.
고전소설 무덤 소재의 현대적 전승 양상과 의미 -<만복사저포기>와 <영혼은 호수로 가잠든다>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