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有孔廣口小壺 · 筒形器臺 新論 = A New Perspective in Understanding Jar With Hole and Cylindrical Shaped Pottery Stand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ttempts to show the use and function of jar air hole and cylindrical-shaped pottery stand that are excavated throughout the 4C~6C Baekje and Youngsanriver basin area. It also tries to discover the backgrounds of rituals related to the use ...

      This paper attempts to show the use and function of jar air hole and cylindrical-shaped pottery stand that are excavated throughout the 4C~6C Baekje and Youngsanriver basin area. It also tries to discover the backgrounds of rituals related to the use of the potteries. The findings suggest that jar with hole is a ceremonial pottery, thorough which the spirit comes in and goes out at the moment of ritual rather than a kettle for carrying alcohol. Cylindrical shaped pottery stand, at the same time, carries the same use and function as jar with hole, rather than being used as a prop that supports the container.
      These potteries were greatly influenced by celadon porcelain jar, popular in western and eastern Jin period in ancent China, and were adapted throughout 4C~6C Baekje and Youngsanriver basin area. The ancient Chinese celadon porcelain jar carried the same ritual function as the two potteries previouly discussed. The “Haso-u(はそう)”, cylindrical shaped pottery stand, and decorative stoneware in ancient Japan during the Kohun period in ancient Japan, are all in the same shape while they possess the same use and function. The two potteries reflect the Taoistic ritual idea popular in the corresponding era. There are two types of cylindrical shaped pottery stand were used in the rituals held in the dominions of Baekje, either having the holed jar or not. However, jar with hole is not found by itself. Meanwhile, Daegaya, which was adjacent to and influenced by Baekje dominion, thus used cylindrical shaped pottery stand with a holed jar. On the other hand, Sogaya, which was close to Youngsanriver basin, had cylindrical shaped pottery stand with no holed jar, but the jar with hole was put on top of it. No cylindrical shaped pottery stand is found throughout Youngsanriver basin, while only jar with hole is found.
      On the whole, ritual potteries of each region show commonalities as well as differences. This implies that Baekje, Youngsanriver basin, Daegaya, and Sogaya all shared similar ritual culture, but each formed distinct ancestral rites area at the same tim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4~6세기 영산강유역과 가야남부를 중심으로 출토되는 특징적인 토기인 유공광구소호(有孔廣口小壺)는 祭儀 時에 술을 따르는 주기(注器)로 인식해 왔다. 그 원류는 일본 고분시대‘はそう’...

      4~6세기 영산강유역과 가야남부를 중심으로 출토되는 특징적인 토기인 유공광구소호(有孔廣口小壺)는 祭儀 時에 술을 따르는 주기(注器)로 인식해 왔다. 그 원류는 일본 고분시대‘はそう’에서 구하거나, 백제에 수입되어 사용되던 중국 兩晋代의 계수호(鷄首壺)에서 구하였다. 백제와 가야권역에서 출토되는 통형기대는 단순한 그릇받침으로 이해하였다. 그러나 두 토기의 本領인 祭器 기능에 천착한 논의는 이루어지지 못한 나머지 이 토기의 용도·기능과 그 사회 사상적 의미 파악에 태생적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 유공광구소호는 적은 용량의 동체부, 正置가 어려운 둥근 바닥, 과장된 구경부와 장식, 無把手 등 따르는 주기로서 부적합한 구조이다. 백제와 가야지역의 핵심 祭器인 호부통형기대(壺附筒形器臺) 상부에 붙은 壺와 같을 뿐만 아니라, 중국 後漢代∼兩晋代에 유행하였던 陶器 ․ 靑瓷罐에 붙은 小壺, 일본 고분시대‘はそう’와 裝飾附須惠器에 붙은 小壺와도 같아 그 용도와 기능, 계통이 밀접한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백제와 가야 통형기대는 수발부통형기대(受鉢附筒形器臺)와 상부에 유공광구소호 ․ 장경소호 등이 올려진 형태인 호부통형기대 등 두 유형이 있다. 전자는 분리형, 후자는 일체형으로 사용 방법에 차이가 있으나, 같은 용도 ․ 기능을 가진 祭器이다. 특히 완성 형태의 祭器인 호부통형기대와 유공광구소호는 다른 모습이지만, 유공광구소호를 공유하고 있어 같은 용도와 기능을 가진 祭器임이 논증되었다. 이 두 기종의 핵심 요소인 유공광구소호의 원류는 당시 백제와 밀접하게 교류했던 중국 三國~兩晉代 호족 무덤에 부장된, 이른바 魂甁 ․ 神享 ․ 穀倉罐 등으로 불리는 陶器罐 ․ 靑瓷罐에서 구할 수 있으며, 도교적 제의관념이 반영되어 있었다. 이 기물에 부착된 장경소호 또는 유공광구소호는 백제 ․ 가야 ‧ 영산강유역의 호부통형기대의 호형부와 유공광구소호와 같다. 이로써 백제와 영산강유역, 가야권역에 공통적이면서도 배타적으로 분포하는 유공광구소호와 통형기대는 각종 제의에 사용된 핵심 祭器로서, 제의 대상인 亡者의 魂靈 또는 (鬼)神이 들어와 안거하는‘憑几’이자 神主단지로 파악되었다. 그런데 백제권역에서는 두 유형의 통형기대 모두가 사용된 제의형태에서 한성기 후반~웅진기를 거치면서 호부통형기대 중심의 제의형태로 수렴되어 갔으며, 백제와 인접한 대가야권역에서는 백제의 영향으로 호부통형기대를 사용하는 제의 형태였지만, 영산강유역과 접경한 가야남부에서는 수발부통형기대와 유공광구소호가 조합된 제의형태였다. 영산강유역은 발형기대만 확인될 뿐, 통형기대는 全無하여 다른 제의형태가 상정되었다. 이와 같이 각 지역 간에 祭器의 공통점과 차이점이 함께 나타나는 것은 백제 ․ 영산강유역 ․ 대가야 ․ 소가야권역이 유사하면서도 독자적인 제의권을 형성하고 있었기 때문으로 이해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방유리, "利川 雪城山城 出土 百濟 器臺 硏究" 한국문화사학회 (19) : 7-21, 2003

      2 謝明良, "六朝穀倉罐三綜述" 109 : 1992

      3 "禮記"

      4 한지선, "한성백제기 기대연구 -풍납토성 출토 원통형기대와 상협하광형기대를 중심으로-" 국립중앙박물관 18 : 2012

      5 윤태중, "풍수지리학의 혈의 사상에 관한 연구" 대구한의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5

      6 국립김해박물관, "특별전 가야의 그릇받침" 국립김해박물관 1999

      7 박천수, "특별전 가야의 그릇받침" 국립김해박물관 1999

      8 한지수, "중국 육조의 도자" 국립공주박물관 2011

      9 노미선, "유공소호" 국립광주박물관 ․ 대한문화유산연구센터 2011

      10 기노시타 와타루, "유공소호" 대한문화유산연구센터 2011

      1 방유리, "利川 雪城山城 出土 百濟 器臺 硏究" 한국문화사학회 (19) : 7-21, 2003

      2 謝明良, "六朝穀倉罐三綜述" 109 : 1992

      3 "禮記"

      4 한지선, "한성백제기 기대연구 -풍납토성 출토 원통형기대와 상협하광형기대를 중심으로-" 국립중앙박물관 18 : 2012

      5 윤태중, "풍수지리학의 혈의 사상에 관한 연구" 대구한의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5

      6 국립김해박물관, "특별전 가야의 그릇받침" 국립김해박물관 1999

      7 박천수, "특별전 가야의 그릇받침" 국립김해박물관 1999

      8 한지수, "중국 육조의 도자" 국립공주박물관 2011

      9 노미선, "유공소호" 국립광주박물관 ․ 대한문화유산연구센터 2011

      10 기노시타 와타루, "유공소호" 대한문화유산연구센터 2011

      11 서현주, "유공소호" 진인진 2011

      12 이공범, "위진남북조사" 지식산업사 2003

      13 서현주, "영산강유역 삼국시대 토기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14 서현주, "영산강유역 고대문화의 성립과 발전"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07

      15 야마다 구니카즈, "신라 토우" 국립경주박물관 1997

      16 신인주, "신라 상형 주구부토기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3

      17 노중국, "백제사회사상사" 지식산업사 2010

      18 서성훈, "백제 기대의 연구"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11 : 1980

      19 나혜림, "백제 기대의 변천과 기능" 한신대학교 대학원 2011

      20 문화재관리국, "무령왕릉" 1973

      21 白須淨眞, "권영필 교수 정년퇴임 기념논문집" 2007

      22 이현숙, "고구려의 약재무역과 의학" 2012

      23 박승규, "가야토기 양식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0

      24 박천수, "가야토기" 진인진 2010

      25 王至高, "風納土城의 세 가지 문제에 대한 試論" 百濟學會 2012

      26 田辺昭三, "須惠器大成" 角川書店 1981

      27 金廷鶴, "韓國の考古學" 河出書房新社 1972

      28 崔昌祚, "靑鳥經 ․ 錦經" 民音社 1994

      29 황용훈, "靈巖 內洞里甕棺墓調査報告" 경희대학교박물관 1974

      30 김정학, "雄川貝塚硏究"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10 (10): 1967

      31 윤무병, "連山 新興里 百濟古墳과 그 出土遺物"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7 · 8 : 1975

      32 "通典"

      33 "越絶書"

      34 "論語"

      35 山田邦和, "裝飾須惠器總攬 -裝飾須惠器の基礎的硏究 3-" 古代學協會 2 : 1992

      36 間壁幔子, "裝飾須惠器の小像群(製作の意圖と背景" 倉敷考古館 20 : 1988

      37 柴桓勇夫, "裝飾須惠器の器種と分布について" 愛知縣陶磁資料館 3 : 1984

      38 山田邦和, "裝飾須惠器の分類と編年 下 -裝飾須惠器の基礎的硏究 2-" 古代學協會 41 (41): 1989

      39 山田邦和, "裝飾須惠器の分類と編年 上 -裝飾須惠器の基礎的硏究 1-" 古代學協會 41 (41): 1989

      40 鄭求福, "百濟武寧王陵" 충청남도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1991

      41 한지수, "百濟 風納土城 출토 施釉陶器 연구 -경당지구 196호 유구 출토품과 중국 자료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백제연구소 (51) : 1-39, 2010

      42 小池寬, "瓦衣千年" 森 郁夫先生還曆記念論文集刊行會 1999

      43 문동석, "漢城百濟의 茶文化와 茶確" 백제연구소 (56) : 1-26, 2012

      44 "淮南子"

      45 沈作霖, "浙江紹興鳳凰山西晋永嘉七年墓" (6) : 1991

      46 梁志明, "浙江紹興官山香西晋墓" (6) : 1991

      47 張志新, "江蘇吳縣獅子山西晉墓淸理簡報" 1980

      48 임창순, "武寧王陵" 文化財管理局 1974

      49 權五榮, "東南文化" 2011

      50 成正鏞, "東南文化" 南京博物院 2005

      51 김원룡, "新羅土器" 悅話堂 1981

      52 朴天秀, "新羅伽倻地域の首長墓における筒形器臺" 考古學硏究會 10 (10): 1994

      53 신인주, "新羅 注口附容器에 대한 硏究·有孔廣口小壺와의 比較·檢討를 중심으로"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02 (02): 79-108, 1998

      54 "左傳"

      55 後藤守一, "圖說 日本文化史大系" 小學館 1958

      56 "名醫別錄"

      57 이한상, "公州 艇止山遺蹟의 編年과 性格" 국립공주박물관 1997

      58 中國硅酸鹽學會, "中國陶瓷史" 文物出版社 1987

      59 "中國古今地名大辭典"

      60 임영진, "中國 六朝磁器의 百濟 導入背景" 한국고고학회 (83) : 4-47, 2012

      61 謝明良, "三國西晉時期越窯靑瓷所見的佛像裝飾" 3 (3): 1985

      62 "三國志"

      63 "三國史記"

      64 한지선, "『風納土城』XIII" 국립문화재연구소 2012

      65 朱伯謙, "『中國陶瓷全集』4 三國 ․ 兩晉南北朝" 錦繡出版 2000

      66 朱伯謙, "『中國陶瓷全集』3" 錦繡出版 2000

      67 長谷部樂爾, "『世界陶磁全集』10" 小學館 1982

      68 이유진, "5∼6세기 유공광구호의 변천과 분포" 영남고고학회 (46) : 33-68, 2008

      69 酒井淸治, "5·6세기의 토기에서 본 羅州勢力" 백제연구소 (39) : 63-83,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2 0.82 0.8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7 1.84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