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협력교수가 학습장애 학생과 비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Co-teaching Practices on Academic and Social Achievements for Students with and without Learning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313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increasing number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education settings and emphasis of improving the quality of inclusive education program, the likelihood that the collaboration between general and special educators are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for applying inclusive education successfully. This study was to obtain information about co-teaching that provides direct education support to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One special educator, two general educators, and 18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co-teaching practices for 1year were interviewed, observed, and teachers' co-teaching journals were collected. Overall, teachers and students had positive perceptions of co-teaching practices in their classrooms. They reported that co-teaching practices were beneficial to teachers and students alike and that their idea about teaching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had been positive since they used co-teaching. These results seem to support the notion that co-teaching i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includ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education classrooms and for providing appropriate supports to them in these settings. But the academic effects of co-teaching revealed differently among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mplications for practices considering our education system were addressed to develop more appropriate co-teaching model for includ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번역하기

      With increasing number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education settings and emphasis of improving the quality of inclusive education program, the likelihood that the collaboration between general and special educators are considered as an i...

      With increasing number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education settings and emphasis of improving the quality of inclusive education program, the likelihood that the collaboration between general and special educators are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for applying inclusive education successfully. This study was to obtain information about co-teaching that provides direct education support to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One special educator, two general educators, and 18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co-teaching practices for 1year were interviewed, observed, and teachers' co-teaching journals were collected. Overall, teachers and students had positive perceptions of co-teaching practices in their classrooms. They reported that co-teaching practices were beneficial to teachers and students alike and that their idea about teaching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had been positive since they used co-teaching. These results seem to support the notion that co-teaching i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includ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education classrooms and for providing appropriate supports to them in these settings. But the academic effects of co-teaching revealed differently among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mplications for practices considering our education system were addressed to develop more appropriate co-teaching model for includ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특수교육 대상학생이 일반학급에서의 통합되는 숫자가 증가하고 특수교사의 교실현장에서의 실질적인 지원이 요구되는 시점에서 협력교수는 통합교육의 질적인 측면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방법이라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 1년간 협력교수를 실시하고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학습장애 학생과 비장애 학생의 학업 및 사회성에 관한 효과와 문제점들을 알아내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교육현장에 적합한 협력교수 모형 개발의 기초 자료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참여교사와 학생간의 심층면담, 협력교수 관찰, 협력교수 협의록, 학생수행 평가 자료가 적용되었다. 연구결과 협력교수는 전반적으로 교사들의 추가적인 지원과 다양한 수업활동을 통해 교과기술의 향상과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으나 학생의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학업 수행능력의 향상이 다르게 보고되었고 특히, 장애학생의 경우 개별적인 학습지원의 시간이 부족하였다. 협력교수의 문제점으로는 공동계획 시간의 부족과 협력교사의 자질 및 기술이 제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협력교수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해 현장과 학계 준비해야하는 실제에 관한 시사점들이 제시되었다.
      번역하기

      최근 특수교육 대상학생이 일반학급에서의 통합되는 숫자가 증가하고 특수교사의 교실현장에서의 실질적인 지원이 요구되는 시점에서 협력교수는 통합교육의 질적인 측면을 향상시킬 수 ...

      최근 특수교육 대상학생이 일반학급에서의 통합되는 숫자가 증가하고 특수교사의 교실현장에서의 실질적인 지원이 요구되는 시점에서 협력교수는 통합교육의 질적인 측면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방법이라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 1년간 협력교수를 실시하고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학습장애 학생과 비장애 학생의 학업 및 사회성에 관한 효과와 문제점들을 알아내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교육현장에 적합한 협력교수 모형 개발의 기초 자료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참여교사와 학생간의 심층면담, 협력교수 관찰, 협력교수 협의록, 학생수행 평가 자료가 적용되었다. 연구결과 협력교수는 전반적으로 교사들의 추가적인 지원과 다양한 수업활동을 통해 교과기술의 향상과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으나 학생의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학업 수행능력의 향상이 다르게 보고되었고 특히, 장애학생의 경우 개별적인 학습지원의 시간이 부족하였다. 협력교수의 문제점으로는 공동계획 시간의 부족과 협력교사의 자질 및 기술이 제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협력교수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해 현장과 학계 준비해야하는 실제에 관한 시사점들이 제시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승숙, "학습장애 등 경도장애학생 통합교육을 위한 초등학교 내 협력교수의 실제: 모형과 전략의 함의"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5 (5): 323-352, 2004

      2 교육인적자원부, "특수교육연차보고서 in:2008년 정기국회 보고자료" 교육인적자원부 2008

      3 국립특수교육원, "통합학급 운영실태 연구" 국립 특수교육원 2003

      4 최승숙, "통합학급 내 장애학생의 교수-학습을 위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협력모형과 실제" 3 (3): 117-137, 2006

      5 이소현,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교사-일반교사간 협력모형:구조적 측면을 중심으로" 7 : 67-87, 2000

      6 최승숙,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실에서의 협력교수 실제" 한국특수교육학회 39 (39): 269-292, 2004

      7 강영심,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의 협력교수에 대한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 17 (17): 33-47, 2002

      8 유장순, "초등학교 통합하급에서 협력교수 실행에 관한 협력교사들의 인식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8 (8): 1-27, 2006

      9 박소영, "장애유아를 위한 협력교수의 수행요소와 전제조건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9 (9): 173-201, 2007

      10 Villa, R. A., "guide to co-teaching; Practical tips for facilitating student learning" Corwin Press 2004

      1 최승숙, "학습장애 등 경도장애학생 통합교육을 위한 초등학교 내 협력교수의 실제: 모형과 전략의 함의"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5 (5): 323-352, 2004

      2 교육인적자원부, "특수교육연차보고서 in:2008년 정기국회 보고자료" 교육인적자원부 2008

      3 국립특수교육원, "통합학급 운영실태 연구" 국립 특수교육원 2003

      4 최승숙, "통합학급 내 장애학생의 교수-학습을 위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협력모형과 실제" 3 (3): 117-137, 2006

      5 이소현,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교사-일반교사간 협력모형:구조적 측면을 중심으로" 7 : 67-87, 2000

      6 최승숙,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실에서의 협력교수 실제" 한국특수교육학회 39 (39): 269-292, 2004

      7 강영심,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의 협력교수에 대한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 17 (17): 33-47, 2002

      8 유장순, "초등학교 통합하급에서 협력교수 실행에 관한 협력교사들의 인식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8 (8): 1-27, 2006

      9 박소영, "장애유아를 위한 협력교수의 수행요소와 전제조건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9 (9): 173-201, 2007

      10 Villa, R. A., "guide to co-teaching; Practical tips for facilitating student learning" Corwin Press 2004

      11 Dieker,L.A.,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middle and high school co-taught team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46 : 14-23, 2001

      12 Murawski, W. W., "Tips and strategies for co-teaching at the secondary level" 36 (36): 52-58, 2004

      13 Austin,V.L., "Teachers' beliefs about co-teaching" 22 (22): 245-255, 2001

      14 Bogdan, R. C.,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Methods(4th ed.)" Allyn and Bacon 2003

      15 Sparadley,J.P., "Participant Observation" Holt, Rinehart & Winston 1980

      16 Rea, P. J., "Outcomes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inclusive and pullout program" 68 : 203-222, 2002

      17 Gerber, P. J., "Making collaborative teaching more effective for academically able students; Recommendations for implementation and training" 23 : 229-236, 2000

      18 Lerner,J., "Learning disabilities: Theories, diagnosis, and teaching strategies" Houghton Mifflin Company 2003

      19 Friend, M., "Interactions: Collaboration skills for school professional (4th ed.)" Longman 2003

      20 Klinger, J. K., "Inclusion or Pull-out: Which do student prefer?" 31 (31): 148-158, 1998

      21 Wilson. G. L.,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students' perceptions of co-teaching: Implications for secondary-level literacy instruction" 22 : 205-225, 2006

      22 Garrigan, C. M., "Enhancing literacy through co-teaching" 8 : 56-60, 2005

      23 Pugach, M. C., "Curriculum trends, special education and reform: Refocusing the conversation" Teachers College Press 1995

      24 Bauwens, J., "Cooperative teaching; A model for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integration" 10 (10): 17-22, 1989

      25 Salend, S. J., "Cooperative teaching: The voices of two teachers" 18 (18): 3-11, 1997

      26 Weiss, M. P., "Congruence between roles and actions of secondary special educators in co-taught and special education settings" 36 (36): 58-68, 2002

      27 Weiss, M. P., "Conditions for co-teaching: Lessons from a case study" 26 (26): 27-41, 2003

      28 Walther-Thomas, C., "Collaboration for inclusive education: Developing successful programs" Allyn and Bacon 2000

      29 Rice, D., "Co-teaching in secondary schools: Teacher reports of developments in Australian and American classroom classrooms" 15 (15): 190-197, 2000

      30 McHatton, P. A., "Co-teaching at the pre-service level: Special Education Majors Collaborate with English Education Majors" 31 (31): 118-131, 2008

      31 Rice, N., "Co-instructing at the secondary level; Strategies for success" 39 (39): 12-18,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9 1.565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