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사람 태아 지라에서 혈구형성에 관한 연구 = Hemopoiesis in Human Fetal Sple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714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사람 태아의 지라를 대상으로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해 지라에서 혈구형성이 일어나는 가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태아 지라에서는 적혈구형성에서 볼 수 있는 미분화세포인 전적혈구...

      사람 태아의 지라를 대상으로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해 지라에서 혈구형성이 일어나는 가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태아 지라에서는 적혈구형성에서 볼 수 있는 미분화세포인 전적혈구모세포를 포함해 염기호성적혈구 모세포, 뭇염색성적혈구모세포, 호산성적혈구모세포를 모두 관찰할 수 있었다. 이외에도 호산성적혈구모세포에서 핵의 탈출, 유사분열중인 적혈구모세포가 있었다. 하나의 세포가 적혈구모세포 집단을 에워싸고 있는 적혈구모세포섬과 유사한 형태의 구조가 있었으며, 이러한 구조는 태아 간 적혈구형성에서 보이는 적혈구모세포섬과 매우 유사한 구조로서 지라에서도 적혈구모세포섬이 형성되어 적혈구형성을 이루고 있었다. 거대핵세포 계통의 세포들도 지라에서 관찰할 수 있었으나 더욱 발달된 거대핵세포나 유사분열중인 거대핵모세포를 관찰할 수 없었으며, 혈소판을 만들어내는 세포질의 분리현상을 볼 수 없었다. 지라의 기능으로 볼 때 본 실험에서 관찰한 거대핵모세포는 순환중인 거대핵모세포가 단순히 지라에서 걸려있는 여과기능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이곳에서 증식하여 혈구형성에 관여하는지는 분명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사람의 태아 지라에서도 적혈구형성이 일어나고 있으며, 그 방식은 골수나 간에서 일어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된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혈소판형성에 관여하는 거대핵세포의 형성의 유무는 확실하지 않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hemopoiesis in human fetal spleen was studied with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here were undifferentiated proerythroblast, basophilic erythroblast, polychromatophilic erythroblast, and acidophilic erythroblast. Besides, enucleated nuclei an...

      The hemopoiesis in human fetal spleen was studied with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here were undifferentiated proerythroblast, basophilic erythroblast, polychromatophilic erythroblast, and acidophilic erythroblast. Besides, enucleated nuclei and mitoses were present. Groups of erythroblastic cells were surrounded by certain cell. The structure was identical to erythropoietic island found in fetal liver. So, erythropoisis in spleen was developing in a pattern similar to fetal liver. Megakaryobalst were found in spleen, but there was no mature cells, cells in mitosis nor platelet formation. It was not clear whether megakaryoblast in circulation was trapped in spleen or participated in megakaryopoiesis. In summary, erythropoiesis took place in fetal spleen in a pattern similar to fetal liver and bone marrow. But it was not certain whether megakaryopoiesis took place in fetal splee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