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質問 類型이 읽기 이해에 미치는 影響 =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Types of Questions on Read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283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의 目的은 外國語로서의 韓國語 읽기 교육에서 質問 類型이 읽기 結果에 어떤 影響을 미치는지를 實驗을 통해 살펴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效率的인 읽기 교육을 위한 論議의 土臺를 마련하고자 함이다. 먼저 전반적인 읽기 교육에 관한 기존의 논의를 바탕으로 읽기 교육에서 質問 類型은 어떻게 분류되고 있고 본고에서 연구 대상으로 다룰 解釋的 質問과 推論的 質問 두 가지 유형에 대해 논하였다. 실험 결과 읽기 교육에서 推論 中心의 質問을 제시하는 것이 학습자들로 하여금 중심 내용의 파악이나 전체적인 이해, 글을 읽는 목적의 이해, 중심 내용 파악, 이해 점검과 같은 戰略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에 보다 效果的인 질문임을 檢證하였다. 본고는 읽기 敎材나 읽기 수업 중 敎師가 學習者들에게 제시할 수 있는 질문에 대한 指針을 제공해 주었다는 데 意義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고의 目的은 外國語로서의 韓國語 읽기 교육에서 質問 類型이 읽기 結果에 어떤 影響을 미치는지를 實驗을 통해 살펴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效率的인 읽기 교육을 위한 論議의 土臺를 ...

      본고의 目的은 外國語로서의 韓國語 읽기 교육에서 質問 類型이 읽기 結果에 어떤 影響을 미치는지를 實驗을 통해 살펴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效率的인 읽기 교육을 위한 論議의 土臺를 마련하고자 함이다. 먼저 전반적인 읽기 교육에 관한 기존의 논의를 바탕으로 읽기 교육에서 質問 類型은 어떻게 분류되고 있고 본고에서 연구 대상으로 다룰 解釋的 質問과 推論的 質問 두 가지 유형에 대해 논하였다. 실험 결과 읽기 교육에서 推論 中心의 質問을 제시하는 것이 학습자들로 하여금 중심 내용의 파악이나 전체적인 이해, 글을 읽는 목적의 이해, 중심 내용 파악, 이해 점검과 같은 戰略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에 보다 效果的인 질문임을 檢證하였다. 본고는 읽기 敎材나 읽기 수업 중 敎師가 學習者들에게 제시할 수 있는 질문에 대한 指針을 제공해 주었다는 데 意義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types of questions on reading ability through the experimental process when the Korean is dealt with as a foreign language in reading education and, based on the results drawn from, to suggest the framework of the discussion for efficient reading education. To do so, this paper firstly describes the way the types of questions in the reading education are classified referring to existing discussions about the general reading instruction theory and explains two types of research interests; questions of understanding about text and inferential questions, in detail.
      The research hypothesis the inferential questions draws out more positive impact on the reading comprehension than the analytical questions is assumed and the two-time experiment with 51 students is conducted to confirm the hypothesis. The results show the inferential questions appear effective so that the students apply such reading strategies as core or comprehensive understanding, goal of the reading, and comprehension monitoring.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question guideline for the teachers to utilize during the reading clas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types of questions on reading ability through the experimental process when the Korean is dealt with as a foreign language in reading education and, based on the results drawn from, to sugg...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types of questions on reading ability through the experimental process when the Korean is dealt with as a foreign language in reading education and, based on the results drawn from, to suggest the framework of the discussion for efficient reading education. To do so, this paper firstly describes the way the types of questions in the reading education are classified referring to existing discussions about the general reading instruction theory and explains two types of research interests; questions of understanding about text and inferential questions, in detail.
      The research hypothesis the inferential questions draws out more positive impact on the reading comprehension than the analytical questions is assumed and the two-time experiment with 51 students is conducted to confirm the hypothesis. The results show the inferential questions appear effective so that the students apply such reading strategies as core or comprehensive understanding, goal of the reading, and comprehension monitoring.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question guideline for the teachers to utilize during the reading clas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승혜, "한국어 평가론" 태학사 227-, 2006

      2 김중섭, "한국어 읽기 교육의 이론과 실제 in: 세기 한국어교육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129-, 2002

      3 이정희, "최고급 단계 내용중심 한국어 읽기 수업의 실제*"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8 : 201-222, 2003

      4 이재승, "읽기수업과 읽기평가를 질문유형" 배달말교육학회 15 : 1998

      5 송휘재, "읽기교수법" 한국문화사 2007

      6 김하령, "읽기과정 중 과제 유형과 텍스트 유형이 한국어 읽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대 2008

      7 김봉순, "읽기 평가에 관한 비판적 고찰" 45 : 132-, 1992

      8 박수자, "읽기 지도의 이해" 서울대 출판부 58-, 2001

      9 정길정, "외국어 읽기 지도의 이론과 실제" 한국문화사 2000

      10 조정순, "영어 읽기 지도 in: 현대 영어교육의 이해와 전망" 서울대 출판부 137-, 2000

      1 강승혜, "한국어 평가론" 태학사 227-, 2006

      2 김중섭, "한국어 읽기 교육의 이론과 실제 in: 세기 한국어교육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129-, 2002

      3 이정희, "최고급 단계 내용중심 한국어 읽기 수업의 실제*"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8 : 201-222, 2003

      4 이재승, "읽기수업과 읽기평가를 질문유형" 배달말교육학회 15 : 1998

      5 송휘재, "읽기교수법" 한국문화사 2007

      6 김하령, "읽기과정 중 과제 유형과 텍스트 유형이 한국어 읽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대 2008

      7 김봉순, "읽기 평가에 관한 비판적 고찰" 45 : 132-, 1992

      8 박수자, "읽기 지도의 이해" 서울대 출판부 58-, 2001

      9 정길정, "외국어 읽기 지도의 이론과 실제" 한국문화사 2000

      10 조정순, "영어 읽기 지도 in: 현대 영어교육의 이해와 전망" 서울대 출판부 137-, 2000

      11 최연희, "영어 읽기 교육론" 한국문화사 127-, 2006

      12 신헌재, "구성주의와 읽기.쓰기" 박이정 36-, 2004

      13 이은주, "고급 단계 한국어 교재에 사용된 읽기 활동 유형 분석" 이화여대 2008

      14 윤웅진, "EFL 독자를 위한 읽기 지도의 이론과 실제" 한국문화사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9-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9 0.942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