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화적 상상력과 상상의 공동체 -대-한-민-국의 다중성에 대한 비판적 탐색- = The Imagination of Culture and the Imagined Communities -A Critical Approach of the Multiplicity of Dae-Han-Min-Gu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70262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ultural contents and implications of `Dae-Han-Min-Guk`. People has been used to `Dae-Han-Min-Guk` as a slogan after the Korea-Japan world cup competitions in 2002 rather than the name of Korea. `Dae-Han-Min-Guk` has become the popular song`s title since the middle of 1980s, which had been sung widely, and a cheering slogan in the international competitions. It seemed to make an imagined cultural community by spreading the slogan. Owing to its emptiness and superficiality in substantiality, however, it has been used as a tool of commercial interests and of regulating cultural imagination. Moreover it has become a political rhetoric for the mass mobilization of political manipulation. In an imagined community people`s cultural imagination is restricted by a political rhetoric, and their sense of unity is just a false feeling, though recognized as the highest virtue, like in the authoritarian regime. A sense of shared commitment prevails over a civility that puts much value upon diversity and coexistence in the context of democratic culture. This paper emphasizes that one basic condition of the strong democracy is the development of culturally affluent civil society. This study finds that `Dae-Han-Min-Guk` has a tendency to make people fall into an insane shows of national identities fabricated predominantly. Insofar as `Dae-Han-Min-Guk` creates an false community in which we are all the one, it is very difficult to construct a democratic society in which people care each other on the basis of diversities and differencies in class, gender, nationality, and cultur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ultural contents and implications of `Dae-Han-Min-Guk`. People has been used to `Dae-Han-Min-Guk` as a slogan after the Korea-Japan world cup competitions in 2002 rather than the name of Korea. `Dae-Han-M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ultural contents and implications of `Dae-Han-Min-Guk`. People has been used to `Dae-Han-Min-Guk` as a slogan after the Korea-Japan world cup competitions in 2002 rather than the name of Korea. `Dae-Han-Min-Guk` has become the popular song`s title since the middle of 1980s, which had been sung widely, and a cheering slogan in the international competitions. It seemed to make an imagined cultural community by spreading the slogan. Owing to its emptiness and superficiality in substantiality, however, it has been used as a tool of commercial interests and of regulating cultural imagination. Moreover it has become a political rhetoric for the mass mobilization of political manipulation. In an imagined community people`s cultural imagination is restricted by a political rhetoric, and their sense of unity is just a false feeling, though recognized as the highest virtue, like in the authoritarian regime. A sense of shared commitment prevails over a civility that puts much value upon diversity and coexistence in the context of democratic culture. This paper emphasizes that one basic condition of the strong democracy is the development of culturally affluent civil society. This study finds that `Dae-Han-Min-Guk` has a tendency to make people fall into an insane shows of national identities fabricated predominantly. Insofar as `Dae-Han-Min-Guk` creates an false community in which we are all the one, it is very difficult to construct a democratic society in which people care each other on the basis of diversities and differencies in class, gender, nationality, and cul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진덕규, "한국정치와 환상의 늪" 학문과 사상사 2006

      2 이선향, "한국의 근대화 과정과 공공성의 문제" 한국사회역사학회 7 (7): 109-134, 2005

      3 최장집, "한국민주주의 무엇이 문제인가" 생각의 나무 2008

      4 크라우치,콜린, "포스트 민주주의: 민주주의 시대의 종말" 미지북스 2008

      5 성경륭, "지방분권형 국가만들기" 나남 2003

      6 이금연, "이주여성의 결혼과 가족. 국경과 인종, 피부색과 문화의 차이를 넘어평등과 연대를 향해" 이주노동자지원단체연대 2003

      7 한국일보, "월드컵좌담:국민열광의 실체와 국가적 과제는"

      8 서울신문, "월드컵을 넘어서 - 길거리 응원을 사회통합 힘으로"

      9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소득분배지표"

      10 김은경, "성매매 실태 및 경제규모에 관한 전국조사"

      1 진덕규, "한국정치와 환상의 늪" 학문과 사상사 2006

      2 이선향, "한국의 근대화 과정과 공공성의 문제" 한국사회역사학회 7 (7): 109-134, 2005

      3 최장집, "한국민주주의 무엇이 문제인가" 생각의 나무 2008

      4 크라우치,콜린, "포스트 민주주의: 민주주의 시대의 종말" 미지북스 2008

      5 성경륭, "지방분권형 국가만들기" 나남 2003

      6 이금연, "이주여성의 결혼과 가족. 국경과 인종, 피부색과 문화의 차이를 넘어평등과 연대를 향해" 이주노동자지원단체연대 2003

      7 한국일보, "월드컵좌담:국민열광의 실체와 국가적 과제는"

      8 서울신문, "월드컵을 넘어서 - 길거리 응원을 사회통합 힘으로"

      9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소득분배지표"

      10 김은경, "성매매 실태 및 경제규모에 관한 전국조사"

      11 앤더슨,베네딕트, "상상의 공동체: 민족주의의 기원과 전파에 대한 성찰" 나남 2002

      12 남구현,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메이데이 2008

      13 박노자, "길들이기와 편가르기를 넘어: 한국 근대 100년을 말한다" 푸른역사 2009

      14 김현미, "국제결혼의 전 지구적 젠더 정치학: 한국 남성과 베트남 여성의 사례를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70) : 10-37, 2006

      15 박세일, "공동체 자유주의-이념과 정책" 나남 2008

      16 바버, 벤자민, "강한 시민사회 강한 민주주의" 일신사 2006

      17 신용하, "‘민족’의 사회학적 설명과 ‘상상의 공동체론’ 비판" 한국사회학회 40 (40): 32-58, 2006

      18 Hobsbawm,Eric, "The Invention of Tra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

      19 Baber,Benjamin, "Strong Democracy. 20th anniversary edi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3 0.83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3 0.76 1.277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