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유아특수교육교사 양성대학 「현장실습」과목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멘토링 모형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ive Field-Based Practicum through the Development of Mentoring Model for th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 Education Progra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291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eacher preparation program is to teach students become competent teachers. Becoming a competent teacher is a complex process and needs comprehensive preparations which includes various courses for learning basic theory and content knowledge and systematic field-based practicum and student teaching for observing and experiencing the real practices in the field. Since learning to teach is better learned by doing in the field-based practicum, most teacher preparation program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field-based practicum and explores the better ways to improve their field-based practicum. Many teacher educators have been interested and researched the art of mentoring between the cooperating teachers in the field and the practicum students as one of the effective ways of improving practicum program outco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entoring model for the field-based practicum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 preparation program. First, the researchers first examined the problems and challenges in the current field-based practicum and student teaching programs in Korea. Second, the related research on mentoring was analyzed expensively in order to find alternative ways to improve field-based practicum that can be adapted in Korea. Finally, the mentoring model for the field-based practicum in early childhood teacher preparation program was suggested. The mentoring model in this study emphasizes the collaboration among university faculty including professors and supervisors in university, mentor teachers in the field, and the practicum students by utilizing practicum seminar in the university, constant feedback through informal dialogue and practicum conference in the field, the work of supervisors as bridge builders and the use of internet for the open-minded communic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eacher preparation program is to teach students become competent teachers. Becoming a competent teacher is a complex process and needs comprehensive preparations which includes various courses for learning basic theory and content know...

      The purpose of teacher preparation program is to teach students become competent teachers. Becoming a competent teacher is a complex process and needs comprehensive preparations which includes various courses for learning basic theory and content knowledge and systematic field-based practicum and student teaching for observing and experiencing the real practices in the field. Since learning to teach is better learned by doing in the field-based practicum, most teacher preparation program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field-based practicum and explores the better ways to improve their field-based practicum. Many teacher educators have been interested and researched the art of mentoring between the cooperating teachers in the field and the practicum students as one of the effective ways of improving practicum program outco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entoring model for the field-based practicum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 preparation program. First, the researchers first examined the problems and challenges in the current field-based practicum and student teaching programs in Korea. Second, the related research on mentoring was analyzed expensively in order to find alternative ways to improve field-based practicum that can be adapted in Korea. Finally, the mentoring model for the field-based practicum in early childhood teacher preparation program was suggested. The mentoring model in this study emphasizes the collaboration among university faculty including professors and supervisors in university, mentor teachers in the field, and the practicum students by utilizing practicum seminar in the university, constant feedback through informal dialogue and practicum conference in the field, the work of supervisors as bridge builders and the use of internet for the open-minded communi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교사양성 프로그램의 목적은 유능한 교사가 되도록 학생들을 가르치는 것이다. 대부분의 교사양성 프로그램들은 현장중심 현장실습의 중요성과 현장중심 현장실습 증진을 위한 보다 나은 방법들의 탐색을 강조한다. 많은 교사 교육가들은 멘토링의 기술, 현장 교사간의 협력, 교생실습과 같은 현장실습 프로그램 결과 증진에 효과적인 방법들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연구해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특수교육 교사 양성 프로그램에서의 현장중심 현장실습을 위한 멘토링 모형 개발이다. 첫째, 연구자들은 먼저 현재 우리나라 현장 실습 및 교육 실습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둘째, 우리나라에 적용하여 현장실습 개선을 할 수 있는 방안 모색을 목적으로 멘토링 관련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아특수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현장중심 실습과목을 위한 멘토링 모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멘토링 모형은 교수를 포함한 대학 구성원 대학의 수퍼바이저 현장 멘토교사 간의 협력, 대학의 현장실습 세미나를 통한 교육실습, 현장에서의 격없는 대화와 현장실습 협의회를 통한 지속적인 피드백, 가교자 역할의 수퍼바이저, 열린 의사소통을 위한 인터넷의 활용 등을 강조한다.
      번역하기

      교사양성 프로그램의 목적은 유능한 교사가 되도록 학생들을 가르치는 것이다. 대부분의 교사양성 프로그램들은 현장중심 현장실습의 중요성과 현장중심 현장실습 증진을 위한 보다 나은 ...

      교사양성 프로그램의 목적은 유능한 교사가 되도록 학생들을 가르치는 것이다. 대부분의 교사양성 프로그램들은 현장중심 현장실습의 중요성과 현장중심 현장실습 증진을 위한 보다 나은 방법들의 탐색을 강조한다. 많은 교사 교육가들은 멘토링의 기술, 현장 교사간의 협력, 교생실습과 같은 현장실습 프로그램 결과 증진에 효과적인 방법들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연구해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특수교육 교사 양성 프로그램에서의 현장중심 현장실습을 위한 멘토링 모형 개발이다. 첫째, 연구자들은 먼저 현재 우리나라 현장 실습 및 교육 실습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둘째, 우리나라에 적용하여 현장실습 개선을 할 수 있는 방안 모색을 목적으로 멘토링 관련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아특수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현장중심 실습과목을 위한 멘토링 모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멘토링 모형은 교수를 포함한 대학 구성원 대학의 수퍼바이저 현장 멘토교사 간의 협력, 대학의 현장실습 세미나를 통한 교육실습, 현장에서의 격없는 대화와 현장실습 협의회를 통한 지속적인 피드백, 가교자 역할의 수퍼바이저, 열린 의사소통을 위한 인터넷의 활용 등을 강조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계신, "포트폴리오 체제를 활용한 현장실습이 예비유아특수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44 (44): 1-31, 2005

      2 정정진, "특수교사 양성체제의 발전방향" 19 (19): 83-111, 2002

      3 조운주, "초임교사의 교직입문을 지원하는 장학요원의 역할과 자질" 19 (19): 150-167, 1998

      4 김기룡,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적응을 위한 교내커플제 장학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5 박순자, "초등학교 교육실습의 효율화 방안" 14 (14): 181-201, 2001181-201

      6 설양환, "인터넷과 교육" 교육과학사 1997

      7 권혜진, "유치원 초임교사와 경력교사의 협력적 멘토링 적용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8 홍은경, "유치원 초임교사를 위한 멘토링 과정"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3

      9 이애리, "유치원 실습지도교사와 교육실습생의 의사소통 과정 및 내용분석" 22 (22): 213-224, 2001

      10 허계형, "유아특수교육 실습실태조사와 개선방향" 36 (36): 149-163, 2001

      1 박계신, "포트폴리오 체제를 활용한 현장실습이 예비유아특수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44 (44): 1-31, 2005

      2 정정진, "특수교사 양성체제의 발전방향" 19 (19): 83-111, 2002

      3 조운주, "초임교사의 교직입문을 지원하는 장학요원의 역할과 자질" 19 (19): 150-167, 1998

      4 김기룡,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적응을 위한 교내커플제 장학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5 박순자, "초등학교 교육실습의 효율화 방안" 14 (14): 181-201, 2001181-201

      6 설양환, "인터넷과 교육" 교육과학사 1997

      7 권혜진, "유치원 초임교사와 경력교사의 협력적 멘토링 적용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8 홍은경, "유치원 초임교사를 위한 멘토링 과정"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3

      9 이애리, "유치원 실습지도교사와 교육실습생의 의사소통 과정 및 내용분석" 22 (22): 213-224, 2001

      10 허계형, "유아특수교육 실습실태조사와 개선방향" 36 (36): 149-163, 2001

      11 백유순, "유아특수교사 양성대학의 현장실습 과목에 대한 현장교사와 재학생간의 요구도 비교" 20 (20): 159-180, 2004

      12 조부경, "유아교육 실습지도를 위한 대학과 유치원 협력 모형 개발" 24 (24): 47-76, 2004

      13 조운주, "유아교육 실습지도교사 인터넷 지원 프로그램 개발" 19 (19): 2002

      14 조운주, "유아교육 실습지도교사 교육프로그램 모형개발" 21 (21): 273-298, 2002

      15 조형숙, "유아교사를 위한 집단 멘토링의 의미탐색" 12 (12): 227-263, 2005

      16 류진희, "유아교사를 위한 교육실습과 교육활동" 양서원 2000

      17 박은혜, "유아교사교육에서 수업사례 활용에 대한 고찰" 19 (19): 61-78, 1999

      18 임정훈, "상호작용 관점에서 조망해 본 웹 기반 교육의 이론적 기저" 15 (15): 29-54, 1999

      19 이승복, "사범대학 교사양성교육과 교육실습" 12 : 2003

      20 임승렬, "발달초기 교사의 교육신념과 실제에 관한 연구 교육실습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24 : 221-235, 1995

      21 유흥옥, "반성적 사고에 기초한 집단 멘토링의 의미탐색" 9 (9): 257-277, 2005

      22 윤기옥, "반성적 교육실습 프로그램에 대한 협력교사 초임교사 교생의 지각분석" 14 (14): 317-345, 2001

      23 류재석, "멘토링 원리와 적용방법론" 한국멘토링 연구소 2001

      24 이현숙, "멘터의 기능이 초임교사의 교직적응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5 강숙희, "구성주의적 패러다임에 입각한 학습환경으로서의 매체의 활용" 13 (13): 117-131, 1997

      26 윤정일,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교사양성 체제의 발전방향" 학술대회 자료집 19 (19): 2002

      27 오선영, "교육실습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신념과 역할인식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7 (7): 69-91, 2003

      28 안효진, "교육실습상황에서 실습교사들이 느끼는 갈등과 그 의미에 대한 이해" 25 (25): 289-309, 2005

      29 김현숙, "교육실습 협력교사의 자질과 필수요건" 사회과교육 1999

      30 조인경, "교생들이 인식한 유치원 교육실습 지도교사의 역할과 수행"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1992

      31 Reiman, A. J, "교사 발달에 적합한 장학의 이론과 실제" 정민사. 1999

      32 Albrecht, B, "Wisconsin cooperative education state skill standards certificate program, Mentor training guide" Mentor training guide. 1996

      33 Pohlman, C, "Utilization of school-based professional service: An exploratory analysis of perceptions of mentor teacher and student teachers" 9 (9): 347-365, 1998

      34 Clift, "University Contributions to the education of teacher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2-36, 1986

      35 Martin. A, "Transformative Dimension of Mentoring: Implications for practice in the train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405-425, 1997

      36 Cross, R., "The role in utilizing the support system for the newly qualified teacher" 15 (15): 35-42, 1995

      37 Field, "The new role of the teacher-mentoring Teacher as Mentors" Falmer Press 63-78, 1994

      38 McDermott, P, "The influence of classroom practical experiences on student teachers thoughts about teaching" 46 (46): 184-191, 1995

      39 Bae, "The evolution of two student teachers' professional beliefs during their student teaching perio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 illi (illi): 1990

      40 Killian, "The effects of their preparation on the quality of student teaching experience" 1987

      41 Hagger, H, "The School Mentor Handbook: Essential skills and strategies for working with student teachers" Kogan Page. 1995

      42 Holloway. J. H, "The Benefits of Mentoring" 58 (58): 85-86, 2001

      43 Gray, "Synthesis of research on mentoring beginning teachers" 37-43, 1985

      44 Martin,S, "Support and challenge: Conflicting or complementary aspects of mentoring novice teachers?" 2 : 41-56, 1996

      45 Kyle, D. W, "Role of the mentor teacher : Insights, challenges, and implications" 74 (74): 14-109, 1999

      46 McIntyre, "Perspectives on School-Based Teacher Education" 1993

      47 Veenman, "Perceived problems of beginning teachers Review of Education Research" 143-178, 1984

      48 Whitaker, S. D, "Needs of beginn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26 (26): 106-117, 2003

      49 Bey, T, "Mentorships: Transferable transactions among teachers" 28 (28): 11-19, 1995

      50 Cuckle, P, "Mentoring student-teachers in schools: view, practices and access to ICT" 18 : 330-340, 2002

      51 White, M, "Mentoring induction principles and guidelines."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2001

      52 & Paker, "Mentoring in context A comparison of two US programs for beginning teachers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699-718, 1993

      53 Whitebook, M, "Mentoring for early childhood teacher and providers: Building upon extending tradition." 52 (52): 59-64, 1996

      54 Carter, M, "Mentoring and Beginning Teachers' Workplace Learning" 29 (29): 249-262, 2001

      55 "Mentoring among teachers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6-11, 1986

      56 Lowenhaupt, M. A, "Making student teaching work : Creating a partnership"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429-939, 1999

      57 Brennan, S, "Making a difference for student teachers thought the careful preparation of supervision. In. G. A. Slick(Ed), Making the difference for teachers: The field experience in actual practice" 93-102, 1995

      58 Maynard, "Learning to Teach and Model of mentoring Perspectives on School-Based Teacher Education" 69-85, 1994

      59 Joyce,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2-36, 1988

      60 Odell,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1992200-204

      61 Allen, D. D, "Inservice teacher mentoring aspring teachers." Mentoring and Tutoring 11 (11): 177-182, 2003

      62 Oh, D. M, "Impact of pre -service student teaching experience on urban school teachers" 31 (31): 82-97, 2005

      63 Cornell, C, "How mentor teachers perceive their roles and relationships in a field-based teacher training program." 124 (124): 401-411, 2003

      64 Guyton,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Macmillan 514-534, 1990

      65 Kossar, K, "Graduate practicum-special education assessment through portfolio development" 26 (26): 145-149, 2003

      66 Stokking, K, "From student to teacher: Reducing practice shock and early dropout in the teaching profession." 26 (26): 329-350, 2003

      67 Wade, R. C., "Empowerment in student teaching through community service learning" 36 (36): 184-191, 1997

      68 Denton, "Early field experience influence on performance in subsequent course-work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198219-22

      69 Mitchell, J, "Dimensions of mentoring relationships : benefits for mentors, paper presented at Practical Experiences in Professional Education(PEPE)." Conference 1997

      70 Collier, S. T, "Characteristics of reflective thought during the student teaching experience" 50 (50): 173-181, 1999

      71 Bullough, R. V, "Becoming a teacher: Self and the social location of teacher education, International Handbook of Teachers and Teaching" Klumer Academic Publisher 79-134, 1997

      72 Kilbourn, B, "Balancing feedback and inquiry: How novice observers(supervisors) learn from inquiry into their own practice" 20 (20): 298-318, 2005

      73 Erdman, "Assessing the purposes of early field experience program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7-31, 1983

      74 A, "An investigation of the determinants of successful assigned mentoring relationships" 457-479, 1988

      75 Stahlhut, R. G, "An examination of reflective thinking through a study of written journals, telecommunications, and personal conferences"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1997

      76 Koerner, "An Ambivalent participant in student teaching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6-56, 1992

      77 Schaffer, "A two-year analysis of classroom interaction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1992181-192

      78 McIntyre, "A response to the critics of field experience supervis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2-45, 1984

      79 Healy, "A definition to advance research and practice" 17-21,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08 1.40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