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 가장 넓은 면적으로 분포하는 활엽수림을 고부가가치 국산목재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임분 유형 구분, 생장특성 구명 등 다양한 분야로의 최적 수확시스템 확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170633
2019
-
500
학술저널
95-95(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국내에 가장 넓은 면적으로 분포하는 활엽수림을 고부가가치 국산목재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임분 유형 구분, 생장특성 구명 등 다양한 분야로의 최적 수확시스템 확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
국내에 가장 넓은 면적으로 분포하는 활엽수림을 고부가가치 국산목재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임분 유형 구분, 생장특성 구명 등 다양한 분야로의 최적 수확시스템 확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옹이, 부후와 같이 목재 자원으로써 가치를 낮추는 요인에 대해 미생물학적 접근법을 이용한 분석을 통해 목재품질 최적화라는 목표에 기여를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를 공시재료로 사용하였으며 부후, 변색, 옹이 등과 같이 결함이 생긴 피해목과 정상목을 각각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미생물 군집분석을 하였다. 군집분석은 곰팡이의 variation 구역인 ITS3-ITS4 구간을 이용하였으며, Miseq 시퀀서를 이용하여 염기서열을 확보한 후 데이터 분석으로 ‘문’ 과 ‘속’ 수준에서 조사하였다.
‘문’ 수준의 곰팡이 군집분석에서는 24개의 분류군이 조사되었으며, 우점은 Ascomycota (81.3 ~ 19.9%), Anthophyta (75.0 ~ 1.2%), Basidiomycota (38.9 ~ 0.75%), Fungi_p (21.9 ~ 0.38%), Fungi_uc (1.94 ~ 0%), Mucoromycota (1.5 ~ 0%), Plantae_p (1.27 ~ 0%)순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정상목 대비 피해목에서 Basidiomycota의 검출비율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는데, 이를 통해 Basidiomycota문에 속한 곰팡이들이 목재의 부후나 동공화에 영향을 주는 문임을 유추할 수 있었다.
‘속’ 수준의 곰팡이 군집분석 결과 627 분류군이 검출되었으며, Quercus (75.08 ~ 1.29%), Mycena (32.3 ~ 0%), Phaeoacremonium (36.2 ~ 0%), Pestalotiopsis (27.3 ~ 0.0009%), Ascomycota_g (19.7 ~ 0.23%), Fungi_g (21.5 ~ 0.17%), Biscogniauxia (28.08 ~ 0%), Ascocoryne (13.6 ~ 0%) 순으로 군집조성이 조사되었다. 특히 Mycena 속이 정상목보다 오염목에서 높은 비율로 검출된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사용된 공시재료인 신갈나무의 부후에 관련 있는 속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목재 자원의 가치를 낮추는 부후, 변색, 옹이의 발생에 관련된 미생물학적 원인을 나타내고 추후 부후기작 연구에 기초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목재 자원의 최적 수확시스템 확립에 기여할 수 있다.
< 구두-E-06 > 고밀도 무기질 재료를 기재로 사용한 바닥재의 바닥충격음 차단성능
< 구두-E-08 > Bio-Copolyester인 ECOZEN을 이용한 합성 목재 개발
< 구두-E-09 > 목재-마그네슘 적층복합재(WM Board)의 물리적 및 기계적 성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