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전시-P-84 > 국내산 적송 수피로부터 얻은 massonianoside B의 분리, 구조 동정 및 항산화 활성 평가 = < 전시-P-84 > Elucidation of chemical structure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assonianoside B isolated from the bark extracts of P inus densiflora Siebold & Z ucc.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706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적송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주정 추출물로부터 massonianoside B(MASOB)의 분리방법 및 구조규명과 더불어 in vitro 및 in vivo 항산화 활성 효과를 평가하였다. 소나무 수피...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적송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주정 추출물로부터 massonianoside B(MASOB)의 분리방법 및 구조규명과 더불어 in vitro 및 in vivo 항산화 활성 효과를 평가하였다. 소나무 수피를 40% 에탄올로 60℃에서 15시간 추출하였고, 여과 후 감압농축하여 조추출물을 획득하였다. 조추출물의 LC/MS 분석 결과, [M+Na]<sup>+</sup> 515 m/z의 리그난 글리코사이드로 추정되는 피크를 확인하였다.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단일성분의 분리 및 구조 동정 결과, MASOB (61 mg)로 확인하였으며, P. densiflora에서 처음 분리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MASOB의 경우 생리활성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여, in vitro 및 in vivo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ABTS assay를 이용하여 MASOB의 in vitro 항산화 활성을 평가한 결과, 20.49 uM의 IC<sub>50</sub>를 나타내 positive control로 사용한 trolox의 IC<sub>50</sub> 21.5 uM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DPPH assay에서는 IC<sub>50</sub> 232.4 uM으로 나타나 ABTS assay에서의 결과와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MASOB의 항산화 활성을 보다 명확히 검증하기 위하여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한 쥐에서의 in vivo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수컷 ICR 생쥐를 대상으로 평가한 in vivo test는 4주 동안 MASOB를 1 mg/kg BW의 농도로 경구투여 한 후, 시험 종료 1일 전 LPS를 투여하여 산화스트레스를 유도하였고, 24시간 후 희생하여 항산화 관련 인자들을 측정하였다. in vivo 항산화 활성 평가 결과, MASOB 투여군의 간 조직 총항산화능과 CAT, GPx 활성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MASOB 투여군 혈청 내 지질과산화 수준 및 SOD 활성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소나무 수피 주정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MASOB가 in vitro 및 in vivo test에서 뛰어난 항산화 활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