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상과 박태원 문학에 나타난 동경 번화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361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동경은 메이지유신 이후 동양 최대의 도시였으며, 특히 관동대지진 이후 긴자와신주쿠는 모더니티의 정점이자 근대적 삶이 상연되는 무대로 비쳐졌던 곳이다. 이글은 이상과 박태원이 동경 번화가를 재현한 작품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동경을 어떻게 대면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두 작가의 작품들을 연속선상에 놓인 텍스트로 보고 동시에 읽는 작업은 동경 번화가로 대표된 근대에 대한 식민지 시기 작가들의
      심화된 인식과 거기에 반응하는 대응양상을 꽤 넓은 차원에서 확인할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그 결과 다음의 점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록 두 명의 모더니즘 계열 작가들의 작품들에 국한되어 있지만, 여기에는 매혹적인 근대의 위력과 거기에 포섭됨, 근대의 어두운 측면과 그것에 대한 비판, 근대의 정체탐구와 근대와의 정면대결 등, 근대에 대한 심화된 인식과 여기에 반응하는 작가들의 대응방식을 꽤 넓은 차원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동경 번화가에 대한 두 작가의 인식과 대응방식의 차이가 서구를 정점으로 삼고 서구에 대한 모방욕망을
      추동시키는 발전사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점을 살필 수 있었다. 더불어 이 연구를 통해 박태원과 절친한 벗이면서도 라이벌 관계였던 이상이 그동안 박태원에게 전유당했던 동경을 재전유하기 위해 벌이는 쟁탈전의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제어: 이상, 박태원, 동경 번화가, 근대도시, 모조근대
      번역하기

      동경은 메이지유신 이후 동양 최대의 도시였으며, 특히 관동대지진 이후 긴자와신주쿠는 모더니티의 정점이자 근대적 삶이 상연되는 무대로 비쳐졌던 곳이다. 이글은 이상과 박태원이 동경...

      동경은 메이지유신 이후 동양 최대의 도시였으며, 특히 관동대지진 이후 긴자와신주쿠는 모더니티의 정점이자 근대적 삶이 상연되는 무대로 비쳐졌던 곳이다. 이글은 이상과 박태원이 동경 번화가를 재현한 작품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동경을 어떻게 대면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두 작가의 작품들을 연속선상에 놓인 텍스트로 보고 동시에 읽는 작업은 동경 번화가로 대표된 근대에 대한 식민지 시기 작가들의
      심화된 인식과 거기에 반응하는 대응양상을 꽤 넓은 차원에서 확인할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그 결과 다음의 점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록 두 명의 모더니즘 계열 작가들의 작품들에 국한되어 있지만, 여기에는 매혹적인 근대의 위력과 거기에 포섭됨, 근대의 어두운 측면과 그것에 대한 비판, 근대의 정체탐구와 근대와의 정면대결 등, 근대에 대한 심화된 인식과 여기에 반응하는 작가들의 대응방식을 꽤 넓은 차원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동경 번화가에 대한 두 작가의 인식과 대응방식의 차이가 서구를 정점으로 삼고 서구에 대한 모방욕망을
      추동시키는 발전사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점을 살필 수 있었다. 더불어 이 연구를 통해 박태원과 절친한 벗이면서도 라이벌 관계였던 이상이 그동안 박태원에게 전유당했던 동경을 재전유하기 위해 벌이는 쟁탈전의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제어: 이상, 박태원, 동경 번화가, 근대도시, 모조근대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사노 마사토, "<여행의 시대>로서의 1930년대 문학" 동아시아일본학회 3 : 2000

      2 吉見俊哉, "확장하는 모더니티" 소명출판 2007

      3 시나다 히로코, "최초의 모더니스트 정지용" 역락 2002

      4 이상, "증보 정본 이상문학전집 3―수필‧기타" 소명출판 2009

      5 이상, "증보 정본 이상문학전집 2―소설" 소명출판 2009

      6 이상, "증보 정본 이상문학전집 1―시" 소명출판 2009

      7 Vera Mackie, "제국의 수도, 모더니티를 만나다" 소명출판 2012

      8 Elise K. Tipton, "제국의 수도, 모더니티를 만나다" 소명출판 2012

      9 권은, "제국-식민지의 역학과 박태원의 ‘동경(東京) 텍스트’" 인문과학연구소 (41) : 353-384, 2014

      10 정지용, "정지용 전집 1―시" 민음사 2003

      1 사노 마사토, "<여행의 시대>로서의 1930년대 문학" 동아시아일본학회 3 : 2000

      2 吉見俊哉, "확장하는 모더니티" 소명출판 2007

      3 시나다 히로코, "최초의 모더니스트 정지용" 역락 2002

      4 이상, "증보 정본 이상문학전집 3―수필‧기타" 소명출판 2009

      5 이상, "증보 정본 이상문학전집 2―소설" 소명출판 2009

      6 이상, "증보 정본 이상문학전집 1―시" 소명출판 2009

      7 Vera Mackie, "제국의 수도, 모더니티를 만나다" 소명출판 2012

      8 Elise K. Tipton, "제국의 수도, 모더니티를 만나다" 소명출판 2012

      9 권은, "제국-식민지의 역학과 박태원의 ‘동경(東京) 텍스트’" 인문과학연구소 (41) : 353-384, 2014

      10 정지용, "정지용 전집 1―시" 민음사 2003

      11 허병식, "장소로서의 동경(東京) - 1930년대 식민지 조선작가의 동경표상" 한국문학연구소 (38) : 67-101, 2010

      12 이권희, "일본문학 속 에도‧도쿄 표상연구" 제이앤씨 2009

      13 손지연, "일본문학 속 에도‧도쿄 표상연구" 제이앤씨 2009

      14 김민수, "이상평전: 모조 근대의 살해자 이상, 그의 삶과 예술" 그린비 출판사 [서울] 2012

      15 조용만, "이상의 비련" 깊은샘 1991

      16 박태원, "이상의 비련" 깊은샘 1991

      17 나병철, "이상의 모더니즘과 혼성적 근대성의 발견" 한국문학연구학회 14 : 2000

      18 정하늬, "이상(李箱)의 <失花>에 나타난 도시 ‘동경(東京)’의 의미 연구" 한국현대문학회 (26) : 279-318, 2008

      19 고은, "이상 평전" 향연 2003

      20 김주연, "이상 문학에 있어서 성천 체험의 의미" 한국근대문학회 2 (2): 2001

      21 김윤식, "이상 문학 텍스트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22 박태원, "윤초시의 상경" 깊은 샘 1991

      23 오오무라 마스오, "윤동주와 한국문학" 소명출판 2001

      24 임지현, "오만과 편견" 휴머니스트 2003

      25 김미지, "언어의 놀이, 서사의 실험" 소명출판 2014

      26 김명주, "아쿠타가와 류노스케(芥川竜之介)와 이상(李箱)문학 비교 -도쿄(東京)를 중심으로-" 한국일본어교육학회 (44) : 193-215, 2008

      27 오선민, "식민지 지식인의 민족적 열등감과 보복심리" 구보학회 5 : 2010

      28 강소영, "식민지 문학과 동경(東京) -박태원의 「반년간」을 중심으로-"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19) : 377-395, 2011

      29 박태원,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문학과지성사 2005

      30 정재찬, "상호텍스트성에 기반한 문학교육의 실천" 한국독서학회 (21) : 111-160, 2009

      31 酒井直樹, "번역과 주체" 이산 2005

      32 강소영, "박태원의 일본 유학 배경" 구보학회 6 : 2011

      33 신형기, "박태원, 주변부의 만보객(漫步客)" 상허학회 26 : 229-262, 2009

      34 정현숙, "박태원 소설의 내부텍스트성(intratextuality)연구" 인문과학연구소 (27) : 281-300, 2010

      35 김정화, "박태원 소설에 나타난 동경 체험의 양상 고찰" 우리어문학회 (51) : 331-360, 2015

      36 최원식, "문학의 귀환" 창비 2001

      37 Edward Seidensticker, "도쿄이야기" 이산 1997

      38 田中硏之輔, "도쿄 스터디즈"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39 吉見後哉, "도쿄 스터디즈"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40 赤川學, "도쿄 스터디즈"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41 조용만, "그리운 그 이름, 이상" 지식산업사 2004

      42 정인택, "그리운 그 이름 이상" 지식산업사 2004

      43 김기림, "그리운 그 이름 이상" 지식산업사 2004

      44 김기림, "그리운 그 이름 이상" 지식산업사 2004

      45 김소운, "그리운 그 이름 이상" 지식산업사 2004

      46 문종혁, "그리운 그 이름 이상" 지식산업사 2004

      47 김향안, "그리운 그 이름 이상" 지식산업사 2004

      48 김옥희, "그리운 그 이름 이상" 지식산업사 2004

      49 박태원, "구보가 아즉 박태원일 때" 깊은샘 2005

      50 심경호, "교토(京都)학의 구상" 고려대학교 응용문화연구소 1 : 2007

      51 권은, "고현학과 산책자―박태원 창작방법의 비판적 고찰" 구보학회 9 : 2013

      52 사노 마사토, "李箱의 東京 체험 고찰" 현국현대문학회 7 :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9-05-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Center for Korean Studi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Korean Studies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9 0.89 0.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78 1.247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