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및 탈근대 사회구성주의가 공유해온 인간주의적 주체 관념과 자연/문화, 재현/물질 이원론을 넘어 물질성에 근거한 ‘포스트-휴먼 주체’로 ‘변신’을 사고할 계기를 제공하는 신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근대 및 탈근대 사회구성주의가 공유해온 인간주의적 주체 관념과 자연/문화, 재현/물질 이원론을 넘어 물질성에 근거한 ‘포스트-휴먼 주체’로 ‘변신’을 사고할 계기를 제공하는 신물...
근대 및 탈근대 사회구성주의가 공유해온 인간주의적 주체 관념과 자연/문화, 재현/물질 이원론을 넘어 물질성에 근거한 ‘포스트-휴먼 주체’로 ‘변신’을 사고할 계기를 제공하는 신물질론의 기초를 확인한다. 신물질론은 탈근대주의 ‘포스트’ 구성주의와는 달리 비-토대주의도 비-상대주의도 아닌 제3공간에서 변신의 형태학(morphology)을 탐색한다. 여기에 존재론적인 잠재적 ‘정동’의 능력이 작용하는 관계성의 권력 모델을 강조한 들뢰즈와 가타리의 ‘정동적전환’(affective turn)을 계승하여 성적 차이를 넘어 평등을 실현하는 확장된 젠더 이론을 모색한 여성주의 물질론의 역할이 중요하다. 다나 해러웨이의 물질론적 여성주의를 선두로, 사회적 구성보다는 사회적 생산에서 ‘행위자적 물질’의 상호작용을 강조한 카렌 바라드의 존재-인식론, 로지 브라이
도티의 실재론적 존재론과 포스트-휴먼 개념, 마누엘 데란다의 사회의 조직 및 배치물 이론은 기호와 물질, 담론성과 물질성을 혼종적 일원론으로 사유하며 신물질론의 기초를 제공한다. 그것은 추상적 경험론인 ‘실재론’에 입각하여 물질적 실체와 힘들을 기존 학문 분류방식을 탈영토화하여 ‘살아있는 힘’으로서 물질 뿐 아니라 물질-담론 및 물질-기호를 연결시킨다. 특히 ‘행위자’의 능력, 곧 사회적 세계를 생산하는 행동들을 인간에서 비-인간 및 무생물까지 확장시켜 비-일선적 방식으로 연결하고 관계들을 배치한 장소의 지형도(topography) 생성을 촉구한다. 변화하는 세계에서 상호
영향을 끼치는 물질적인 것과 사회적인 요소의 상호작용을 인정하고 미시적 행위자의 경험의 배치물에 초점을 두는 신물질론은, 4차 산업혁명론의 특징인 혼종적 물질성과 연관 가능성을 시론 할 계기를 제공한다.
주제어: 신물질론, 실재론, 정동적 전환, 여성주의 물질론, 4차 산업혁명론
참고문헌 (Reference)
1 Braidotti, Rosi, "포스트휴먼" 아카넷 2015-, 2013
2 이종관, "포스트 휴먼이 온다" 사월의 책 2017
3 Barad, Karen, "트랜스포지션: 유목적 윤리학" 문화과학사 2011
4 Deleuze, Gilles, "차이와 반복" 민음사 2004
5 Gregg, Melissa, "정동 이론 : 몸과 문화·윤리·정치의 마주침에서 생겨나는 것들에 대한 연구" 갈무리 2015
6 김재인, "인공지능의 시대, 인간을 다시 묻다 : 철학과 과학을 넘나드는 사고력 강의" 동아시아 2017
7 이화인문과학원, "인간과 포스트휴머니즘"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3
8 Haraway, D., "유인원, 사이보그 그리고 여자" 동문선 2002
9 Braidotti, Nomadic, "유목적 주체: 우리시대 페미니즘 이론에서 체현과 성차의 문제" 여이연 2004
10 Foucault, Michel, "안전, 영토, 인구: 콜레주드 프랑스 강의 1977-78년" 난장 2004
1 Braidotti, Rosi, "포스트휴먼" 아카넷 2015-, 2013
2 이종관, "포스트 휴먼이 온다" 사월의 책 2017
3 Barad, Karen, "트랜스포지션: 유목적 윤리학" 문화과학사 2011
4 Deleuze, Gilles, "차이와 반복" 민음사 2004
5 Gregg, Melissa, "정동 이론 : 몸과 문화·윤리·정치의 마주침에서 생겨나는 것들에 대한 연구" 갈무리 2015
6 김재인, "인공지능의 시대, 인간을 다시 묻다 : 철학과 과학을 넘나드는 사고력 강의" 동아시아 2017
7 이화인문과학원, "인간과 포스트휴머니즘"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3
8 Haraway, D., "유인원, 사이보그 그리고 여자" 동문선 2002
9 Braidotti, Nomadic, "유목적 주체: 우리시대 페미니즘 이론에서 체현과 성차의 문제" 여이연 2004
10 Foucault, Michel, "안전, 영토, 인구: 콜레주드 프랑스 강의 1977-78년" 난장 2004
11 김은주, "들뢰즈의 신체 개념과 브라이도티의 여성 주체" 한국여성철학회 20 : 65-94, 2013
12 Razzarato, Maurizio, "기호와 기계: 기계적 예속 시대의 자본주의와 비기표적 기호계 주체성의 생산" 갈무리 2017
13 Haraway, D., "겸손한 목격자.." 갈무리 2006
14 DeLanda, manuel, "강도의 과학과 잠재성의 철학- 잠재성에서 현실성으로" 그린비 2009-, 2002
15 Hinton, Peta, "’Situated knowledge’ and new materialism(s): Rethinking a politics of location" 25 (25): 2014
16 Dobrin, Sidney I., "Writing Posthumanism, Posthuman Writing" Parlor Press 2015
17 Sheridan, Susan, "Words and things: Words and Things: Some feminist debates on culture and materialism" 17 (17): 2002
18 Rahman, Monin, "What really matters?: the elusive quality of the material in feminist thought" 4 (4): 2003
19 Bennett, Jane, "Vibrant Matter: Towards an ecology of things" Duke U. P 2010
20 Grosz, E., "Time travels: Feminism, Nature, Power" Duke U. P 2015
21 Tuin, Iris van der, "The transversality of new materialism" 21 (21): 2010
22 Sullivan, Nikiki, "The somatechnics of perception and the matter of the non/human:A critical response to the new materialism" 19 (19): 2012
23 Irni, Sari, "The politics of materiality: Affective encounters in a transdisciplinary debate" 20 (20): 2013
24 Jagger, Gill, "The new materialism and sexual difference" 40 (40): 2015
25 DeLanda, Manuel, "The genealogy of morals: a neo-materialist interpretation"
26 Blaagaard, Bolette, "The Subject of Rosi Braidotti: Politics and Concepts" Bloomsbury Academics 2014
27 DeLanda, Manuel, "The New Materiality" 85 (85): 2015
28 Pfeifer, Geoff, "The New Materialism: Althusser, Badiou, and Zizek" Routledge 2015
29 Law, John, "The New Blackwell Companion to Social Theory" Blackwell 2009
30 Haraway, D., "The Companian Species Manifesto: Dog, People, and Significant Otherness" Prickly Paradigm Press 2003
31 Connoly, William E., "The 'new materialism' and the fragility of things" 41 (41): 2013
32 Ahmed, Sara, "Some preliminary remarks on the founding gestures of the 'New Materialism'" 15 (15): 2008
33 Fox, Nick J., "Sociology and the New Materialism" Sage 2017
34 Haraway, D., "Situated knowledges: The Science question in Feminism and the privuledge of partial perspective" 14 (14): 1988
35 Haraway, D., "SF: Science fiction, speculative fabulation, string figures, sofar" Acceptance speech fo Pilgrim Award
36 Clayton, Crokett, "Religion, Politics, and the Earth" Palgrave 2012
37 Latour, Bruno, "Reasssembling the Social: An introduction to actor-network theory" Oxford U. P 2005
38 Price-Robertson, Rhys, "Realism, materialism, and the assemblage: Thinking psychologically with Manuel DeLanda" 26 (26): 2015
39 Barad, K., "Posthumanist Performativity: toward and understanding of how matter comes to matter" 28 (28): 2003
40 Braidotti, Rosi, "Posthuman, all to human: towards a new process ontology" 23 (23): 2006
41 Asberg, Cecilia, "Post-humanities is a Feminist issue" 19 (19): 2011
42 Braidotti, Rosi, "Normadic theory : The portable Rosi Braidotti" Columbia U. P 2011
43 Lemke, Thomas, "New materialisms: Foucault and the ‘Government of Things" 32 (32): 2015
44 Davis, Noela, "New materialism and feminism's anti-biologism: A response to Sara Ahmed" 16 (16): 2009
45 Coole, D. H., "New Materialisms,: Ontology, Agency, and Politics" Duke U. P. 2010
46 Tuin, Iris van der, "New Materialism: Interview & Cartographies" Open Humanities Press 2012
47 Braidotti, Rosi, "Metamorphoses : Towards a Materialist Theory of Becoming" Polity Press 2002
48 Barad, Karen, "Meeting the universe Halfway: Quantum physics and the entanglement of matter and meaning" Duke U. P 2007
49 Orr, Jackie, "Materializing a Cyborg’s Manifesto" 40 (40): 2012
50 Alaimo, Stacy, "Material Feminisms" Indiana U. P 2008
51 Latour, Bruno, "Making things Public" MIT Press 2005
52 Lupton, D., "M-health and health promotion: The digital cyborg and surveillance society" 10 (10): 2012
53 Hemmings, Claire, "Generational dilemmas: A response to Iris van der Tuin's 'jumping generations': Second-and Third-wave feminist epistemology" 24 : 2009
54 Vincent, Bernadette Bensaude, "From self-organization to self- assembly: a new materialism" 38 (38): 2016
55 Edenheim, Sara, "Foreclosed matter-On the material melancholy of feminist new materialism" 51 : 2016
56 Hird, Myra, "Feminist matters: new materialist: new materialist considerations of sexual difference" 52 : 2004
57 Barad, Karen, "Feminist Locations: Global and Local, Theory and practice" Rutgers U. P 2001
58 Barad, Karen, "Feminism, Science and the Philosophy of Science" Kluwer 1996
59 DeLanda, Manuel, "Deleuze and Social" Edinburgh U. P 2008
60 Braidotti, Rosi, "Deleuze and Feminist Theory" Edinburgh U. P 2000
61 Graham Harman, "Delanda’s ontology: assemblage and realism" 41 : 2008
62 Tumino, Stephen, "Cultural Theory after the Contemporary" Palgrave macmillan 2011
63 Lupton, Deborah, "Critical perspectives on digital health technologies" 8 (8): 2014
64 Serre, Michel, "Conversations on Science, Culture and Time" U. of Michigan Press 1995
65 Butler, Judith, "Bodies that matter-On the discursive limits of sex" Routledge 1993
66 Youdell, Deborah, "Assembling, disassembling and reassembling ‘youth service’ in Austerity Britain" 56 (56): 2015
67 Kolozova, Katerinal, "After the “Speculative Turn”, realism, philosophy, and feminism" Pucktum Books 2016
68 Mulcahy, Dianne, "Affective assemblages: body matter in the pedagogic practices of contemporary classroom" 201 (201): 2012
69 DeLanda, Manuel, "A New Philosophy of Society: Assemblage theory and social complexity" Continuum 2006
70 Haraway, Donna, "A Manifesto for Cyborg: Science, Technology, and Socialist Feminism in the 1980s" 15-2 (15-2): 1985
71 Deleuze, Giiles, "<천개의 고원>: 자본주의와 정신분열증 2" 새물결 2003-, 1980
1970~80년대 주거의 문화사와 아파트-스케이프의 다중적 로컬리티
1930~40년대 수학여행의 사회 문화적 맥락과 서사화의 의미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9-05-2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Center for Korean Studi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Korean Studies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9 | 0.89 | 0.7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3 | 0.78 | 1.247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