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남자 대학생의 신체활동 강도별 수행시간과 유ㆍ무산소 체력과의 관련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135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신체활동 강도별 수행시간에 따른 신체구성, 유산소운동능력 및 무 산소 운동능력과의 관련성을 분석하는데 있으며, 학생들의 체력유지 및 건강개선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기초자 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지방률과 BMI는 저강도 신체활동 수행시간과 통계적 으로 유의한 부적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중강도 신체활동 수행시간은 무산소파워 변인 중 평균파워와 통계적으로 유 의한 정적상관을 나타내었으며, 고강도신체활동 수행시간은 최대파워도달시간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을 나타 내었다. 셋째, 유산소운동능력은 중강도 신체활동 수행시간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남자 대학생의 체형 및 체력관리를 위한 신체활동 강도는 특정한 강도만을 중점적으로 하는 것이 아닌 저강도, 중강도, 고강도를 적절하게 수행하는 것을 제안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신체활동 강도별 수행시간에 따른 신체구성, 유산소운동능력 및 무 산소 운동능력과의 관련성을 분석하는데 있으며, 학생들의 체력유지 및 건...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신체활동 강도별 수행시간에 따른 신체구성, 유산소운동능력 및 무 산소 운동능력과의 관련성을 분석하는데 있으며, 학생들의 체력유지 및 건강개선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기초자 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지방률과 BMI는 저강도 신체활동 수행시간과 통계적 으로 유의한 부적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중강도 신체활동 수행시간은 무산소파워 변인 중 평균파워와 통계적으로 유 의한 정적상관을 나타내었으며, 고강도신체활동 수행시간은 최대파워도달시간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을 나타 내었다. 셋째, 유산소운동능력은 중강도 신체활동 수행시간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남자 대학생의 체형 및 체력관리를 위한 신체활동 강도는 특정한 강도만을 중점적으로 하는 것이 아닌 저강도, 중강도, 고강도를 적절하게 수행하는 것을 제안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hysical activity time with different performance intensity and body composition, aerobic and anaerobic exercise in male students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raising awareness of necessity of staying fit and improving health for stu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odyfat and BMI demonstrated statistically negative correlation with low intensive activity time. Second, mild intensive activity time showed positive statistic correlation with 평균 파워 among anaerobic power variables and high intensive activity time had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 with time to peak power. Lastly, aerobic exercise capac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only mild intensive activity time. With these results, male students are recommended to perform their physical activities not with only certain intensity but with each low, mild, intensity to stay physically fit and healthy.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hysical activity time with different performance intensity and body composition, aerobic and anaerobic exercise in male students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raising awareness of necessity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hysical activity time with different performance intensity and body composition, aerobic and anaerobic exercise in male students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raising awareness of necessity of staying fit and improving health for stu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odyfat and BMI demonstrated statistically negative correlation with low intensive activity time. Second, mild intensive activity time showed positive statistic correlation with 평균 파워 among anaerobic power variables and high intensive activity time had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 with time to peak power. Lastly, aerobic exercise capac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only mild intensive activity time. With these results, male students are recommended to perform their physical activities not with only certain intensity but with each low, mild, intensity to stay physically fit and health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Ⅱ. 연구방법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Ⅱ. 연구방법
      • 1. 연구대상
      • 2. 연구설계
      • 3. 변인측정 및 분석방법
      • 4. 자료처리방법
      • Ⅲ. 결과
      • 1. 신체활동 강도별 수행시간과 신체구성과의 관련성
      • 2. 신체활동 강도별 수행시간과 무산소운동능력과의 관련성
      • 3. 신체활동 강도별 수행시간과 유무산소운동능력과의 관련성
      • Ⅳ. 논의 및 제언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호, "한국과 미국학생들의 운동행동의 특성: 변화의 단계를 예측하기 위한 심리적 변인의 적용"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5 (15): 29-44, 2004

      2 김성연, "초등학생들의 신체활동 강도별 수행시간과 심폐체력, 인지능력 및 스트레스 마커와의 관련성" 한국스포츠학회 12 (12): 357-368, 2014

      3 강현식, "여자 초등학생의 신체활동과 심폐체력 및 신체구성 그리고 심혈관 위험인자와의 연관성" 한국운동생리학회 20 (20): 389-396, 2011

      4 제갈윤석, "걷기량과 신체활동이 제2형 당뇨병환자들의 혈당에 미치는 영향" 대한당뇨병학회 32 (32): 60-67, 2008

      5 Lengfelder, M. E., "Sind uranhaltige Waffen schuld an den Leukamiefallen?" 143 : 10-11, 2001

      6 Brown, W. J., "Prospective study of physical activity and depressive symptoms in middle-aged women" 29 : 265-272, 2005

      7 Brown, D. R., "Promoting Physical Activity" Human Kinetics 2009

      8 Fahey, T. D., "Fit & well" McGraw Hill 2013

      9 Blair, S. N., "Active living every day" Human Kinetics 2001

      1 김영호, "한국과 미국학생들의 운동행동의 특성: 변화의 단계를 예측하기 위한 심리적 변인의 적용"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5 (15): 29-44, 2004

      2 김성연, "초등학생들의 신체활동 강도별 수행시간과 심폐체력, 인지능력 및 스트레스 마커와의 관련성" 한국스포츠학회 12 (12): 357-368, 2014

      3 강현식, "여자 초등학생의 신체활동과 심폐체력 및 신체구성 그리고 심혈관 위험인자와의 연관성" 한국운동생리학회 20 (20): 389-396, 2011

      4 제갈윤석, "걷기량과 신체활동이 제2형 당뇨병환자들의 혈당에 미치는 영향" 대한당뇨병학회 32 (32): 60-67, 2008

      5 Lengfelder, M. E., "Sind uranhaltige Waffen schuld an den Leukamiefallen?" 143 : 10-11, 2001

      6 Brown, W. J., "Prospective study of physical activity and depressive symptoms in middle-aged women" 29 : 265-272, 2005

      7 Brown, D. R., "Promoting Physical Activity" Human Kinetics 2009

      8 Fahey, T. D., "Fit & well" McGraw Hill 2013

      9 Blair, S. N., "Active living every day" Human Kinetics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5 0.95 0.8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72 0.665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