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자연 재해로 인한 피해 경감을 위한 구호 물류 거점 계획에 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531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들어 자연재해의 빈도 및 강도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피해 역시 늘어남에 따라, 재난 현장에 대한 대응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피해를 경감하기 위한 구호 물...

      최근 들어 자연재해의 빈도 및 강도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피해 역시 늘어남에 따라, 재난 현장에 대한 대응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피해를 경감하기 위한 구호 물류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부분인 물류 거점의 위치와 규모를 선정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구호 물류에서의 거점은 물자의 비축을 수행하는 일반 물류 거점의 기능 외에도 이재민 수용, 부상자 응급 처치 등 다양한 기능을 겸비해야 하며, 거점의 위치를 선정하는 기준 역시 거리 외의 거점의 신뢰도 및 주변 환경의 위험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하여 IoT 센서를 이용하여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체계를 제안하였다. 또한 재난물류 거점문제는 다양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기능의 배치에 대한 고려 역시 포함하여야 한다. 이를 풀이하기 위하여, 혼합정수계획 모델에 기반을 둔 알고리즘을 제시하였고, 재해 발생 시나리오를 고려한 시뮬레이션 실험을 통하여 모델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the magnitude and frequency of the natural disaster have been increased, the damage has become severer. The importance of disaster response system to relieve the damage has arised continuously. This study has tried to develop the algorithm t...

      Recently, the magnitude and frequency of the natural disaster have been increased, the damage has become severer. The importance of disaster response system to relieve the damage has arised continuously. This study has tried to develop the algorithm to solve the facility location and size problem in emergency logistics.
      A facility in the emergency logistics has various roles in victim care, casualty treatment, relief resource management and relief vehicle assistance. Moreover, the location of facility in emergency logistics has to consider the safety and reliability. To gather these inform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with IoT sensors are suggested.
      The location problem in this study also covers various features to response various demands in disast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suggested MIP based algorithm. Scenario based simulation experiments are conducted to verify the performance suggested algorith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ABSTRACT
      • 1. 서론
      • 2. 선행 연구
      • 3. 문제 정의
      • 초록
      • ABSTRACT
      • 1. 서론
      • 2. 선행 연구
      • 3. 문제 정의
      • 4. 위험도 분석
      • 5. 배치 알고리즘
      • 6. 실험 및 검증
      • 7.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민규, "철도교의 지진취약도 함수 도출을 위한 안전율평가 결과 이용" 한국지진공학회 13 (13): 57-65, 2009

      2 윤혁진, "웹기반 SOC 시설물 재난피해복구지원시스템 설계 및 구현" 한국전자거래학회 20 (20): 227-239, 2015

      3 최상윤, "사물인터넷 기반 재난복구자원 관리 및 실시간 행동인지 모듈 개발" 한국전자거래학회 22 (22): 103-115, 2017

      4 권세혁, "보 지역 홍수 위험도 예측모형 연구"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37 (37): 91-95, 2014

      5 "https://www.unisdr.org/archive/17613"

      6 "http://cred.be/sites/default/files/2015_Disas tersInNumbers.pdf"

      7 Sae-yeon ROH, "Warehouse Location Decision Factors in Humanitarian Relief Logistics" 한국해운물류학회 29 (29): 103-120, 2013

      8 Dai, W, "Supply chain system for emergency rescue of natural disasters" 1 : 218-221, 2010

      9 Baskaya, S, "Pre-positioning of relief items in humanitarian logistics considering lateral transhipment opportunities" 57 : 50-60, 2017

      10 Verma, A, "Pre-positioning disaster response facilities at safe locations : An evaluation of deterministic and stochastic modeling approaches" 62 : 197-209, 2015

      1 김민규, "철도교의 지진취약도 함수 도출을 위한 안전율평가 결과 이용" 한국지진공학회 13 (13): 57-65, 2009

      2 윤혁진, "웹기반 SOC 시설물 재난피해복구지원시스템 설계 및 구현" 한국전자거래학회 20 (20): 227-239, 2015

      3 최상윤, "사물인터넷 기반 재난복구자원 관리 및 실시간 행동인지 모듈 개발" 한국전자거래학회 22 (22): 103-115, 2017

      4 권세혁, "보 지역 홍수 위험도 예측모형 연구"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37 (37): 91-95, 2014

      5 "https://www.unisdr.org/archive/17613"

      6 "http://cred.be/sites/default/files/2015_Disas tersInNumbers.pdf"

      7 Sae-yeon ROH, "Warehouse Location Decision Factors in Humanitarian Relief Logistics" 한국해운물류학회 29 (29): 103-120, 2013

      8 Dai, W, "Supply chain system for emergency rescue of natural disasters" 1 : 218-221, 2010

      9 Baskaya, S, "Pre-positioning of relief items in humanitarian logistics considering lateral transhipment opportunities" 57 : 50-60, 2017

      10 Verma, A, "Pre-positioning disaster response facilities at safe locations : An evaluation of deterministic and stochastic modeling approaches" 62 : 197-209, 2015

      11 Cheng, W, "Operational analysis on emergency logistics system and emergency response model" 1 : 1323-1328, 2008

      12 Chen, A. Y, "Network based temporary facility location for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s considering the disaster induced demand and the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in disaster response" 91 : 408-423, 2016

      13 Lin, Y.-H, "Location of temporary depots to facilitate relief operations after an earthquake" 46 (46): 112-123, 2012

      14 Li, B, "Integrating uncertain usergenerated demand data when locating facilities for disaster response commodity distribution" 2017

      15 Balcik, B, "Facility location in humanitarian relief" 11 (11): 101-121, 2008

      16 Salman, F. S, "Emergency facility location under random network damage : Insights from the Istanbul case" 62 : 266-281, 2015

      17 Ren, Z, "Emergency Logistics Design in Disasters" 1-4, 2010

      18 Han, J.-T, "Construction of Seismic Landslide Hazard Map in Korea" 17 (17): 37-48, 2013

      19 Barzinpour, F, "A multiobjective relief chain location distribution model for urban disaster management" 70 (70): 1291-1302, 2014

      20 Zhang, J, "A bottleneck Steiner tree based multi-objective location model and intelligent optimization of emergency logistics systems" 29 (29): 48-55,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5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 1 0.9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8 0.91 1.281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