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산광역시 교통카드데이터를 활용한 버스 내 재차인원 추정 및 혼잡도 표출 = Estimation of Bus Passenger Occupancy and Degree of Congestion by Using Bus Card Data in Bus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511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calculate passenger occupancy and the degree of congestion in a Busan City bus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transit cards. Most of the local governments have adopted the Bus Information System (BIS) for their users. The service provides real-time bus location-based information through Bus Information Terminals (BIT) to improve user convenience. However, additional information beyond bus arrival time is required for choosing the most efficient traffic means and enhancing service.
      Therefore, we calculate passenger bus occupancy using the passenger number data classified by station. The model for estimating bus occupancy reflect distinct characteristics in the Busan bus card system which do not require an additional scan of their transit card when passengers exit the bus. Finally, depending on the congestion of estimated passenger bus occupancy, we classified level of service into three categories based on passenger numbers. Accuracy of estimated results is more than 80%. And if punctuality of buses is improved, the accuracy of the study will be advanced. The proposed system in this study provides advantages of efficient decision-making and more convenient bus use.
      번역하기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calculate passenger occupancy and the degree of congestion in a Busan City bus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transit cards. Most of the local governments have adopted the Bus Information System (BIS) for their users. ...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calculate passenger occupancy and the degree of congestion in a Busan City bus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transit cards. Most of the local governments have adopted the Bus Information System (BIS) for their users. The service provides real-time bus location-based information through Bus Information Terminals (BIT) to improve user convenience. However, additional information beyond bus arrival time is required for choosing the most efficient traffic means and enhancing service.
      Therefore, we calculate passenger bus occupancy using the passenger number data classified by station. The model for estimating bus occupancy reflect distinct characteristics in the Busan bus card system which do not require an additional scan of their transit card when passengers exit the bus. Finally, depending on the congestion of estimated passenger bus occupancy, we classified level of service into three categories based on passenger numbers. Accuracy of estimated results is more than 80%. And if punctuality of buses is improved, the accuracy of the study will be advanced. The proposed system in this study provides advantages of efficient decision-making and more convenient bus us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부산광역시 교통카드데이터를 이용하여 시내버스 내 재차인원 추정과 혼잡도 표출을 목적으로 하였다. 대부분의 지자체에서는 버스정보시스템의 도입으로 정류장마다 버스정보안내단말기를 통한 실시간 위치기반 버스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용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보다 효율적인 수단 선택과 서비스 제고를 위해 정류장 도착시각정보 외에 추가적 편의정보의 제공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 교통카드로부터 수집되는 정류장별 승차 인원 정보를 이용하여 재차인원을 추정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하차 시 교통카드를 접촉하지 않는 부산시 버스교통카드시스템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현장조사를 통해 파악된 정류장별 하차인원 비율에 따라 버스의 재차인원을 추정하였다. 추정된 버스 내 재차인원에 따라 혼잡도 수준을 3가지 등급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추정된 결과의 정확성은 80%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버스의 정시성이 향상될 경우 정확도는 개선될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부산광역시 교통카드데이터를 이용하여 시내버스 내 재차인원 추정과 혼잡도 표출을 목적으로 하였다. 대부분의 지자체에서는 버스정보시스템의 도입으로 정류장마다 버스정보...

      본 논문은 부산광역시 교통카드데이터를 이용하여 시내버스 내 재차인원 추정과 혼잡도 표출을 목적으로 하였다. 대부분의 지자체에서는 버스정보시스템의 도입으로 정류장마다 버스정보안내단말기를 통한 실시간 위치기반 버스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용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보다 효율적인 수단 선택과 서비스 제고를 위해 정류장 도착시각정보 외에 추가적 편의정보의 제공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 교통카드로부터 수집되는 정류장별 승차 인원 정보를 이용하여 재차인원을 추정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하차 시 교통카드를 접촉하지 않는 부산시 버스교통카드시스템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현장조사를 통해 파악된 정류장별 하차인원 비율에 따라 버스의 재차인원을 추정하였다. 추정된 버스 내 재차인원에 따라 혼잡도 수준을 3가지 등급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추정된 결과의 정확성은 80%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버스의 정시성이 향상될 경우 정확도는 개선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온실가스배출량"

      2 "차량 등록 대수"

      3 원제무, "알기쉬운 도시교통" 박영사 222-, 2006

      4 양지영, "시공도를 이용한 버스운행 정시성 지표개발" 대한교통학회 23 (23): 129-138, 2005

      5 황훈규, "승차인원정보를 제공하는 버스정보시스템" 한국콘텐츠학회 9 (9): 31-38, 2009

      6 이백진, "선호의식 조사를 통한 버스 차내 혼잡도 정보제공이 버스선택에 미치는 영향 분석" 대한교통학회 26 (26): 61-70, 2008

      7 "부산교통카드 이용률" 부산시청

      8 이원규, "부산광역시 버스정보시스템(BIS) 구축방안 연구" 부산발전연구원 60-84, 2004

      9 이정근, "버스정보시스템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5 (5): 1-12, 2006

      10 금기정, "버스정보시스템의 품질평가 기법 연구" 한국ITS학회 6 (6): 1-12, 2007

      1 "한국온실가스배출량"

      2 "차량 등록 대수"

      3 원제무, "알기쉬운 도시교통" 박영사 222-, 2006

      4 양지영, "시공도를 이용한 버스운행 정시성 지표개발" 대한교통학회 23 (23): 129-138, 2005

      5 황훈규, "승차인원정보를 제공하는 버스정보시스템" 한국콘텐츠학회 9 (9): 31-38, 2009

      6 이백진, "선호의식 조사를 통한 버스 차내 혼잡도 정보제공이 버스선택에 미치는 영향 분석" 대한교통학회 26 (26): 61-70, 2008

      7 "부산교통카드 이용률" 부산시청

      8 이원규, "부산광역시 버스정보시스템(BIS) 구축방안 연구" 부산발전연구원 60-84, 2004

      9 이정근, "버스정보시스템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5 (5): 1-12, 2006

      10 금기정, "버스정보시스템의 품질평가 기법 연구" 한국ITS학회 6 (6): 1-12, 2007

      11 서준석, "버스 및 버스정류장 용량산정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3

      12 국토해양부, "도로용량편람" 597-594, 2013

      13 권기현, "대중교통 이용자 만족도에 대한 연구 : 수도권 M버스와 광역버스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0

      14 "녹색성장 및 기후변화대응 관련 국가계획, 녹색성장더 큰 대한민국"

      15 Bakker J. J., "Transit Operating Strategies and Level of Service" 606 : 1-5, 1976

      16 Botzow H., "Level-of-Service Concept For Evaluating Public Transport" 519 : 168-189, 1974

      17 Alter H. C., "Evaluation of Public Transit Services : The Level-of-Service Concept" 606 : 37-40, 1976

      18 이승환, "2013 경제발전경험모듈화사업 : 지능형 교통시스템(ITS) 구축" 한국지능형교통체계협회 33-45,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42 0.798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