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해안 무속에서 광인굿의 위상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951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동해안 광인굿은 치병을 위한 병굿 중 하나이다. 동해안에서는 마을공동체의 별신굿과 망자를 천도하기 위한 오구굿이 전승되고 있다. 그 외에도 집에 우환이 있거나 액이 있을 때, 재수를 소망할 때 굿을 행한다. 동해안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굿이 존재하고 전승되고 있으나, 시대적 상황에 따라 단절된 굿도 있다. 소멸되는 대표적인 굿이 광인굿이라고 할 수 있다.
      광인굿은 동해안 무집단이 행하는 굿의 기본적 구성에 벗어나지 않는다. 광인굿은 동해안 굿의 기본형 ‘부정굿→골매기굿→조상굿→거리풀이’에 가진축구가 부가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무계와 무집단의 차이로 가진축구의 구성에 미세한 차이는 있으나, 기본틀을 벗어나지 않는다. 특히 광인굿의 가장 핵심적인 거리인 ‘가진축구’ 또는 ‘가짜’에서는 굿의 역동성과 다양성을 가감없이 드러낸다. 광인굿에서는 신의 사제자인 무당(사처낭)과 잡귀(여처낭)의 대결, 잡귀를 퇴치하기 위한 칼 · 도끼 · 물 · 동도지 · 불 · 소금 등의 다양한 도구의 사용, 작두타기를 통해 잡귀와 차별되는 장군신격의 위엄, 여사제굿에서 잡귀의 심정을 반영한 연극적 행위, 인형 · 동물을 통한 대수대명(代數代命), 소품의 상징적 활용 등이 나타난다.
      동해안 굿 역시 시대적 · 사회적 변화에 조응하면서 전승주체에 의해 능동적으로 전승되어 왔다. 그러나 시대적 상황에 따라 무속의례는 전승되거나 단절되었다. 이것은 굿을 요구하고 지속시켜 왔던 사회가 달라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광인굿은 무당의 기억 속에 존재하고 있으나, 단골의 요구가 없어서 사라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무당과 동해안사람들이 광인굿을 기억하고 유지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인 굿이 상징적인 의례나 표현으로 이루어진다면, 광인굿은 현실적 문제에 직접 관여하여 병귀를 쫓아내고 병을 치유한다. 전 시대에는 광인굿이 주요한 의례의 하나로 기능을 하고 있었고, 이를 기반으로 한 무집단이 존속하고 있다는 점은 굿 전승의 핵심 사항이다. 광인굿의 현대적 복원을 통하여 온고지신(溫故知新)을 행한다면, 개인적 바람이나 치병을 넘어 사회적 치유와 회복을 위한 소재로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동해안 광인굿은 치병을 위한 병굿 중 하나이다. 동해안에서는 마을공동체의 별신굿과 망자를 천도하기 위한 오구굿이 전승되고 있다. 그 외에도 집에 우환이 있거나 액이 있을 때, 재수를 ...

      동해안 광인굿은 치병을 위한 병굿 중 하나이다. 동해안에서는 마을공동체의 별신굿과 망자를 천도하기 위한 오구굿이 전승되고 있다. 그 외에도 집에 우환이 있거나 액이 있을 때, 재수를 소망할 때 굿을 행한다. 동해안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굿이 존재하고 전승되고 있으나, 시대적 상황에 따라 단절된 굿도 있다. 소멸되는 대표적인 굿이 광인굿이라고 할 수 있다.
      광인굿은 동해안 무집단이 행하는 굿의 기본적 구성에 벗어나지 않는다. 광인굿은 동해안 굿의 기본형 ‘부정굿→골매기굿→조상굿→거리풀이’에 가진축구가 부가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무계와 무집단의 차이로 가진축구의 구성에 미세한 차이는 있으나, 기본틀을 벗어나지 않는다. 특히 광인굿의 가장 핵심적인 거리인 ‘가진축구’ 또는 ‘가짜’에서는 굿의 역동성과 다양성을 가감없이 드러낸다. 광인굿에서는 신의 사제자인 무당(사처낭)과 잡귀(여처낭)의 대결, 잡귀를 퇴치하기 위한 칼 · 도끼 · 물 · 동도지 · 불 · 소금 등의 다양한 도구의 사용, 작두타기를 통해 잡귀와 차별되는 장군신격의 위엄, 여사제굿에서 잡귀의 심정을 반영한 연극적 행위, 인형 · 동물을 통한 대수대명(代數代命), 소품의 상징적 활용 등이 나타난다.
      동해안 굿 역시 시대적 · 사회적 변화에 조응하면서 전승주체에 의해 능동적으로 전승되어 왔다. 그러나 시대적 상황에 따라 무속의례는 전승되거나 단절되었다. 이것은 굿을 요구하고 지속시켜 왔던 사회가 달라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광인굿은 무당의 기억 속에 존재하고 있으나, 단골의 요구가 없어서 사라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무당과 동해안사람들이 광인굿을 기억하고 유지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인 굿이 상징적인 의례나 표현으로 이루어진다면, 광인굿은 현실적 문제에 직접 관여하여 병귀를 쫓아내고 병을 치유한다. 전 시대에는 광인굿이 주요한 의례의 하나로 기능을 하고 있었고, 이를 기반으로 한 무집단이 존속하고 있다는 점은 굿 전승의 핵심 사항이다. 광인굿의 현대적 복원을 통하여 온고지신(溫故知新)을 행한다면, 개인적 바람이나 치병을 넘어 사회적 치유와 회복을 위한 소재로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East Coast region, various rituals existed for the purpose of ritual. Donghae-gut has also been actively handed down by the subjects of the tradition while adapting to the social changes of the times. However, according to the times, shaman rites were passed down or disconnected. This means that the society that has been demanding and sustaining Gut has changed. The Gut survives by social demand and disappears without the request of society. Nevertheless, it is worth noting that we have remembered and maintained so far.
      If the general Gut is made up of symbolic rituals or expressions, Gwangin-gut takes a direct part in realistic problems and heaps out the disease and heals the disease. The fact that there is a real demand of modern people and the existence of a group of shaman based on it is a key point of the Gut tradition. If we restore the Gwangin-gut in a modern way, we will be able to utilize it as a material for social healing and recovery beyond personal desires and diseases.
      번역하기

      In the East Coast region, various rituals existed for the purpose of ritual. Donghae-gut has also been actively handed down by the subjects of the tradition while adapting to the social changes of the times. However, according to the times, shaman rit...

      In the East Coast region, various rituals existed for the purpose of ritual. Donghae-gut has also been actively handed down by the subjects of the tradition while adapting to the social changes of the times. However, according to the times, shaman rites were passed down or disconnected. This means that the society that has been demanding and sustaining Gut has changed. The Gut survives by social demand and disappears without the request of society. Nevertheless, it is worth noting that we have remembered and maintained so far.
      If the general Gut is made up of symbolic rituals or expressions, Gwangin-gut takes a direct part in realistic problems and heaps out the disease and heals the disease. The fact that there is a real demand of modern people and the existence of a group of shaman based on it is a key point of the Gut tradition. If we restore the Gwangin-gut in a modern way, we will be able to utilize it as a material for social healing and recovery beyond personal desires and diseas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동해안 굿의 순차적 구조
      • Ⅲ. 광인굿에 대한 기억과 실체
      • Ⅳ. 광인굿의 내용과 재현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동해안 굿의 순차적 구조
      • Ⅲ. 광인굿에 대한 기억과 실체
      • Ⅳ. 광인굿의 내용과 재현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동환, "한국문화의 원본을 찾아서-무속의 현장" 국립민속박물관 2014

      2 김태곤, "한국무속연구" 집문당 1981

      3 김태곤, "한국무가집 4" 집문당 1980

      4 윤동환, "포항 계원 별신굿" 문화체육관광부·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2011

      5 아키바 다카시, "춤추는 무당과 춤추지 않는 무당" 한울 2000

      6 무라야마 지준, "조선의 무격" 민속원 2014

      7 손진태, "조선신가유편(朝鮮神歌遺篇)" 향토연구사 1930

      8 고광민, "제주도 추는굿" 도서출판 피아 2006

      9 윤동환, "별신의 양상과 성격-190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한국무속학회 (10) : 246-285, 2005

      10 黃縷詩, "무당굿놀이 硏究 : 제의적 요소를 중심으로 한 민속연희와의 비교고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87

      1 윤동환, "한국문화의 원본을 찾아서-무속의 현장" 국립민속박물관 2014

      2 김태곤, "한국무속연구" 집문당 1981

      3 김태곤, "한국무가집 4" 집문당 1980

      4 윤동환, "포항 계원 별신굿" 문화체육관광부·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2011

      5 아키바 다카시, "춤추는 무당과 춤추지 않는 무당" 한울 2000

      6 무라야마 지준, "조선의 무격" 민속원 2014

      7 손진태, "조선신가유편(朝鮮神歌遺篇)" 향토연구사 1930

      8 고광민, "제주도 추는굿" 도서출판 피아 2006

      9 윤동환, "별신의 양상과 성격-190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한국무속학회 (10) : 246-285, 2005

      10 黃縷詩, "무당굿놀이 硏究 : 제의적 요소를 중심으로 한 민속연희와의 비교고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87

      11 이균옥, "동해안 지역 무극 연구" 박이정 1998

      12 조연남, "동해안 세습무의 굿 전승방식과 창조적 연행능력" 안동대학교 대학원 2005

      13 윤동환, "동해안 무속의 지속과 창조적 계승" 민속원 2010

      14 윤동환, "동해안 굿의 전승과 변화"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15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김석출" 한국문화예술진흥원 2004

      16 정병호, "굿놀이"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64 0.965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