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날의 떡국, 대보름의 오곡밥, 복날의 개장국(구탕), 추석의 송편, 동지의 동지팥죽은 한국의 대표적인 세시절식으로 꼽을 수 있다. 한해의 시작인 설날은 떡국을 먹는다. 가래떡의 긴 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395131
2018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85-116(32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설날의 떡국, 대보름의 오곡밥, 복날의 개장국(구탕), 추석의 송편, 동지의 동지팥죽은 한국의 대표적인 세시절식으로 꼽을 수 있다. 한해의 시작인 설날은 떡국을 먹는다. 가래떡의 긴 모...
설날의 떡국, 대보름의 오곡밥, 복날의 개장국(구탕), 추석의 송편, 동지의 동지팥죽은 한국의 대표적인 세시절식으로 꼽을 수 있다.
한해의 시작인 설날은 떡국을 먹는다. 가래떡의 긴 모양을 통해서 수복(壽福)을 빌고, 동전 모양으로 썬 떡살을 통해서 재복(財福)을 기원한다. 대보름은 농사와 관련된 세시풍속이 많다. 대보름 오곡밥은 오곡백과의 풍작을 비는 뜻이 담겨 있다. 복날 음식인 개고기는 실제 보양식의 기능을 하는 것이지만, 그밖에도 더위를 물리치는 주술적 효용도 가졌다. 왜냐하면 개는 12지 동물 중 가을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추석음식인 송편은 볍씨를 닮았다. 추수를 앞두고 들녘에 익어가는 노란 벼이삭이 송편처럼 크고 속이 꽉 차게 되면 풍년을 구가하게 될 것이다. 동지의 팥죽은 중국에서 기원해서 동지라는 절일과 함께 수입된 절식이다. 동지 팥죽의 붉은 색은 축귀(逐鬼) 기능도 가지지만, 찹쌀로 만든 새알심은 해가 점점 길어지는 동지라는 절일의 의미와도 상통한다.
이들 명절 음식은 형태, 종류, 색채, 형이상학 등이 주술적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요건이자 요소로서의 자격을 가진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ew Year’s tteokgwk(rice-cake soup), Daeboreum’s ogokbap{five-grain rice), Bognal’s bosintang(dog meat soup), Chuseok’s songpyeon(half-moon-shaped rice cake), Dongji’s patjuk(red bean porridge) are Korea’s representative traditional festiv...
New Year’s tteokgwk(rice-cake soup), Daeboreum’s ogokbap{five-grain rice), Bognal’s bosintang(dog meat soup), Chuseok’s songpyeon(half-moon-shaped rice cake), Dongji’s patjuk(red bean porridge) are Korea’s representative traditional festival foods.
In New Year’s Day, the beginning of the year, Koreans eat tteokguk. We pray for happiness and peace through the long shape of garaetteok(bar rice cake), as well as for good fortune through sliced rice cakes in the shape of a coin. Daeboreum has many customs related to farming. Daeboreum’s ogokbap{five-grain rice) contains the meaning of praying for the good harvest of five grains. Dog meat soup, which is a food for canicular days, actually functions as a healthful dish, but it also has a magical effect to beat the heat, since dogs correspond to autumn out of 12 animals. Songpyeon, a Chuseok food, resembles rice seed. When the yellow rice ears that are ripe in the fields ahead of harvest will become big and full like Songpyeon, we enjoy the harvest. Dongji’s patjuk(red bean porridge) is a traditional festival food imported from China together with a festival of Dongji. The red color of Dongji’s patjuk has a function of scaring away ghosts, but a small dumpling made of glutinous rice is also connected with the meaning of a festival Dongi when the days are growing longer.
These festival foods are qualified as the requirements and elements that enable the magical function of forms, kinds, colors, and metaphysic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립민속박물관, "한국민속신앙사전 마을신앙 편" 황토항 2009
2 주영하, "초등학교 사회교과서와 아동도서에 나타난 명절음식의 서술내용 분석" 실천민속학회 19 : 63-91, 2012
3 국립문화재연구소, "세시풍속 전 9권" 2003
4 이성숙, "세시풍속 및 세시음식의 인지도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18 (18): 179-194, 2005
5 허성미, "세시풍속 및 세시음식의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동아시아식생활학회 3 (3): 1993
6 곽연주, "세시음식에 대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인지도 및 경험도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21 (21): 87-105, 2008
7 이익, "성호선생전집"
8 이익, "성호사설"
9 일연, "삼국유사"
10 Elliott Oring, "민중과 민속의 장르" 전남대학교출판부 2004
1 국립민속박물관, "한국민속신앙사전 마을신앙 편" 황토항 2009
2 주영하, "초등학교 사회교과서와 아동도서에 나타난 명절음식의 서술내용 분석" 실천민속학회 19 : 63-91, 2012
3 국립문화재연구소, "세시풍속 전 9권" 2003
4 이성숙, "세시풍속 및 세시음식의 인지도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18 (18): 179-194, 2005
5 허성미, "세시풍속 및 세시음식의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동아시아식생활학회 3 (3): 1993
6 곽연주, "세시음식에 대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인지도 및 경험도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21 (21): 87-105, 2008
7 이익, "성호선생전집"
8 이익, "성호사설"
9 일연, "삼국유사"
10 Elliott Oring, "민중과 민속의 장르" 전남대학교출판부 2004
11 군산시사편찬위원회, "군산시사"
12 나경수, "광주전남의 민속연구" 민속원 2016
13 李文健, "默齋日記"
14 이덕무, "靑莊館全書"
15 이의현, "陶谷集"
16 김창협, "農巖集"
17 丁學游, "農家月令歌"
18 洪仁謨, "足睡堂集"
19 申欽, "象村稿"
20 鄭觀海, "觀瀾齋日記"
21 "薊山紀程"
22 宗 懍, "荆楚歲時記"
23 송징은, "約軒集"
24 趙秀三, "秋齋集"
25 유척기, "知守齋集"
26 조면호, "玉垂先生集"
27 이식, "澤堂先生別集"
28 김매순, "洌陽歲時記"
29 沈錥, "樗村先生遺稿"
30 洪錫謨, "東國歲時記"
31 金守溫, "拭疣集"
32 朴思浩, "心田稿"
33 崔炳彩, "崔炳彩日記"
34 柳得恭, "京都雜誌"
35 Claude Lévi-Strauss, "『신화학』 Ⅰ-날것과 익힌 것" 한길사 2005
36 James George Frazer, "The Golden Bough-The Magic Art and The Evolution of Kings vol.Ⅰ" Macmillan &CO LTD 1955
37 A. Dundes, "Interpreting Folklore" Indiana University Press 1980
유라시아 곰 신앙과 단군신화의 쑥과 마늘을 통해 본 웅녀의 재해석
안동 헛제삿밥으로 본 제사음식의 관광상품화와 의미 변화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2 | 0.52 | 0.5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9 | 0.64 | 0.965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