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지역의 헛제삿밥은 유교식 제사음식의 일부가 관광산업의 흐름을 타고 1980~1981년에 안동민속촌 일대에서 탈맥락적으로 재현되어 상품화된 것이다. 따라서 헛제삿밥은 개발 초기에는 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395132
2018
Korean
헛제삿밥 ; 제사음식 ; 탈맥락적 재현 ; 관광산업 ; 상품화 ; 이미지 ; 비빔밥 ; 한정식 ; hut-jesatbab ; ancestral memorial service foods ; identity ; tourism industry ; commercialization ; bibimbap ; image ; de-contextual reproduction ; Korean table d`hote
KCI등재
학술저널
117-145(29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안동지역의 헛제삿밥은 유교식 제사음식의 일부가 관광산업의 흐름을 타고 1980~1981년에 안동민속촌 일대에서 탈맥락적으로 재현되어 상품화된 것이다. 따라서 헛제삿밥은 개발 초기에는 전...
안동지역의 헛제삿밥은 유교식 제사음식의 일부가 관광산업의 흐름을 타고 1980~1981년에 안동민속촌 일대에서 탈맥락적으로 재현되어 상품화된 것이다. 따라서 헛제삿밥은 개발 초기에는 전통적 제사문화의 의미를 전달하는 음식, 안동문화의 정체성을 살린 음식이었고, 좋은 음식으로 평가되었다. 그런데 시간이 흐르면서 헛제삿밥의 음식 구성과 의미가 차츰 변하게 되었다. 변화를 추동한 주체는 관광객과 식당 운영자 둘이다. 2000년경부터 관광객의 요구에 따라 헛제삿밥에 고추장과 김치가 추가되었고, 곧이어 식당 운영자는 안동식혜와 묵무침을 추가하였다. 이 단계에서 헛제삿밥은 제사음식의 이미지는 약화되고 특이한 비빔밥처럼 변했다. 그리고 일상음식의 수준이 향상되는 한편, 안동간고등어정식과 안동찜닭이 부상하자 헛제삿밥의 위상이 하락하였다. 이에 2000년대 중반부터 기본형 헛제삿밥보다 품격을 높인 중급형, 고급형 메뉴가 추가로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이 단계에서는 제사음식과 다른 형식으로 조리된 생선과 육류, 떡을 추가하여 고급화 한 메뉴가 별도로 개발되어 한정식의 느낌을 풍기기도 한다. 결국, 헛제삿밥은 사회변동과 관광객의 기대에 따라, 첫째, 유교식 제삿밥의 형식을 일정하게 갖춘 음식, 둘째, 특이한 형식과 반찬을 갖춘 비빔밥, 셋째, 색다른 한정식 비슷한 비빔밥의 이미지 등과 같은 여러 갈래의 의미를 혼성적으로 전달하는 음식으로 변하고 있다. 그러므로 전통문화를 탈맥락적으로 재현한 상품은 사회변화에 따라 그 본질적 의미를 이미지의 형태로 부분적으로밖에 전달하지 못하고, 소비자의 기대와 상업적 이윤을 고려하는 상품 개발자의 시선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할 수밖에 없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Andong area, hut-jesatbab was a component of Confucian ancestral memorial service foods, and it was reproduced and commercialized in accordance with the growth of the tourism industry in Andong Folk Village around 1980. Therefore, in the early stag...
In Andong area, hut-jesatbab was a component of Confucian ancestral memorial service foods, and it was reproduced and commercialized in accordance with the growth of the tourism industry in Andong Folk Village around 1980. Therefore, in the early stage of development, hut-jesatbab was a food that made use of the meaning of traditional sacrificial culture and the identity of Andong culture, and it was evaluated as a good food. However, as time passed, the composition and meaning of the hut-jesatbab gradually changed due to both tourists and restaurant operators. Since about 2000, kochujang and kimchi have been added to the basic hut-jesatbab according to the demand of tourists. Soon afterwards, the restaurant operator added Andong-sikhye and mukmuchim to the basic hut-jesatbab. At this stage, the image of Confucian sacrificial food was weakened and changed like a special bibimbap. Since the status of hut-jesatbab has fallen such that it has not been well evaluated as a good food, some variant dishes that are more advanced than basic hut-jesatbab have been developed since the mid-2000s. At this stage, dishes that are cook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Confucian sacrificial food are added to the menu to further enhance it. Finally, according to the social changes and the expectation of the tourists, hut-jesatbab has a variety of meanings such as a food with a uniform form of Confucian ceremonial rice, a food with a special form of bibimbap, and a food that delivers it in a mixed manner. Therefore, a product that is reproduced in a de-contextual manner in traditional culture cannot communicate its original meaning partially in accordance with social change, and it constantly changes according to the gaze of a product developer who responds to consumer expectations but also thinks about commercial profit.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재구, "향토음식 헛제사밥의 경험가치, 태도 및 재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 스토리텔링 체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사)한국조리학회 20 (20): 280-295, 2014
2 남근우, "한국민속학 재고: 본질주의와 복원주의를 넘어서" 민속원 2014
3 배영동, "퓨전형 향토음식의 발명과 상품화" 한국민속학회 48 : 179-212, 2008
4 임재해, "지역문화와 문화산업" 지식산업사 2000
5 배영동, "전통적 마을민속의 공공문화 자원화 과정-안동 하회탈놀이와 국제탈춤페스티벌의 경우-" 비교민속학회 (58) : 97-136, 2015
6 주영하, "음식인문학" Humanist 2011
7 김광억, "음식의 생산과 문화의 소비" 한국문화인류학회 26 : 1994
8 마빈 해리스, "음식문화의 수수께끼" 한길사 1992
9 캐롤 M. 코니한, "음식과 몸의 인류학" 갈무리 2005
10 김은향, "안동지역 향토음식에 대한 문헌 고찰과 활성화 방안 연구 : 헛제사밥, 건진국수, 안동식혜를 중심으로" 대구한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 강재구, "향토음식 헛제사밥의 경험가치, 태도 및 재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 스토리텔링 체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사)한국조리학회 20 (20): 280-295, 2014
2 남근우, "한국민속학 재고: 본질주의와 복원주의를 넘어서" 민속원 2014
3 배영동, "퓨전형 향토음식의 발명과 상품화" 한국민속학회 48 : 179-212, 2008
4 임재해, "지역문화와 문화산업" 지식산업사 2000
5 배영동, "전통적 마을민속의 공공문화 자원화 과정-안동 하회탈놀이와 국제탈춤페스티벌의 경우-" 비교민속학회 (58) : 97-136, 2015
6 주영하, "음식인문학" Humanist 2011
7 김광억, "음식의 생산과 문화의 소비" 한국문화인류학회 26 : 1994
8 마빈 해리스, "음식문화의 수수께끼" 한길사 1992
9 캐롤 M. 코니한, "음식과 몸의 인류학" 갈무리 2005
10 김은향, "안동지역 향토음식에 대한 문헌 고찰과 활성화 방안 연구 : 헛제사밥, 건진국수, 안동식혜를 중심으로" 대구한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1 배영동, "안동지역 간고등어의 소비전통과 문화상품화 과정" 비교민속학회 (31) : 95-128, 2006
12 배영동, "안동식혜의 정체성과 문화사적 의의 -품격, 발생, 확산에 대한 문제제기를 중심으로-" 실천민속학회 14 : 307-338, 2009
13 황경순, "안동 헛제삿밥을 통해 본 전통의 생산과 소비" 대구향토문화연구소 18 : 2003
14 배영동, "안동 지역 전통 음식의 탈맥락화와 상품화 - 197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66) : 35-65, 2004
15 배영동, "산업화에 따른 마을공동체 민속의 변화와 탈맥락화 -산업농 등장, 탈맥락적 민속, 마을 초월적 전승주체를 중심으로-" 비교민속학회 (62) : 159-189, 2017
16 레스리 화이트, "문화의 개념" 일지사 1977
17 이상현, "독일 민속학계의 동향과 한국 민속학의 설 자리 모색-Folklorismus과 포크로리즘 논쟁을 중심으로-" 한국민속학회 51 : 91-136, 2010
18 임재해, "까치구멍집 많고 도둑 없는 목현 마을" 한국학술정보 2001
19 "https://sibelle81.blog.me/140175879200"
20 "https://mutiaran.blog.me/20006242592"
21 "https://blog.naver.com/sooapa/120027280143"
22 "https://blog.naver.com/queen2167/90097795560"
23 "https://blog.naver.com/budgie70/120003657415"
24 "https://blog.naver.com/bbinemo/100088909749"
25 "http://yongju.egloos.com/8840457"
26 "http://yongju.egloos.com/8840457"
27 "http://raonyss.tistory.com/378"
28 "http://freenomad.tistory.com/240"
29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trade777&logNo=10016590096"
30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p_radn&logNo=220145805698"
31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odori3&logNo=110020398770"
32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o_opp333&logNo=100207679641"
33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nylover6&logNo=30181023027"
34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kio1510&logNo=140184932321"
35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jayas2s2&logNo=30135092091"
36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hslovesc&logNo=50004234859"
37 "http://blog.daum.net/skydom/13758305"
38 "http://blog.daum.net/anna325/10138945"
39 "http://blog.daum.net/aejilove/586("
유라시아 곰 신앙과 단군신화의 쑥과 마늘을 통해 본 웅녀의 재해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2 | 0.52 | 0.5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9 | 0.64 | 0.965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