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인문콘텐츠학회지가 발간되고 13년이 흐른 현 시점에서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해 인문콘텐츠 분야에 대한 의미와 역할의 변화 과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3년 창간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640734
2016
Korean
인문콘텐츠 ; 문화콘텐츠 ; 콘텐츠 ; 인문학 ; 의미연결망분석 ; 빅데이터 ; human contents ; cultural contents ; humanities contents ; contents ; Semantic Network Analysis ; Big Data
001
KCI등재
학술저널
229-255(2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인문콘텐츠학회지가 발간되고 13년이 흐른 현 시점에서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해 인문콘텐츠 분야에 대한 의미와 역할의 변화 과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3년 창간호...
이 연구는 인문콘텐츠학회지가 발간되고 13년이 흐른 현 시점에서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해 인문콘텐츠 분야에 대한 의미와 역할의 변화 과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3년 창간호부터 2015년까지 발간된 인문콘텐츠학회 논문의 초록을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R프로그램의 다양한 패키지를 활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텍스트 분석과 시각화를 도출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문콘텐츠 분야는 ‘문화 콘텐츠’와 관련한 연구를 다방면으로 실시하였다. ‘문화 콘텐츠’를 근간으로 ‘산업, 미디어, 스토리텔링, 디지털’ 등에 관련한 연구들이 꾸준히 시도되었다. 둘째, 인문콘텐츠 분야의 의미와 역할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주목할 만한 변화를 보였다. 인문콘텐츠학회 연구들은 ‘문화’, ‘콘텐츠’를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초기 연구들은 ‘문화 원형’과 ‘한류’ 등에 관련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문화 콘텐츠’에 대한 산업적인 측면인 ‘경제’, ‘정책’ 등과 관련한 연구들이 성장세를 보였다. 또한 ‘문화 기술’과 관련한 주제들이 급부상하여 ‘디지털’, ‘스마트’ 등과 연계된 연구들이 눈에 띄게 나타났다. 이는 인터넷, 모바일,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이 발달하고 정보 기술이 발전하여 디지털 콘텐츠의 수요가 급증하였기 때문이고, 앞으로 ‘문화 산업’, ‘문화 기술’과 관련된 연구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인문콘텐츠학회의 연구 주제들이 점차 확장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초기 연구에서는 매개 중심성 값이 존재하지 않았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값이 발생하였다. 매개중심성의 발생은 다른 단어와 조합되어 새로운 연구 주제로 재생산되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융합’, ‘경제’, ‘정책’, ‘교육’, ‘도시’ 등이 이에 해당하며, 앞으로 인문콘텐츠 분야 연구에서 ‘문화’, ‘콘텐츠’와 연계되어 주요하게 의미 확장의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끝으로 향후 인문콘텐츠 분야 연구들은 시대상에 맞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함께 지속적인 논의가 이뤄질 것이며, 다양한 영역, 다학제간 융 · 복합적 연구 성과를 기대해 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investigate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to understand the of Humanities Contents and (2) to examine the degree to which words, word clusters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semantic map within the Humanities Co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investigate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to understand the of Humanities Contents and (2) to examine the degree to which words, word clusters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semantic map within the Humanities Contents. Toward this goal, we performed semantic network analysis on a total of 39 volumes of the Human Contents of Association, which were published between 2003 and 2015. The total number of papers included in the current study were 510 with 53, 983 words. The word appeared in Title analyzed the semantic network by using the R program of Big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appeared significant change in the intellectual network of Humanities Contents studies. The words and relationship networks in accordance with the periodic step was changing. There was notable paradigm shift in Humanities Contents. Second, only a few top words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semantic map within the Human Contents Association studies for the past 13 years. Those words with high degree centrality included: ‘culture’, ‘contents’, ‘industry’, ‘digital’, ‘media’, ‘storytelling’. Words with betweenness centrality were very variety. As time goes by, It increased more and more. Semantic network analysis result, research in early studies was simple. To Latter increasingly complex and studies have been gradually embodied.
목차 (Table of Contents)
한국 암각화의 디지털콘텐츠 구축과 선사시대 생활상 복원
문화콘텐츠의 창의적 원천으로서의 일상성 · 원형 · 상상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