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요지역별 항만물류산업의 성장 비교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357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growth of the port logistics industry in Busan, Incheon and Jeonnam, and to suggest implications. We estimate the model using the level variable and the model using the fraction variable by reflecting the results of the panel cointegration test. The pooled model, fixed effect model, and random effect model were applied simultaneously according to selection criteria of appropriate model. The estimated results are as follows. In most of the models, the impact of labor on the growth of port logistics industry is highest in Incheon, followed by Busan and Jeonnam. The impact of capital on the port logistics industry growth is highest in Jeonnam, followed by Busan and Inche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growth of the regional port logistics industry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port hinterland and attract foreign and domestic investment in accordance with the loc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government should expand policy support to attract foregin direct investment and skilled workforc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growth of the port logistics industry in Busan, Incheon and Jeonnam, and to suggest implications. We estimate the model using the level variable and the model using the fraction variab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growth of the port logistics industry in Busan, Incheon and Jeonnam, and to suggest implications. We estimate the model using the level variable and the model using the fraction variable by reflecting the results of the panel cointegration test. The pooled model, fixed effect model, and random effect model were applied simultaneously according to selection criteria of appropriate model. The estimated results are as follows. In most of the models, the impact of labor on the growth of port logistics industry is highest in Incheon, followed by Busan and Jeonnam. The impact of capital on the port logistics industry growth is highest in Jeonnam, followed by Busan and Inche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growth of the regional port logistics industry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port hinterland and attract foreign and domestic investment in accordance with the loc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government should expand policy support to attract foregin direct investment and skilled workfor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안호, "항만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한국항만경제학회 21 (21): 141-160, 2005

      2 강상목, "항만물류산업의 총요소생산성과 그 분해요인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 24 (24): 47-70, 2008

      3 김상춘, "항만 액체화물 처리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울산항 액체화물 중심)" 한국항만경제학회 24 (24): 265-287, 2008

      4 최봉호, "한국 항만물류산업의 성장 결정요인 추정" 한국무역연구원 13 (13): 757-773, 2017

      5 최봉호, "한국 항만물류산업의 생산성 변화 추정" 한국무역통상학회 11 (11): 3-21, 2011

      6 김소연, "지역산업연관모형을 이용한 항만물류산업의 성장요인 분석: 부산, 울산, 인천을 대상으로" 한국무역연구원 13 (13): 693-712, 2017

      7 박석호, "조선산업의 생산성과 효율성 변화와 그 결정요인" 한국항만경제학회 28 (28): 155-177, 2012

      8 최봉호, "연구개발의 수출에 대한 영향 분석" 한국통상정보학회 12 (12): 251-270, 2010

      9 심재희, "사회간접자본과 지역경제성장의 상관성 분석" 한국산업경제학회 17 (17): 387-400, 2004

      10 배기형, "물류산업의 경제적 효과 분석 -산업연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물류학회 18 (18): 159-178, 2008

      1 김안호, "항만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한국항만경제학회 21 (21): 141-160, 2005

      2 강상목, "항만물류산업의 총요소생산성과 그 분해요인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 24 (24): 47-70, 2008

      3 김상춘, "항만 액체화물 처리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울산항 액체화물 중심)" 한국항만경제학회 24 (24): 265-287, 2008

      4 최봉호, "한국 항만물류산업의 성장 결정요인 추정" 한국무역연구원 13 (13): 757-773, 2017

      5 최봉호, "한국 항만물류산업의 생산성 변화 추정" 한국무역통상학회 11 (11): 3-21, 2011

      6 김소연, "지역산업연관모형을 이용한 항만물류산업의 성장요인 분석: 부산, 울산, 인천을 대상으로" 한국무역연구원 13 (13): 693-712, 2017

      7 박석호, "조선산업의 생산성과 효율성 변화와 그 결정요인" 한국항만경제학회 28 (28): 155-177, 2012

      8 최봉호, "연구개발의 수출에 대한 영향 분석" 한국통상정보학회 12 (12): 251-270, 2010

      9 심재희, "사회간접자본과 지역경제성장의 상관성 분석" 한국산업경제학회 17 (17): 387-400, 2004

      10 배기형, "물류산업의 경제적 효과 분석 -산업연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물류학회 18 (18): 159-178, 2008

      11 한동근, "대구지역 안경테 산업의 생산성 및 효율성 변화 분석" 한국경제통상학회 27 (27): 87-103, 2009

      12 신범철, "기업패널자료를 활용한 수출의 생산성 효과 분석" 한국국제통상학회 14 (14): 1-26, 2009

      13 최봉호, "광역권 항만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 25 (25): 21-42, 2009

      14 Levin, A., "Unit Root Test in Panel Data: Asymptotic and Finite-sample Properties" 108 : 1-24, 2002

      15 Statistics Korea, "Transportation Survey (Database)"

      16 Dowling, M., "Total Factor Productivity and Economic Growth Issues for Asia" 170-185, 1998

      17 Mahadevan, R., "To Measure or Not to Measure Total Factor Productivity Growth?" 31 : 365-378, 2003

      18 Im, K. S., "Testing for Unit Roots in Heterogenous Panels" 115 : 53-74, 2003

      19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Marine Fisheries Statistics (Database)"

      20 Meeusen, W., "Efficiency Estimation from Cobb-Douglas Production Functionwith Composed Error" 18 : 435-444, 1977

      21 Bank of Korea, "Economic Statistics System (Database)"

      22 Oh, Sung-Dong, "Economic Effects of the Port Industry and Port-related Services: Focusing on the Input-Output Analysis" 16 : 79-94, 2000

      23 Greene, W. H., "Econometric Analysis" Prentice Hall 283-338, 2002

      24 Jung, Bong-Min, "Analysis of Contribution to the National Economy of Shipping and Port Industry" 4 (4): 1-157, 2004

      25 Jung, Bong-Min, "A Study on the Contribution of Port Industry to Korean Economy: An Input-Output Approach" 25 (25): 1-14, 1998

      26 Kim, S., "A Decomposition of Total Factor Productivity Growth in Korean Manufacturing Industries: A Stochastic Frontier Approach" 16 : 269-281,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7 0.482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