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18세기 경기도관찰사의 업무 실태와 특징  :  『畿營狀啓謄錄』을 중심으로 = Characteristics of the Job of Provincial Governor of Gyeonggi-Do in 18th Century - Focusing on K i-Yung-Jang-Gae-Deung-Rok(畿營狀啓謄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212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경기도관찰사가 작성한 『畿營狀啓謄錄』를 분석함으로써 경기도관찰사의 업무실태와 업무특징을 살피기 위한 것이다. 『畿營狀啓謄錄』은 沈?之가 1783년(정조 7) 6월부터 1784년(정조 8) 6월까지, 윤달을 포함하여 약 13개월 간 작성한 장계를 정리한 것이다. 장계의 작성시기별, 업무분야별 집중도를 분석하여, 경기도관찰사의 업무 하중 정도와 중점업무 및 시기를 살폈다. 또한 경기도관찰사의 업무 특징을 확인하기 위해 『嶺營狀啓謄錄』에 담긴 경상도관찰사의 업무내용과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조선후기 지방통치의 운영 실제와 구체적 운영 방식을 규명하는 일단을 마련코자 하였다.
      심이지는 재임기간 동안 평균 이틀에 3건 정도의 장계를 작성하였다. 심이지는 농형과 우택에 대한 장계를 가장 많이 작성하였고 다음으로는 진휼 관련 내용이었다. 장계가 집중된 시기는 1784년 윤3월과 6월이었다. 윤3월에 장계 건수가 가장 높았던 이유는 농형과 우택에 대한 장계가 많았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농형이나 우택에 대한 정보를 담은 장계 외에 실제로 관찰사가 수행한 업무 중 빈도수가 높은 것은 진휼 업무였다.
      경기도관찰사의 업무특징은 경기감영의 위치와 관련성이 짙어 보인다. 심이지가 경기도 관찰사에 재임하였을 당시에 경기감영은 도성에 위치하고 있었다. 심이지는 국왕이 부르는 즉시 입궐하여 국왕을 친견하여야 했다. 입시 횟수는 월평균 2.5회에 이르렀다. 입시와 함께 경기도관찰사는 능원묘가 많은 경기도의 지역적 특징과 국왕의 행차에 영향을 받았다. 능원묘에 대한 관리업무와 상언 · 격쟁에 의한 추가 조사 등이 이에 해당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경기도관찰사가 작성한 『畿營狀啓謄錄』를 분석함으로써 경기도관찰사의 업무실태와 업무특징을 살피기 위한 것이다. 『畿營狀啓謄錄』은 沈?之가 1783년(정조 7) 6월부터 1784...

      이 연구는 경기도관찰사가 작성한 『畿營狀啓謄錄』를 분석함으로써 경기도관찰사의 업무실태와 업무특징을 살피기 위한 것이다. 『畿營狀啓謄錄』은 沈?之가 1783년(정조 7) 6월부터 1784년(정조 8) 6월까지, 윤달을 포함하여 약 13개월 간 작성한 장계를 정리한 것이다. 장계의 작성시기별, 업무분야별 집중도를 분석하여, 경기도관찰사의 업무 하중 정도와 중점업무 및 시기를 살폈다. 또한 경기도관찰사의 업무 특징을 확인하기 위해 『嶺營狀啓謄錄』에 담긴 경상도관찰사의 업무내용과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조선후기 지방통치의 운영 실제와 구체적 운영 방식을 규명하는 일단을 마련코자 하였다.
      심이지는 재임기간 동안 평균 이틀에 3건 정도의 장계를 작성하였다. 심이지는 농형과 우택에 대한 장계를 가장 많이 작성하였고 다음으로는 진휼 관련 내용이었다. 장계가 집중된 시기는 1784년 윤3월과 6월이었다. 윤3월에 장계 건수가 가장 높았던 이유는 농형과 우택에 대한 장계가 많았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농형이나 우택에 대한 정보를 담은 장계 외에 실제로 관찰사가 수행한 업무 중 빈도수가 높은 것은 진휼 업무였다.
      경기도관찰사의 업무특징은 경기감영의 위치와 관련성이 짙어 보인다. 심이지가 경기도 관찰사에 재임하였을 당시에 경기감영은 도성에 위치하고 있었다. 심이지는 국왕이 부르는 즉시 입궐하여 국왕을 친견하여야 했다. 입시 횟수는 월평균 2.5회에 이르렀다. 입시와 함께 경기도관찰사는 능원묘가 많은 경기도의 지역적 특징과 국왕의 행차에 영향을 받았다. 능원묘에 대한 관리업무와 상언 · 격쟁에 의한 추가 조사 등이 이에 해당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Ki-Yung-Jang-Gae-Deung-Rok, written by provincial governors of Gyeonggi-Do, so that it will show characteristics of the job of governor of Gyeonggi-Do. Ki-Yung-Jang-Gae-Deung-Rok is a document which was a paraphrased Jan-Gae by Sim Yi-Ji form Jun of 1783(Jung Jo 7) to Jun of 1784(Jung Jo 8). I analyzed it according to concentration of writing time and kind of jobs and then looked for work loads and main jobs of a provincial governor of Gyeonggi-Do. Through this, I tried to show specific methods of operation for local adminstration in the second half of Chosun.
      Sim Yi-Ji(沈?之) wrote three pieces of Jang-Gae(狀啓) every other day during his term in office. Jang-Gae relevant to agriculture and precipitation were top in the list of his Jang-Gae, and Jang-Gae relevant to relief followed. The periods, in which Jang-Gae was written intensively, were March(leap month) and Jun. The reason why the number of Jang-Gae in March(leap month) were the highest is that there were many Jang-Gaes relevant to agriculture and precipitation. Beside of Jang-Gaes relevant to agriculture and precipitation, the most frequent jobs of governors were ones related to relief.
      Characteristics of the job of governor of Gyeonggi-Do depends on the location of Gyeonggi Gam Yung(監營). Originally located in Su-Won, Gyeonggi Gam Yung moved to Gwangju and later relocated in Han-Sung Bu(漢城府) just outside of Don-Eu Moon. Gyeonggi Gam Yung had been located in the capital till 1886, when it moved to Su-Won. When Sim Yi-Ji started his term in office, Gyeonggi Gam Yung was in the capital. As soon as the king called him, he had to go to the palace and see the king in person. The number of his Ip Si(入侍) reached to average 2.5 in a month. Moreover he had to see the king when he had not been to the palace. Occasionally the king visited Gyeonggi Gam Yung on the way to somewhere else. Besides the king's the walk influenc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job of governor of Gyeonggi-Do. Because people used to submit Sang Un and Gyuk Jang when the king was out of the palace. About appeal to king(上言·擊錚), the king used to order reinvestigations with special Jun Gyo(傳敎). The governor had to reinvestigated the finished suits of the past.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of the job of governor of Gyeonggi-Do that I analyzed in Ki-Yung-Jang-Gae-Deung-Rok, I compared with the job of governor of Kyung-Sang-Do in Yung-Yung-Jang-Gae-Deung-Rok(嶺營狀啓謄錄). Yung-Yung-Jang-Gae-Deung- Rok was written from Jun of 1783 to March of 1784. Though my research was limited to two of provinces and there was a little time lapse, I conclude that the jobs of governors of Eight of Provinces had their own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their regional characters.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s Ki-Yung-Jang-Gae-Deung-Rok, written by provincial governors of Gyeonggi-Do, so that it will show characteristics of the job of governor of Gyeonggi-Do. Ki-Yung-Jang-Gae-Deung-Rok is a document which was a paraphrased Jan-Gae by Sim...

      This study analyzes Ki-Yung-Jang-Gae-Deung-Rok, written by provincial governors of Gyeonggi-Do, so that it will show characteristics of the job of governor of Gyeonggi-Do. Ki-Yung-Jang-Gae-Deung-Rok is a document which was a paraphrased Jan-Gae by Sim Yi-Ji form Jun of 1783(Jung Jo 7) to Jun of 1784(Jung Jo 8). I analyzed it according to concentration of writing time and kind of jobs and then looked for work loads and main jobs of a provincial governor of Gyeonggi-Do. Through this, I tried to show specific methods of operation for local adminstration in the second half of Chosun.
      Sim Yi-Ji(沈?之) wrote three pieces of Jang-Gae(狀啓) every other day during his term in office. Jang-Gae relevant to agriculture and precipitation were top in the list of his Jang-Gae, and Jang-Gae relevant to relief followed. The periods, in which Jang-Gae was written intensively, were March(leap month) and Jun. The reason why the number of Jang-Gae in March(leap month) were the highest is that there were many Jang-Gaes relevant to agriculture and precipitation. Beside of Jang-Gaes relevant to agriculture and precipitation, the most frequent jobs of governors were ones related to relief.
      Characteristics of the job of governor of Gyeonggi-Do depends on the location of Gyeonggi Gam Yung(監營). Originally located in Su-Won, Gyeonggi Gam Yung moved to Gwangju and later relocated in Han-Sung Bu(漢城府) just outside of Don-Eu Moon. Gyeonggi Gam Yung had been located in the capital till 1886, when it moved to Su-Won. When Sim Yi-Ji started his term in office, Gyeonggi Gam Yung was in the capital. As soon as the king called him, he had to go to the palace and see the king in person. The number of his Ip Si(入侍) reached to average 2.5 in a month. Moreover he had to see the king when he had not been to the palace. Occasionally the king visited Gyeonggi Gam Yung on the way to somewhere else. Besides the king's the walk influenc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job of governor of Gyeonggi-Do. Because people used to submit Sang Un and Gyuk Jang when the king was out of the palace. About appeal to king(上言·擊錚), the king used to order reinvestigations with special Jun Gyo(傳敎). The governor had to reinvestigated the finished suits of the past.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of the job of governor of Gyeonggi-Do that I analyzed in Ki-Yung-Jang-Gae-Deung-Rok, I compared with the job of governor of Kyung-Sang-Do in Yung-Yung-Jang-Gae-Deung-Rok(嶺營狀啓謄錄). Yung-Yung-Jang-Gae-Deung- Rok was written from Jun of 1783 to March of 1784. Though my research was limited to two of provinces and there was a little time lapse, I conclude that the jobs of governors of Eight of Provinces had their own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their regional charact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머리말
      • Ⅱ. 18세기 경기도 행정체계와 경기감영
      • Ⅲ. 경기도관찰사의 업무 실태
      • Ⅳ. 경기도관찰사의 업무 특징
      • 국문요약
      • Ⅰ. 머리말
      • Ⅱ. 18세기 경기도 행정체계와 경기감영
      • Ⅲ. 경기도관찰사의 업무 실태
      • Ⅳ. 경기도관찰사의 업무 특징
      • Ⅴ. 맺음말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林下筆記"

      2 이선희, "조선후기 영남지방 지방관의 행정소통 체계와 조정방식" 영남문화연구원 (16) : 45-75, 2009

      3 이선희, "조선후기 영남지방 지방관의 행정소통 체계와 조정방식" 영남문화연구원 (16) : 45-75, 2009

      4 이왕무, "조선후기 국왕의 都城內 幸行의 추세와 변화" 조선시대사학회 (43) : 95-131, 2007

      5 김양수, "조선후기 忠淸監司와 淸州守令의 출신성분과 재임실태" 한국사연구회 (125) : 119-175, 2004

      6 한기문, "조선전기 경상감사제도의 성립과 운용" 상주대 상주문화연구소 12 : 2002

      7 이수환_, "조선전기 慶尙監司와 都事의 巡歷과 통치기능-在嶺南日記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34 : 2006

      8 이수건, "조선시대 지방행정사" 민음사 187-192, 1989

      9 김선정, "조선시대 경기감영도 고찰, In 옛 그림속의 경기도" 경기문화재단 227-, 2005

      10 이선희, "조선시대 8도 관찰사의 재임실태" 한국학연구소 31 : 209-242, 2009

      1 "林下筆記"

      2 이선희, "조선후기 영남지방 지방관의 행정소통 체계와 조정방식" 영남문화연구원 (16) : 45-75, 2009

      3 이선희, "조선후기 영남지방 지방관의 행정소통 체계와 조정방식" 영남문화연구원 (16) : 45-75, 2009

      4 이왕무, "조선후기 국왕의 都城內 幸行의 추세와 변화" 조선시대사학회 (43) : 95-131, 2007

      5 김양수, "조선후기 忠淸監司와 淸州守令의 출신성분과 재임실태" 한국사연구회 (125) : 119-175, 2004

      6 한기문, "조선전기 경상감사제도의 성립과 운용" 상주대 상주문화연구소 12 : 2002

      7 이수환_, "조선전기 慶尙監司와 都事의 巡歷과 통치기능-在嶺南日記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34 : 2006

      8 이수건, "조선시대 지방행정사" 민음사 187-192, 1989

      9 김선정, "조선시대 경기감영도 고찰, In 옛 그림속의 경기도" 경기문화재단 227-, 2005

      10 이선희, "조선시대 8도 관찰사의 재임실태" 한국학연구소 31 : 209-242, 2009

      11 이선희, "조선시대 8도 관찰사의 재임실태" 한국학연구소 31 : 209-242, 2009

      12 최선혜, "고려말·조선초 지방세력의 동향과 관찰사의 파견" 78 : 1994

      13 최선혜, "고려말·조선초 관찰사론의 전개와 중앙집권체제의 정비" 76 : 1997

      14 이수환, "경상감사의 직무와 권한, In 경상감영의 종합적 연구"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04

      15 "高麗史"

      16 "輿地圖"

      17 "藏書閣"

      18 "英祖實錄"

      19 "肅宗實錄"

      20 "續大典"

      21 "續大典"

      22 "經國大典"

      23 "畿營狀啓謄錄"

      24 "畿營狀啓謄錄"

      25 "正祖實錄"

      26 任先彬, "朝鮮時代의 外官制度와 忠淸道觀察使" 2002

      27 李羲權, "朝鮮時代地方行政制度硏究" 일지사 1990

      28 李羲權, "朝鮮後期 觀察使와 그 統治機能" 9 : 1985

      29 張仁鎭, "朝鮮後期 慶尙監司考" 한국도서관협회 21 (21): 2-3, 1980

      30 李羲權, "朝鮮後期 地方統治行政 硏究" 集文堂 1998

      31 李存熙, "朝鮮前期의 外官制" 8 : 1989

      32 張炳仁, "朝鮮初期의 觀察使" 4 : 1978

      33 "新增東國輿地勝覽"

      34 "文宗實錄"

      35 "承政院日記"

      36 이수건, "慶尙道監營의 성립과 직제, In 경상감영의 종합적 연구"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04

      37 "大典會通"

      38 "光海君日記"

      39 "世宗實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7-03-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Academy of Korean ->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5-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angseogak -> JANGSEOGAK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6 0.86 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7 1.505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