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 서론 1.1 과업의 목적 1.2 과업의 범위 1.3 과업의 내용 2.0 유역의 개황 및 조사측량 2.1 유역의 개황 2.2 유역내 각 DAM별 주요제원 2.3 현지답사 2.4 조사측량 2.5 가수위표 및 기준점 매설 3.0 수위관측소 현황 3.1 낙동강수계 수위관측소 현황 3.2 금회 유량측정 지점별 개요 4.0 유량조사 4.1 개요 4.2 유량측정의 일반사항 4.2.1 유량측정지점의 위치선정 4.2.2 수위관측지점의 위치선정 4.2.3 유속측정 및 유량계산방법 4.3 홍수시 유량측정 4.3.1 유량측정설비 4.3.2 부자 4.3.3 부자측정 작업요령 4.3.4 부자측정에 의한 유량산정 4.4 평· 저수시 유량측정 4.4.1 유속계 4.4.2 우속계 측정방법 4.4.3 유속계의 의한 유량산정 4.5 기타 유량측정 4.5.1 대응수위 4.5.2 간접 유량측정 4.6 지점별 유량측정 성과 4.7 기존 유량측정 성과 5.0 자료분석 및 수위-유량곡선개발 5.1 자료분석방법 5.1.1 수위-유량 곡선식의 가정 및 유도 5.1.2 회귀분석 5.2 수위-유량 곡선식의 개발 5.2.1 관측소별 수위-유량 곡선식 5.2.2 관측소별 수위-유량 곡선식의 분석 5.3 수위-유량 곡선식의 적정 활용방안조사 5.3.1 곡선식 활용의 적정범위 5.3.2 수위 자료의 적정 활용 6.0 홍수위 기준 검토 및 설정 6.1 홍수위 기준 검토 6.2 홍수위 기준 6.3 홍수위 기준 설정 7.0 결론 및 건의 8.0 부도 8.1 수위-유량 곡선도 8.2 평면도 8.3 횡단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