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에 착수하게 된 배경 본 연구자는 지역개발학도로써 세계 여러 나라의 첨단산업지역 및 연구단지에 대한 연구를 추진해 오고 있다. 우리 나라 대덕연구단지와 같은 기존의 연구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73321
2003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 연구에 착수하게 된 배경 본 연구자는 지역개발학도로써 세계 여러 나라의 첨단산업지역 및 연구단지에 대한 연구를 추진해 오고 있다. 우리 나라 대덕연구단지와 같은 기존의 연구개...
1. 연구에 착수하게 된 배경
본 연구자는 지역개발학도로써 세계 여러 나라의 첨단산업지역 및 연구단지에 대한 연구를 추진해 오고 있다. 우리 나라 대덕연구단지와 같은 기존의 연구개발 중심지에 대한 발전방향을 제시하고, 또 장기적으로는 통일 후 북한지역의 경제구조를 개선하기 위해서도 선진 사례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맥락에서 지난 7-8년 동안 국제적으로 유명한 첨단산업단지를 직접 방문·견학하여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예를 들면, 2001년 1년 동안은 미국 실리콘 밸리에 체류하면서 심층적인 조사·연구를 추진하였고, 독일의 도르트문트에 대해서는 과학재단의 지원을 받아 2년 동안의 조사·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미국 보스톤 128번가, 대만의 신죽과학공원구, 일본의 쯔꾸바 과학도시, 중국 중관촌 등에 대해서도 직접 방문하여 조사를 실시하고, 그에 대한 연구논문을 발표하였다. 프랑스의 소피아-앙티폴리스에 대한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 추진하는 것이다.
2. 필요성
프랑스 소피아 앙티폴리스는 미국의 실리콘 밸리를 모델로 조성한 것이다. 소피아 앙티폴리스는 1990년대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여 많은 다국적 기업을 수용하긴 하였다. 그러나 이들이 창출하는 스핀오프 효과 및 지역경제 연계효과는 기대수준을 크게 밑돌고 있다는 비판을 면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최근 소피아 앙티폴리스에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 즉, 프랑스와 유럽 국가들의 경제가 전반적으로 침체되어 있던 1990년대를 통해서도 소피아 앙티폴리스는 매년 23개의 신규업체를 유치하였고, 그를 통해 연평균 약 700명의 고용을 창출하였다. 소피아 앙티폴리스는 지금까지 HP, Toyota 등 세계 굴지의 회사를 포함, 약 1,200여개의 기업을 유치하여 24,500여명을 고용하는 규모를 가진 연구개발 중심지로 자리매김 하였다.
즉, 소피아 앙티폴리스의 이와 같은 변화를 규명함으로써 일본의 쯔꾸바 연구학원도시나 우리 나라의 대덕연구단지와 같이 아직 조성목적을 달성하지 못한 사례들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바로 이러한 필요에 부응하기 위한 것이다.
3. 연구내용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기존의 연구결과에 기초해서 소피아 앙티폴리스가 지난 30여년 동안 성장해 온 과정을 분석하고, 소피아 앙티폴리스의 성장과정에 관여 해 온 주체들을 파악해 내며, 그 가운데 핵심적 역할을 담당한 주체를 규명한다.
둘째, 앞서 규명된 소피아 앙티폴리스의 성장에 기여한 핵심적인 주체들간의 기능과 역할, 또 그들 상호간의 관계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소피아 앙티폴리스의 성장과 변화, 그리고 그들이 지역사회에 뿌리내린 정도 등을 규명하고자 한다.
셋째, 소피아 앙티폴리스가 지역사회에 미친 사회적, 경제적 파급효과를 측정한다. 소피아 앙티폴리스는 허허벌판으로부터 시작하여 30년이 지난 지금에 와서는 세계 굴지의 첨단산업단지로 성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소피아 앙티폴리스가 지역에 미치는 사회·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인위적으로 조성한 대덕연구단지나 일본의 쯔꾸바 연구학원도시와 같이 첨단산업단지 내·외간 네트워크가 활성화되지 못한 단지를 효과적으로 지원·육성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4. 연구방법
본 연구에 필요한 자료는 첫째, 소피아 앙티폴리스의 입주업체들에 관한 자료, 둘째, 소피아 앙티폴리스에 입주한 각종 단체나 부대시설 등에 관한 자료, 셋째, 외부의 지원기관 및 업체에 관한 자료,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꽂데아쥐르 지방의 경제구조 관련 통계자료 등이다.
위와 같은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연구자는 인터넷 및 기성 출판물에 대한 문헌연구를 실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2004년 7월 경 현장을 방문하여 약 3주일간 체류하면서 소피아 앙티폴리스 내·외의 핵심적 기업과 정부기관, 단체, 협회 등을 방문하여 관계자를 면담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수집된 연구자료들은 기본적으로 네트워크 이론에 입각하여 분석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