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적 교육과정은 대체로 교육과정 연구가 이론적 측면에만 편중되어 있다는 한계에서 비롯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인 슈왑의 실제성은 이론에 편중된 한계를 극복하고 교육과정 문제가 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053295
2014
-
373
KCI등재
학술저널
169-191(23쪽)
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실제적 교육과정은 대체로 교육과정 연구가 이론적 측면에만 편중되어 있다는 한계에서 비롯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인 슈왑의 실제성은 이론에 편중된 한계를 극복하고 교육과정 문제가 인...
실제적 교육과정은 대체로 교육과정 연구가 이론적 측면에만 편중되어 있다는 한계에서 비롯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인 슈왑의 실제성은 이론에 편중된 한계를 극복하고 교육과정 문제가 인식되고 해결되는 실천 현장의 맥락에서 교육과정 실제성을
설명하고 있다. 이 연구는 슈왑의 실제적 교육과정의 한계를 탐색하고 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슈왑의 실제적 교육과정은 이론과 실제의 간극을 줄이고, 현장의 교육과정 개발 과정을 설명하려고 노력하였으나
본 연구 결과 실제적 교육과정에 관한 논의에 있어 몇 가지 한계가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첫째, 현장의 교사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육과정 개발모형 제시에 소극적인 점 둘째, 교육과정의 공통요소들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설명이 부족한 점 셋째, 이론과 실제를 구분하는 인식론적 관점에서 다소간의 문제가 존
재한다는 점이 한계점으로 지적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그에 대한 대안으로 ‘내러티브’ 관점을 제시하였다. 내러티브는 인간 경험의 본질을 나타내주며, 인간의 경험을 해석하고 인간의 의사소통을 이해할 수 있다는 성격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내러티
브의 성격은 슈왑의 실제적 교육과정이 가진 한계를 극복하고 이론들이 실제성에 더 가까운 실체를 구성할 수 있는 대안적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강현석, "현대 교육과정 탐구" 학지사 2011
2 강현석, "합리주의적 교육과정 체제에서 배제된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가능성과교과목 개발의 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3 (23): 83-115, 2005
3 김보민, "학교교육과정 개발과정의 분석과 대안모색 : J. Schwab의 "숙의(Deliberation)"개념을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4 김인식, "학교 중심 교육과정의 탐구" 경남대학교출판부 1998
5 박선미, "이론과 실행의 소통을 통한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4 (44): 5-20, 2005
6 김억환, "새로운 교육과정 탐구" 성원사 1991
7 이흔정, "내러티브의 교육과정적 의미 탐색" 안암교육학회 10 (10): 151-170, 2004
8 박민정, "내러티브란 무엇인가?: 이야기 만들기, 의미구성, 커뮤니케이션의 해석학적 순환" 교육연구소 7 (7): 27-47, 2006
9 김왕근,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개정 방식 개선에 관한 연구: 교실 수업 이해의 관점에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5 (35): 1-24, 2003
10 오영택, "교육학적 딜타이와 딜타이 학파" 4 : 68-81, 1980
1 강현석, "현대 교육과정 탐구" 학지사 2011
2 강현석, "합리주의적 교육과정 체제에서 배제된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가능성과교과목 개발의 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3 (23): 83-115, 2005
3 김보민, "학교교육과정 개발과정의 분석과 대안모색 : J. Schwab의 "숙의(Deliberation)"개념을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4 김인식, "학교 중심 교육과정의 탐구" 경남대학교출판부 1998
5 박선미, "이론과 실행의 소통을 통한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4 (44): 5-20, 2005
6 김억환, "새로운 교육과정 탐구" 성원사 1991
7 이흔정, "내러티브의 교육과정적 의미 탐색" 안암교육학회 10 (10): 151-170, 2004
8 박민정, "내러티브란 무엇인가?: 이야기 만들기, 의미구성, 커뮤니케이션의 해석학적 순환" 교육연구소 7 (7): 27-47, 2006
9 김왕근,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개정 방식 개선에 관한 연구: 교실 수업 이해의 관점에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5 (35): 1-24, 2003
10 오영택, "교육학적 딜타이와 딜타이 학파" 4 : 68-81, 1980
11 이귀윤, "교육학의 학문. 적 성격에서 본 교육연구의 과제" 50 : 177-198, 1986
12 박현주, "교육과정의 특성에서 본 `실제성(The Practical)'이론의 타당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1
13 홍후조, "교육과정의 이해와 개발" 문음사 2002
14 김성희, "교육과정 탐구를 위한 실제적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8 : 277-295, 1999
15 朴順璟, "교육과정 문제의 성격과 교육과정 `숙의'의 한계성 검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1
16 박천환, "교육과정 담론" 학지사 2013
17 박채형,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실제적 양식의 공헌과 한계" 한국도덕교육학회 21 (21): 231-251, 2010
18 홍은숙, "교사와 교육과정: 교사들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양서원 2007
19 강현석, "교과교육에서 내러티브의 의미와 가치" 역사교육학회 (46) : 3-59, 2011
20 소경희, "’교사 전문성’의 재개념화 방향 탐색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1 (21): 4-96, 2003
21 Donmoyer, R., "Theory, practice, and the double-edged problem of idiosyncrasy" 4 : 257-270, 1989
22 Schon, D., "The reflective practitioner: How professional think n action" Basic Books 1983
23 Schwab, J. J., "The practical: translation to curriculum. Scienc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65-383, 1973
24 Schwab, J. J., "The practical: Arts of eclectic. Scienc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22-364, 1971
25 Schwab, J. J., "The practical : A language for curriculum. Curriculum and Evaluation. In Bellack, A. A. & Kliebard, H. M. (Eds)" McCuchan 1969
26 Schwab, J. J., "The practical 4: something for curriculum professors to do" 13 (13): 239-266, 1983
27 Reid, W. A., "The Pursuit of curriculum schooling and the public interest" Ablex Publishing Co 1992
28 Gudmundstrottir, S., "The Narrative Nature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Narrative In Teaching, Learning, and Research" Teachers College Press 1995
29 Pinar, W., "The Method of Currere. In W. Pinar Autobiography, politics and sexuality: Essays in curriculum theory 1972-1992" Peter Lang 19-27, 1975
30 Egan, K., "Teaching as Storytelling"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6
31 윤병희, "Schwab의 실제적 커리큘럼 이론의 비판적 재평가" 한국교육원리학회 17 (17): 1-26, 2012
32 전호재, "Schwab의 실제적 교육과정 이론 탐구"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33 김아영, "Schwab의 숙의 이론의 쟁점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 (20): 43-60, 2006
34 김대현, "Schwab의 교육과정의 실제적 탐구 원리와 그에 대한 비판의 타당성 검토"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4 (54): 307-330, 2006
35 Mckeon, R. P., "Philosophy and Action" 62 (62): 79-100, 1952
36 Lauritzen, C., "Integrating learning through story: The narrative curriculum" Delmar Publishers 1997
37 Null, J. W., "Curriculum: from theory to practice" Rowman & Littlefield 2011
38 강현석, "Bruner의 내러티브 논의에 기초한 교육문화학의 장르에 관한 학제적 연구" 한국교육철학회 36 (36): 1-40, 2008
39 강현석, "Bruner의 교육과정 이론에서 지식의 재해석 : 지식의 구조와 내러티브의 관계" 한국교육철학회 38 (38): 1-34, 2009
40 Conle, C., "An Anatomy of Narrative Curricular" 32 (32): 3-15, 2003
41 Klein, M. F., "Alternative curriculum concepts and designs" 25 : 31-35, 1986
42 Klein, M. F., "A Perspective on the gap between curriculum theory and Practice" 31 : 191-197, 1992
후기 청소년의 문화자본, 직업포부, 교육포부, 학업성취의 구조적 관계
청년층 직업지도프로그램이 전문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9 | 1.29 | 1.3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7 | 1.42 | 1.436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