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고대 로마의 귀족 여성 루크레시아, 그리고 유교 고경에 나타난 유자의 이념형 속에서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매우 깊은 유사성을 발견한다. 서구전통에서 ‘자유’란 늘 폭력적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650572
2012
Korean
유교 ; 여성 ; 문명화 과정 ; 승화 ; Confucianism ; Woman ; Civilizing Process ; Sublimation
학술저널
199-222(2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고대 로마의 귀족 여성 루크레시아, 그리고 유교 고경에 나타난 유자의 이념형 속에서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매우 깊은 유사성을 발견한다. 서구전통에서 ‘자유’란 늘 폭력적이...
이 논문은 고대 로마의 귀족 여성 루크레시아, 그리고 유교 고경에 나타난 유자의 이념형 속에서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매우 깊은 유사성을 발견한다. 서구전통에서 ‘자유’란 늘 폭력적이고 자의적인 군주로부터의 자유였다. 폭군을 통제하고 견제하는 만큼의 자유였다. 이것이 모든 자유의 근간이었다. 루크레시아는 서구 전통에서 그러한 의미의 자유를 상징하는 중요한 기호의 하나다. 유교 교의의 중심인 성왕론의 핵심에도 군주의 자의적 폭력[私]에 결사적으로 맞서 유교의 가치[公]를 지키려고 하는 의지가 숨어있다. ‘동양유교사회에는 군주에 대한 어떤 견제도 존재하지 않는다’라고 하는 ‘동양적 전제주의(Oriental despotism)"는 완전한 넌센스다. 오히려 그 반대가 사실에 가깝다. 유교만큼 치열하게 군주 견제를 교리의 중심에 놓는 정치종교는 존재하지 않는다. 유교에서의 자유정신과 모종의 여성성, 또는 특정한 신분의 여성이 갖는 명예의식과의 이러한 관련성은 주목할 만 한 것이다. 여기서 유교 특유의 심리적 에너지원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유교를 넘어선다고 하는 의지도, 이러한 모종의 심리적 에너지를 어떤 방식으로 전환시켜 가느냐와 깊이 관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finds a deep relationship between ideal types of Confucians and Lucretia, an aristocratic woman in the ancient Roman era. Liberty in Western traditions originated from the notion of the liberty from the aribitrary, violent rule of the king....
This paper finds a deep relationship between ideal types of Confucians and Lucretia, an aristocratic woman in the ancient Roman era. Liberty in Western traditions originated from the notion of the liberty from the aribitrary, violent rule of the king. Lucretia, in the Western literary tradition, symbolizes the liberty in that sense. There is also a strong emphasis upon checking the arbitrary, violent ruler in Confucian credo.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ory of Lucretia and the ideal attitudes of Confucians reveals a hidden connection between femininity and Confucianism.
목차 (Table of Contents)
19세기 후반 지식세계의 변화와 다산(茶山) 호출(呼出)의 성격
1930년대 조선학(朝鮮學) 운동과 ‘실학자(實學者) 정다산(丁茶山)’의 재발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