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효과란 행동이 시작하기 전에 반대방향으로 일어나는 행동을 위한 준비단계로 주로 이차원 애니메이션에서 행동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본 논문은 영상을 매개로 하여 인식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309561
2007
Korean
학술저널
1-6(6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기대효과란 행동이 시작하기 전에 반대방향으로 일어나는 행동을 위한 준비단계로 주로 이차원 애니메이션에서 행동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본 논문은 영상을 매개로 하여 인식기...
기대효과란 행동이 시작하기 전에 반대방향으로 일어나는 행동을 위한 준비단계로 주로 이차원 애니메이션에서 행동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본 논문은 영상을 매개로 하여 인식기반의 기대효과를 자동 생성함으로써 시청자의 주의를 임의의 정보에 집중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미지 기반의 집중점을 찾는 문제와 영상 속의 움직임을 찾는 방법을 바탕으로 집중성 강화 알고리즘을 역으로 풀어 기대효과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주요점에 정보를 반대로 약화시키는 기대효과를 통해 주요점을 더욱 역동적으로 강조 할 수 있다. 본 논문의 알고리즘을 통해 광고 등의 정보 전달을 위한 영상 또는 역동적 표현이 필요한 영상의 보정이 가능해진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ticipation effect has been used as a traditional skill to enhance the dynamic motion of the traditional 2D animation. Basically, anticipation means the action of opposite direction which performs before the real action step. In this paper, we propos...
Anticipation effect has been used as a traditional skill to enhance the dynamic motion of the traditional 2D animation. Basically, anticipation means the action of opposite direction which performs before the real action step.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perception-based video anticipation method to guide a user’s visual attention to the important region. Using the image based attention map, we calculate the visual attention region and then combine this map with temporal saliency of video. We apply the anticipation effect in these saliency regions using the blur kernel. Using our method, we can generate the dynamic video motion which has attentive guidance.
스케치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데이터 기반 얼굴 애니메이션
Level of Length Detail for Representing Virtual Objects’ Real Length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07 | 0.07 | 0.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05 | 0.04 | 0.297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