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남북통일을 향한 한국교회의 선교역사 = History of Korea Church toward South and North Korea Unification on the Missional Perspectiv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4490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한국교회와 기독교인들이 남북통일을 향한 선교역사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한국교회는 에큐메니컬(ecumenical) 입장과 복음주의(evangelical)의 입장에서 북한선교와 통일을 다루었는...

      본 논문은 한국교회와 기독교인들이 남북통일을 향한 선교역사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한국교회는 에큐메니컬(ecumenical) 입장과 복음주의(evangelical)의 입장에서 북한선교와 통일을 다루었는데, 거기에는 차이가 있다. 복음주의 입장에서의 선교는 북한의 복음화에 집중하고, 반면에 에큐메니컬 입장은 하나님의 선교라는 관점에서 통일 자체를 선교라고 본다. 이런 두 진영의 차이에도 남북 간의 통일에 대한 문제는 선교신학적 차이를 넘어서서 민족적인 문제이며, 한국교회의 선교적인 책무이다. 본 논문은 통일에 대한 관점을 통전적인 시각으로 전개하였다. 선교적인 관점에서 남북통일 문제는 에큐메니컬 입장이나 복음주의 입장, 어느 한쪽의 입장에 치우치지 않고 총체적이고, 통전적인 관점에서 다루고자 한다. 본 연구는 통일을 향한 선교신학적인 관점으로서 북한선교를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지를 다루었고, 통일에 대한 선교역사적인 관점을 설명하였다. 또한 남북 간의 통일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이해하면서 통일에 대한 한국교회와 기독교인의 입장에서 접근과 제언을 시도하면서 한국교회의 과제를 논의하였다. 현재 남한에서는 통일에 대한 논의가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측면에서 계속 논의되어왔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기독교 선교적 관점에서 북한선교와 통일을 다루었다. 남북통일은 하나님께서 이 시대에 한국교회와 기독교인들에게 부여하신 주님의 명령이며, 사명이며, 중요한 과제이다. 남북통일을 이루어 가는 길은 샬롬의 평화를 성취하는 것이다. 또한 기독교인의 시각에서 남북통일은 북한의 복음화와 하나님의 정의를 실천 하는 길이며, 하나님의 선교를 이루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in Korea churches and Christian. Korea Churches deal with Ecumenical stance and Evangelical position about Unification and North Korea Mission, so they have different perspectives. The mission...

      This study focuses on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in Korea churches and Christian. Korea Churches deal with Ecumenical stance and Evangelical position about Unification and North Korea Mission, so they have different perspectives. The mission of Evangelism concentrate on preaching of gospel, however ecumenical mission focus on its unification about North Korea Mission. We realize that between ecumenical and evangelical opinion in missional difference, we should be work north and south unification, because it is task of mission work. The South and North Korea is to accomplish national reconciliation and peaceful unification of true meaning. We have understanding these areas must be a prerequisite for North Korea missions. In this article on approach and principles of an effective mission strategy through understanding the history and status of North Korea missions, I would present a way to bring together concepts of North Korea mission which are to pursue with the evangelical and ecumenical perspectives of the South Korean church. Korea churches are an important mission task toward North Korea missions and Unification, not only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Great Commission of Jesus Christ, but also achieve peace of shalom in North and South Korea. Above all we should understood that North Korea missions is the evangelization in North Korea and justice of God. Also, we should composed of mission of God in North and South Ko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한글초록
      • Ⅰ. 들어가는 글
      • Ⅱ. 통일과 한국교회
      • Ⅲ. 선교 역사적 관점에서 본 통일
      • Ⅳ. 남북통일을 향한 남한교회의 과제
      • 한글초록
      • Ⅰ. 들어가는 글
      • Ⅱ. 통일과 한국교회
      • Ⅲ. 선교 역사적 관점에서 본 통일
      • Ⅳ. 남북통일을 향한 남한교회의 과제
      • Ⅴ. 나가는 글
      • Abstract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흥수, "희년신학과 통일 희년운동" 한국신학연구소 1995

      2 남태욱, "한반도통일과 기독교현실주의" 나눔사 2012

      3 임희모, "한반도 평화와 통일선교" 다산글방 2007

      4 한기양, "한반도 통일과 기독교" 열린출판사 2011

      5 정성한, "한국기독통일운동사" 그리심 2006

      6 이만열, "한국기독교와 한민족 통일운동" 한국역사연구소 2001

      7 정일웅, "한국교회의 통일노력" 범지출판사 2015

      8 윤은주, "한국교회와 북한 인권운동" CLC 2015

      9 "한국교회공보"

      10 박종화, "한국교회 통일운동에 관한 신학적 반성과 미래 전망" 1992

      1 김흥수, "희년신학과 통일 희년운동" 한국신학연구소 1995

      2 남태욱, "한반도통일과 기독교현실주의" 나눔사 2012

      3 임희모, "한반도 평화와 통일선교" 다산글방 2007

      4 한기양, "한반도 통일과 기독교" 열린출판사 2011

      5 정성한, "한국기독통일운동사" 그리심 2006

      6 이만열, "한국기독교와 한민족 통일운동" 한국역사연구소 2001

      7 정일웅, "한국교회의 통일노력" 범지출판사 2015

      8 윤은주, "한국교회와 북한 인권운동" CLC 2015

      9 "한국교회공보"

      10 박종화, "한국교회 통일운동에 관한 신학적 반성과 미래 전망" 1992

      11 한국기독교사연구회, "한국 기독교의 역사(I)" 기독교문사 1989

      12 통일노력 60년 발간위원회, "하늘길 땅길 바닷길 열어 통일로" 도서출판 다해 2005

      13 배희숙, "평화통일신학" 장로회신학대학교 2015

      14 정원범, "평화운동과 평화선교" 한들출판사 2009

      15 허호익, "통일을 위한 기독교신학의 모색" 동연 2010

      16 노정선, "통일신학을 향하여" 한울아카데미 2007

      17 서울신학대학 평화통일연구원, "통일시대로 가는 평화의 길" 열린 서원 2015

      18 주도홍, "통일로 향하는 교회의 길" CLC 2015

      19 박영환, "통일과정에서 북한선교의 기능적 역할로 본 북한교회 재건" 한국선교신학회 15 (15): 167-203, 2007

      20 박영신, "통일, 사회통합, 하나님나라" 대한기독교서회 2010

      21 박영환, "통일, 남과 북, 기독교의 역할" 한국선교신학회 22 (22): 99-134, 2009

      22 주도홍, "통일, 그 이후" IVP 2008

      23 허성업, "통일 관계에서 본 북한선교 정책전략: 북한의 인권과 탈북민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선교신학회 (42) : 323-358, 2016

      24 "크리스찬 저널"

      25 "조선일보"

      26 한국기독교통일연구소, "손에 잡히는 통일 선교캠프" 포앤북스 2015

      27 이원설, "성숙한 교회와 통일교육"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출판국 1989

      28 기독교통일연구소, "성경으로 읽는 북한선교" 한국기독교통일연구소 2013

      29 조은식, "선교와 통일" SSU Press(숭실대학교 출판부) 2014

      30 정종훈, "생명봉사적 통전선교 이해와 전망" 케노시스 2015

      31 임희모, "생명봉사적 통전선교 이해와 전망" 케노시스 2015

      32 조은식, "삶에서 찾는 문화선교" 숭실대학교 출판부 2009

      33 조은식, "북한이탈주민들의 적응과정 연구" 한국선교신학회 (14) : 95-123, 2007

      34 박영환, "북한선교의 이해와 사역" 올리브나무 2010

      35 조요셉, "북한선교의 마중물 탈북자" 두날개 2013

      36 김영욱, "복음주의 입장에서 본 북한선교"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2012

      37 전석재, "변화하는 현대선교전략" 대한기독교서회 2014

      38 허문영, "민족통일과 한국기독교" IVP 1994

      39 임헌만, "마음치유를 통한 북한선교" 두날개 2012

      40 "들소리 신문"

      41 조은식, "남한 교회의 통일운동 연구: 해방이후부터 문민정부까지" 세계선교연구원 (15) : 13-40, 2005

      42 유경동, "남북한 통일과 기독교의 평화" 나눔사 2012

      43 임희모, "남북한 분단체제와 평화통일운동으로서의 선교" 세계선교연구원 (35) : 117-158, 2015

      44 방연상, "남북분단 70년과 북한선교의 방향성 모색" 한국선교신학회 (38) : 201-236, 2015

      45 허성업, "남북관계에서 본 북한 선교정책 전망: 한국교회의 북한선교 방향성 고찰" 한국선교신학회 (39) : 391-425, 2015

      46 유석렬, "김정일정권 와해와 북한선교" 문광서원 2011

      47 모퉁이돌선교회, "김정일 이후의 북한선교" 예영커뮤니케이션 2008

      48 김영한, "개혁주의평화통일신학" 숭실대출판부 2012

      49 박영환, "개성공업지구와 북한선교" 바울 2008

      50 Guthrie, Stan, "North Korea: if and when the doors open" 32 (32): 1996

      51 전석재, "21세기 복지와 선교" 도서출판 대서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8-25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Mission Studies -> The Korean Society of Mission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1 0.84 0.564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