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모래상자를 이용한 자기분석 과정에서 상담자와 내담자의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 놀이치료사 훈련생을 대상으로 = Analysis of counselor and client verbal response interaction in self-analysis process using sandtray: Focusing on play therapist traine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385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analyzed the verbal response interaction to clarify the sequential dependence of verbal response between counselor and client. With regard to contents of verbal response interaction, client talked about thought that comes into mind or feeling when she sees the works created and symbolized in sandtray at the initial phase of counselling for self-analysis. The objec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ed: First, compare initial verbal response of counselor with that of client. Second, analyze the verbal response interaction between counselor and client. Study subjects are 7 clients and a total of 15 cases, that is, the contents of initial phase, 1st, 2nd and 3rd session of counselling were analyzed among the counseling of self-analysis process that consists of 10 sessions. With regard to study results, the response of counselling that makes the clients reach the 1st awareness stage when analyzing the verbal response interaction between counselor and client was closed question, clarification and self-disclosure; open question, encourager, closed question and clarification at the 2nd awareness stage; open question, encourager, clarification and self-disclosure at the 3rd awareness stage; clarification, open question, self-disclosure at the 4rd awareness stage. Response of counselor that made the client reach the level of insight at the initial process of counseling was confrontation, restatement and self-disclosure.
      번역하기

      This study was analyzed the verbal response interaction to clarify the sequential dependence of verbal response between counselor and client. With regard to contents of verbal response interaction, client talked about thought that comes into mind or f...

      This study was analyzed the verbal response interaction to clarify the sequential dependence of verbal response between counselor and client. With regard to contents of verbal response interaction, client talked about thought that comes into mind or feeling when she sees the works created and symbolized in sandtray at the initial phase of counselling for self-analysis. The objec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ed: First, compare initial verbal response of counselor with that of client. Second, analyze the verbal response interaction between counselor and client. Study subjects are 7 clients and a total of 15 cases, that is, the contents of initial phase, 1st, 2nd and 3rd session of counselling were analyzed among the counseling of self-analysis process that consists of 10 sessions. With regard to study results, the response of counselling that makes the clients reach the 1st awareness stage when analyzing the verbal response interaction between counselor and client was closed question, clarification and self-disclosure; open question, encourager, closed question and clarification at the 2nd awareness stage; open question, encourager, clarification and self-disclosure at the 3rd awareness stage; clarification, open question, self-disclosure at the 4rd awareness stage. Response of counselor that made the client reach the level of insight at the initial process of counseling was confrontation, restatement and self-disclos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상담에서 내담자 변화의 주요 코드를 자각과 통찰이라고 할 때 상담초기에 내담자의 자각과 통찰에 영향을 미치는 상담자-내담자간의 언어 반응을 분석한 것이다. 언어 반응의 내용은 놀이치료사 훈련생들의 자기분석을 위한 상담에서 내담자가 모래상자 위에 상징물로 작품을 만들고 형상화된 작품을 보고 떠오르는 생각이나 느낌을 이야기하면서 상담을 진행한 것이다. 연구문제는 첫째, 상담자의 초기 언어반응과 내담자의 언어반응을 비교한다. 둘째, 상담자와 내담자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분석한다. 연구 대상은 7명이며 분석 자료는 전체 10회기로 구성된 자기분석 과정의 상담 중에서 초기 1, 2, 3회기의 상담 내용, 총 15사례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는 첫째, 상담자의 언어반응에서 가장 많이 나온 상담자 반응의 순서는 개방질문/폐쇄질문, 가벼운 격려, 해석, 재진술이며, 가장 많이 나온 내담자 반응의 순서는 자각 2, 자각 3, 자각 1, 자각 4, 통찰 1이다. 둘째, 상담자-내담자 간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분석 했을 때 내담자가 자각 1수준에 빨리 도달하게 하는 상담자의 반응은 폐쇄질문, 명료화, 자기개방이며 자각 2수준에서는 개방질문, 격려, 폐쇄질문, 명료화이며, 자각 3수준에서는 개방질문, 격려, 명료화, 자기 개방이며, 자각 4수준에서는 명료화, 개방질문, 자기개방이다. 상담의 초기과정에서 내담자가 통찰수준에 도달하게 한 상담자의 반응은 직면, 재진술, 자기개방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상담에서 내담자 변화의 주요 코드를 자각과 통찰이라고 할 때 상담초기에 내담자의 자각과 통찰에 영향을 미치는 상담자-내담자간의 언어 반응을 분석한 것이다. 언어 반응의 내...

      본 연구는 상담에서 내담자 변화의 주요 코드를 자각과 통찰이라고 할 때 상담초기에 내담자의 자각과 통찰에 영향을 미치는 상담자-내담자간의 언어 반응을 분석한 것이다. 언어 반응의 내용은 놀이치료사 훈련생들의 자기분석을 위한 상담에서 내담자가 모래상자 위에 상징물로 작품을 만들고 형상화된 작품을 보고 떠오르는 생각이나 느낌을 이야기하면서 상담을 진행한 것이다. 연구문제는 첫째, 상담자의 초기 언어반응과 내담자의 언어반응을 비교한다. 둘째, 상담자와 내담자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분석한다. 연구 대상은 7명이며 분석 자료는 전체 10회기로 구성된 자기분석 과정의 상담 중에서 초기 1, 2, 3회기의 상담 내용, 총 15사례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는 첫째, 상담자의 언어반응에서 가장 많이 나온 상담자 반응의 순서는 개방질문/폐쇄질문, 가벼운 격려, 해석, 재진술이며, 가장 많이 나온 내담자 반응의 순서는 자각 2, 자각 3, 자각 1, 자각 4, 통찰 1이다. 둘째, 상담자-내담자 간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분석 했을 때 내담자가 자각 1수준에 빨리 도달하게 하는 상담자의 반응은 폐쇄질문, 명료화, 자기개방이며 자각 2수준에서는 개방질문, 격려, 폐쇄질문, 명료화이며, 자각 3수준에서는 개방질문, 격려, 명료화, 자기 개방이며, 자각 4수준에서는 명료화, 개방질문, 자기개방이다. 상담의 초기과정에서 내담자가 통찰수준에 도달하게 한 상담자의 반응은 직면, 재진술, 자기개방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승희, "정신역동적 초기 상담에서 상담자와 내담자의 언어적 반응양식의 연계분석" 1995

      2 정방자, "정신역동적 상담과정에서의 상담자와 내담자의 언어반응 변화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6

      3 유정이, "연계분석으로 본 언어 상호작용과 공감적 이해의 지각"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0

      4 방기연, "상담초기 작업동맹과 상담자 반응간의 관계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1

      5 김수현, "상담자의 언어반응과 내담자의 친애욕구가 상담의 과정변인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8

      6 김원중, "상담자 자기개방이 관찰자의 상담평가에 미치는 영향 상담자의 성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3

      7 윤혜란, "상담자 언어의 반응구조화정도와 내담자 반응유형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2

      8 최해림, "상담자 교육과 슈퍼비전의 협조 체제" 16 : 63-87, 1998

      9 최해림, "상담자 교육과 슈퍼비전의 현재" 17 (17): 1-18, 1999

      10 김영혜, "상담과정에서 내담자의 자각과 통찰에 영향을 주는 상담자의 언어 반응들" 2001

      1 이승희, "정신역동적 초기 상담에서 상담자와 내담자의 언어적 반응양식의 연계분석" 1995

      2 정방자, "정신역동적 상담과정에서의 상담자와 내담자의 언어반응 변화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6

      3 유정이, "연계분석으로 본 언어 상호작용과 공감적 이해의 지각"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0

      4 방기연, "상담초기 작업동맹과 상담자 반응간의 관계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1

      5 김수현, "상담자의 언어반응과 내담자의 친애욕구가 상담의 과정변인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8

      6 김원중, "상담자 자기개방이 관찰자의 상담평가에 미치는 영향 상담자의 성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3

      7 윤혜란, "상담자 언어의 반응구조화정도와 내담자 반응유형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2

      8 최해림, "상담자 교육과 슈퍼비전의 협조 체제" 16 : 63-87, 1998

      9 최해림, "상담자 교육과 슈퍼비전의 현재" 17 (17): 1-18, 1999

      10 김영혜, "상담과정에서 내담자의 자각과 통찰에 영향을 주는 상담자의 언어 반응들" 2001

      11 금명자, "상담 단계와 내담자 체험수준에 따른 상담자 개입패턴의 즉시성 성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4

      12 최혜라, "대학 상담장면에서의 모래놀이치료의 적용" 5 : 123-154, 1997

      13 김용장, "내담자의 자기은폐와 상담자의 언어반응 유형에 따른 상담의 효율성" 1999

      14 손진희, "내담자의 자기은폐 수준에 따른 상담회기, 작업동맹 평가 및 상담자-내담자의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초심 상담자를 대상으로." 16 (16): 327-345, 2004

      15 Farthing, "The psychology of consciousness" Prentice Hall 1992

      16 Stiles, "Measurement of the impact of psychotherapy session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176-185, 1987

      17 & Kim,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57-364, 1989

      18 Regan, "Investigation of what clients and counselors do not say in brief therap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168-174, 1992

      19 & Hill, "Factors affecting client change in individual counseling Handbook of Counseling Psychology" 334-396, 1984

      20 Horowitz, M. J, "Cognitive psycho dynamics: From conflict to character"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1998

      21 Kelly, A. E, "Clients' secret keeping in outpatient therapy." 45 : 50-57, 1998

      22 Hill, "Beneath the surface of long-term therapy Therapist and client report of their own and each other's covert proces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78-287, 1993

      23 Larsen, "Assessment of client/patient satisfaction Development of general scale" 1979197-207

      24 Robert, "Assessing client satisfaction among hispanics" 401-413, 1984

      25 Lichtenberg, "Analysis of sequence and pattern in process resear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170-181, 198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8 0.98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1.04 1.316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