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의 제사" 필기획 2003
2 이수미, "태조어진의 제작과 봉안 in : 왕의 초상- 경기전과 이성계" 국립전주박물관 2005
3 이희권, "조선후기 지방통치행정연구" 신아출판사 1999
4 김우철, "조선후기 지방군제사" 경인문화사 2001
5 지두환, "조선후기 종묘제도의 변천" 26 : 2004
6 金友哲, "조선후기 江原道 地方軍制의 변천" 조선시대사학회 24 (24): 185-208, 2003
7 김우철, "조선후기 束伍軍 給保·給復策의 推移" 4 : 1996
8 조인수, "조선초기 태조 어진의 제작과 태조진전의 운영-태조,태종을 중심으로-" (3) : 2004
9 지두환, "조선초기 유교적 국가의례에 대한 연구" 10 : 1998
10 정태헌, "조선초기 禁火施策에 관한 연구" 23 : 1989
1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의 제사" 필기획 2003
2 이수미, "태조어진의 제작과 봉안 in : 왕의 초상- 경기전과 이성계" 국립전주박물관 2005
3 이희권, "조선후기 지방통치행정연구" 신아출판사 1999
4 김우철, "조선후기 지방군제사" 경인문화사 2001
5 지두환, "조선후기 종묘제도의 변천" 26 : 2004
6 金友哲, "조선후기 江原道 地方軍制의 변천" 조선시대사학회 24 (24): 185-208, 2003
7 김우철, "조선후기 束伍軍 給保·給復策의 推移" 4 : 1996
8 조인수, "조선초기 태조 어진의 제작과 태조진전의 운영-태조,태종을 중심으로-" (3) : 2004
9 지두환, "조선초기 유교적 국가의례에 대한 연구" 10 : 1998
10 정태헌, "조선초기 禁火施策에 관한 연구" 23 : 1989
11 지두환, "조선전기 종묘제도 연구" 8 : 2000
12 조선미, "조선왕조시대에 있어서의 眞殿의 발달-문헌상에 나타난 기록을 중심으로-" 145 : 1980
13 차문섭, "조선시대 군제연구" 단대출판부 1995
14 한형주, "조선시대 국가제사의 시대적 특성" 민족문화연구원 41 (41): 3-39, 2004
15 이성미, "조선시대 御眞關係 都監 儀軌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16 김해영, "조선 초기 사전(祀典)에 관한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1993
17 이욱, "조선 전기 유교국가의 성립과 국가제사의 변화" 한국사연구회 (118) : 6-194, 2002
18 박원재, "제사와 제례문화" 한국국학진흥원 2005
19 양만정, "전주사고본 조선왕조실록의 보존에 관한 고찰" 전북향토문화연구회 2 : 1988
20 조준하, "우리나라의 제사문화와 종묘대제" 2001
21 전주국립박물관, "왕의 초상- 태조이성계와 경기전" 2005
22 "오례통고(흠정사고전서)"
23 이희권, "역사로 보는 전라도" 신아출판사 2001
24 허흥식, "불교와 융합된 왕실의 조상숭배" 일조각 1990
25 지두환, "국조오례의 편찬과정(Ⅰ)- 길례, 종묘, 사직제의(社稷祭儀)를 중심으로-" 9 : 1985
26 이동희, "고지도로 본 조선시대의 전주 in : 지도로 찾아가는 도시의 역사" 전주역사박물관 2004
27 홍승재, "경기전의 건축특성 in : 왕의 초상- 경기전과 이성계" 국립전주박물관 2005
28 조인수, "경기전 태조어진과 진전의 성격: 중국과의 비교적 관점을 중심으로 in : 왕의 초상- 경기전과 이성계" 국립전주박물관 2005
29 주웅영, "가묘의 설립배경과 그 기능" 7 : 1985
30 "輿地圖書"
31 "肇慶廟慶基殿大修理謄錄寫本"
32 한우근, "經國大典 註釋篇"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33 이경자, "漢代의 孝敎政策에 관한 연구" 안암교육학회 10 (10): 63-84, 2004
34 완산, "湖南邑誌"
35 "朝鮮王朝實錄"
36 김해영, "朝鮮 初期 文廟 享祀制에 대하여" 15 : 2000
37 권오돈, "新譯 禮記" 홍신문화사 1982
38 "慶基殿儀"
39 김정문, "慶基殿 土地利用變遷過程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20 (20): 14-25, 2002
40 "國朝五禮儀"
41 魏昌祖, "北道陵殿誌" 1748
42 김용천, "前漢時代 郡國廟 置廢 論議" 37 :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