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1596년 근수배신(跟隨陪臣) 일본 파견 배경과 황신의 활동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문에서는 1596년 명과 일본의 강화교섭 시기 명이 파견한 봉 왜책사를 수행한 조선의 배신을 파견한 배경과 경과를 분석하였 다. 선행 연구에서는 황신의 일본 왕환을 통신사행으로 간주했으나, 이는 일본측 사료와 일부 후대 편찬된 사료에서 통신사로 명 명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문에서는 『선조실록』을 비롯해 당시 영의정 류성룡의 『서애집』, 대사헌 이호민이 1597년 정월에 명 만력제에게 올린 주문, 윤국형의 『갑진만록』등의 내용을 토대로 조선 조정에서는 ‘근수배신’의 직함으로 파견되었음을 밝혔다. 또 한 본문에서는 근수배신 황신 일행의 일본 왕환과 일본 관백의 책봉을 명신종에게 요청하는 일본의 표문과 강화의 조건으로 황제 가 보낸 책봉고명과 칙유문의 내용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일본 측에서는 무리하게 강화를 추진한 고니시 유키나가와 쓰시 마 태수 소 요시토시의 세력에 의해 관백을 일본 국왕으로 책봉하 는 의례를 진행했다. 그러나 이에 반대하는 가토 기요마사 등의 참소로 인해 결국 히데요시는 선조의 서폐를 수용하지 않고 조선 사신을 만나지 않았으며, 황제에 대한 회사(回謝) 표문도 없이 명 사를 추방하다시피 돌려보냈다. 일본의 이와 같은 상황은 황신 일 행이 정보 수집에 더 큰 관심을 기울이게 했다. 일본과의 강화를 원치 않았던 선조는 조정 대신들이 서계를 전 달하지 못한 황신의 탄핵을 요청했음에도 황신 일행을 포상하기에 이른다. 선조는 황신이 올린 장계 외에도 그를 직접 불러 문답을 통해 당시 관백이 조선 사신을 만나기를 거부한 이유와 명사가 관 백을 책봉했으나 결국 강화가 결렬된 이유를 상세히 질문했다. 또 한 황신 일행은 쓰시마가 왜구의 조선 침략에서 앞잡이 노릇을 한 점을 간파하여 이후 왜구 재침에 맞서 쓰시마의 지세와 호구수를 파악하고, 쓰시마에 대한 계책을 적극적으로 세울 것을 강조한 것은 그의 정세 파악 능력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번역하기

      본문에서는 1596년 명과 일본의 강화교섭 시기 명이 파견한 봉 왜책사를 수행한 조선의 배신을 파견한 배경과 경과를 분석하였 다. 선행 연구에서는 황신의 일본 왕환을 통신사행으로 간주했...

      본문에서는 1596년 명과 일본의 강화교섭 시기 명이 파견한 봉 왜책사를 수행한 조선의 배신을 파견한 배경과 경과를 분석하였 다. 선행 연구에서는 황신의 일본 왕환을 통신사행으로 간주했으나, 이는 일본측 사료와 일부 후대 편찬된 사료에서 통신사로 명 명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문에서는 『선조실록』을 비롯해 당시 영의정 류성룡의 『서애집』, 대사헌 이호민이 1597년 정월에 명 만력제에게 올린 주문, 윤국형의 『갑진만록』등의 내용을 토대로 조선 조정에서는 ‘근수배신’의 직함으로 파견되었음을 밝혔다. 또 한 본문에서는 근수배신 황신 일행의 일본 왕환과 일본 관백의 책봉을 명신종에게 요청하는 일본의 표문과 강화의 조건으로 황제 가 보낸 책봉고명과 칙유문의 내용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일본 측에서는 무리하게 강화를 추진한 고니시 유키나가와 쓰시 마 태수 소 요시토시의 세력에 의해 관백을 일본 국왕으로 책봉하 는 의례를 진행했다. 그러나 이에 반대하는 가토 기요마사 등의 참소로 인해 결국 히데요시는 선조의 서폐를 수용하지 않고 조선 사신을 만나지 않았으며, 황제에 대한 회사(回謝) 표문도 없이 명 사를 추방하다시피 돌려보냈다. 일본의 이와 같은 상황은 황신 일 행이 정보 수집에 더 큰 관심을 기울이게 했다. 일본과의 강화를 원치 않았던 선조는 조정 대신들이 서계를 전 달하지 못한 황신의 탄핵을 요청했음에도 황신 일행을 포상하기에 이른다. 선조는 황신이 올린 장계 외에도 그를 직접 불러 문답을 통해 당시 관백이 조선 사신을 만나기를 거부한 이유와 명사가 관 백을 책봉했으나 결국 강화가 결렬된 이유를 상세히 질문했다. 또 한 황신 일행은 쓰시마가 왜구의 조선 침략에서 앞잡이 노릇을 한 점을 간파하여 이후 왜구 재침에 맞서 쓰시마의 지세와 호구수를 파악하고, 쓰시마에 대한 계책을 적극적으로 세울 것을 강조한 것은 그의 정세 파악 능력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focuses on analyzing the background and progress of dispatching Joseon officials along with Ming envoys appointing Japanese kings during the negotiations to make peace between the Ming and Japan in 1596. Based on “SeoAe-jib” by Ryu Seong-ryong as a premier at the time, a diplomatic report posted by Daesaheon Yi Ho-min to the Ming Emperor in 1597, and Yoon Kook-hyung’s “Gapjin Manrok,” it was revealed that the Joseon court was dispatched under the title “Geunsu-baesin(Joseon officials following envoys of the Ming Dynasty).” In addition, it analyzed in detail of the diplomatic letter asked for the investiture by Japanese shogun and the imperial decree of the investiture for Japanese King issued by Ming emperor being subject to make peace. The Japanese side held a ceremony to appoint the Shogun as the king of Japan by the forces of Konishi Yukinaga and So Yoshitoshi as the governor of Tsushima who pushed for making peace. However, due to the slander of Kato Kiyomasa and others who opposed the ceremony, Hideyoshi did not accept the letter of King Seonjo and did not meet the Joseon envoys and returned the Ming envoys without a banquet. Such a situation in Japan has led the Hwang Shin and his party to pay greater attention to information collection. King Seonjo, who did not want to reconcile with Japan, even though the ministers of the court asked for the impeachment of Hwang Shin, who failed to deliver King’s order, to reward Hwang Shin and his party. In addition to the report posted by Hwang Shin, King Seonjo called him directly and asked in detail why the Shogun refused to meet the Joseon envoys and why the Ming envoys appointed Shogun as the Japanese King but eventually the reconciliation collapsed. Hwang’s ability to grasp the situation demonstrated by the emphasis on understanding Tsushima’s land and number of households against the Japanese invasion of Joseon and actively establishing a plan for Tsushima.
      번역하기

      This paper focuses on analyzing the background and progress of dispatching Joseon officials along with Ming envoys appointing Japanese kings during the negotiations to make peace between the Ming and Japan in 1596. Based on “SeoAe-jib” by Ryu Seon...

      This paper focuses on analyzing the background and progress of dispatching Joseon officials along with Ming envoys appointing Japanese kings during the negotiations to make peace between the Ming and Japan in 1596. Based on “SeoAe-jib” by Ryu Seong-ryong as a premier at the time, a diplomatic report posted by Daesaheon Yi Ho-min to the Ming Emperor in 1597, and Yoon Kook-hyung’s “Gapjin Manrok,” it was revealed that the Joseon court was dispatched under the title “Geunsu-baesin(Joseon officials following envoys of the Ming Dynasty).” In addition, it analyzed in detail of the diplomatic letter asked for the investiture by Japanese shogun and the imperial decree of the investiture for Japanese King issued by Ming emperor being subject to make peace. The Japanese side held a ceremony to appoint the Shogun as the king of Japan by the forces of Konishi Yukinaga and So Yoshitoshi as the governor of Tsushima who pushed for making peace. However, due to the slander of Kato Kiyomasa and others who opposed the ceremony, Hideyoshi did not accept the letter of King Seonjo and did not meet the Joseon envoys and returned the Ming envoys without a banquet. Such a situation in Japan has led the Hwang Shin and his party to pay greater attention to information collection. King Seonjo, who did not want to reconcile with Japan, even though the ministers of the court asked for the impeachment of Hwang Shin, who failed to deliver King’s order, to reward Hwang Shin and his party. In addition to the report posted by Hwang Shin, King Seonjo called him directly and asked in detail why the Shogun refused to meet the Joseon envoys and why the Ming envoys appointed Shogun as the Japanese King but eventually the reconciliation collapsed. Hwang’s ability to grasp the situation demonstrated by the emphasis on understanding Tsushima’s land and number of households against the Japanese invasion of Joseon and actively establishing a plan for Tsushim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조선의 ‘근수배신’ 일본 파견 경과
      • 3. 근수배신 황신의 일본 왕환과 왜왕(倭王) 책봉 문서
      • 4. 일본 왕환 후 황신의 보고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조선의 ‘근수배신’ 일본 파견 경과
      • 3. 근수배신 황신의 일본 왕환과 왜왕(倭王) 책봉 문서
      • 4. 일본 왕환 후 황신의 보고
      • 5. 맺음말
      • 참고문헌
      • 【日文抄錄】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