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투석 환자에서 혈관 석회화, 동맥 경직, 염증, 영양 상태와의 상관관계 = Vascular Calcification Scores are Associated with Arterial Stiffness, Inflammation, and Nutrition in Hemodialysis Pati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455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혈액투석 환자의 주요 사망 원인은 관상동맥 질환을 포함한 심혈관 질환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혈관 석회화 정도는 심혈관 질환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되었다. 혈관 석회화...

      목적: 혈액투석 환자의 주요 사망 원인은 관상동맥 질환을 포함한 심혈관 질환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혈관 석회화 정도는 심혈관 질환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되었다. 혈관 석회화를 진단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단순 방사선 촬영으로 석회화 병변을 확인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혈액투석 환자에게서 수부와 골반부의 단순 방사선 촬영을 시행 후 혈관 석회화 점수를 측정하여 혈관 석회화 정도와 동맥 경직도, 만성 염증 상태 및 영양 상태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20세 이상 80세 이하의 말기 신부전으로 진단받고 최소 3개월 이상 혈액투석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100명(남자 60명, 여자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는 수부와 골반부 단순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였고 혈관 석회화 점수를 산출하였다. 염증 상태 및 영양 상태 비교를 위해 혈액투석 전에 혈색소, 칼슘, 인산염, 부갑상샘 호르몬, C- 반응성 단백질, 혈장 호모시스테인,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총 단백질, 알부민, folate, beta-2 microglobulin을 최소 8시간 동안 금식한 후 공복상태에서 시행하였고 동맥 경직도 측정을 위해 맥박파 전파 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55.6 ± 13.2세이며 평균 혈액투석 기간은 55.6 ± 50.2개월이었다. 원인 질환 중 당뇨병의 유병률이 수부와 골반부의 혈관 석회화 점수 3점 이상인 군에서 3점 미만인 군보다 의미 있게 높았다(87.5% vs. 34.2%, p < 0.05). 또한 혈관 석회화 점수 3점 이상인 군은 3점 미만인 군과 비교해서 부갑상샘 호르몬(98.4 ± 141.9 pg/mL vs. 183.6 ± 231.3 pg/mL, p < 0.05)과 알부민(3.7 ± 0.4 g/dL vs. 3.9 ± 0.3 g/dL, p < 0.05) 수치가 통계학적으로 의미있게 낮았고, 맥박파 전파 속도가 유의하게 증가한 소견을 보였다. 다중 회귀 분석에서는, 당뇨병(β = 1.670, p < 0.05)만이 혈관 석회화 점수와 유의한 연관을 보였다. 동맥 경직도는 연령, 반사파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가졌으며 헤모글로빈 (r = -0.248, p < 0.05), 단백질(r = -0.237, p < 0.05), 알부민(r = -0.229, p < 0.05)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혈액투석 환자에게서 혈관 석회화 정도는 영양 상태 및 혈관 경직도와 연관성이 있었다. 하지만 다른 논문과 다르게 염증 지표인 C-반응성 단백질과 유의한 연관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혈관 석회화는 심혈관 질환 발생의 위험성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혈관 석회화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과 혈관 석회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을 평가하는 선별 방법들은 혈액투석 환자에게서 심혈관 질환의 이환율과 사망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치료 방법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지표가 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Aims: The vascular calcification (VC) score on a plain X-ray is associated with cardiovascular disease and mortality in hemodialysis (HD) patients.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s among the VC scores for the hands and pelvis X-rays, ar...

      Background/Aims: The vascular calcification (VC) score on a plain X-ray is associated with cardiovascular disease and mortality in hemodialysis (HD) patients.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s among the VC scores for the hands and pelvis X-rays, arterial stiffness, inflammation, and nutrition in HD patients. Methods: VC was evaluated using plain x-rays of the hands and pelvis. Patients were categorized into the VC (+) (VC score ≥ 3) or VC (-) (VC score < 3) groups. We measured the pulse wave velocity (PWV), ankle brachial index (ABI), and augmentation index (AI).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55.6 ± 13.2 years. The prevalence of diabetes mellitus (DM)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VC (+) group than in the VC (-) group (87.5 vs. 34.2%, p < 0.05). The serum PTH (98.4 ± 141.9 vs. 183.6 ± 231.3 pg/mL, p < 0.05) and albumin (3.7 ± 0.5 vs. 3.9 ± 0.3 g/dL, p < 0.05)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and PWV was significantly (p < 0.05) higher in the VC (+) group. In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only the presence of diabetes mellitu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VC score. Conclusions: The VC score was associated with the serum PTH and albumin, as well as with vascular stiffness. C-reactive protein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he VC score. (Korean J Med 2014;87:42-52)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수현, "혈액투석환자에서 만성염증반응이 혈관통로협착에 미치는 영향" 대한신장학회 25 (25): 789-795, 2006

      2 김정민, "혈액투석 환자에서 관상동맥질환의 예측인자로서 단순방사선 촬영상 혈관 석회화 점수들간의 비교" 대한신장학회 29 (29): 232-240, 2010

      3 한기옥, "혈관 석회화의 분류, 동맥경화증 및 혈관의 석회화의 유발 기전" 대한내분비학회 20 (20): 556-560, 2005

      4 이영기, "말기신질환 환자의 혈관석회화" 대한신장학회 29 (29): 847-850, 2010

      5 이영수, "말기신부전 환자에서 투석에 따른 혈관 경직도의 변화" 대한심장학회 34 (34): 865-873, 2004

      6 Floege J, "Vascular calcification in patients with end-stage renal disease" 19 (19): V59-66, 2004

      7 Covic A, "Vascular calcification in chronic kidney disease" 119 : 111-121, 2010

      8 Sigrist M, "Vascular calcification and cardiovascular function in chronic kidney disease" 21 : 707-714, 2006

      9 이정은, "Serum osteoprotegerin is associated with vascular stiffness and the onset of new cardiovascular events in hemodialysis patients" 대한내과학회 28 (28): 668-677, 2013

      10 Kanani PM, "Role of oxidant stress in endothelial dysfunction produced by experimental hyperhomocyst(e)- inemia in humans" 100 : 1161-1168, 1999

      1 김수현, "혈액투석환자에서 만성염증반응이 혈관통로협착에 미치는 영향" 대한신장학회 25 (25): 789-795, 2006

      2 김정민, "혈액투석 환자에서 관상동맥질환의 예측인자로서 단순방사선 촬영상 혈관 석회화 점수들간의 비교" 대한신장학회 29 (29): 232-240, 2010

      3 한기옥, "혈관 석회화의 분류, 동맥경화증 및 혈관의 석회화의 유발 기전" 대한내분비학회 20 (20): 556-560, 2005

      4 이영기, "말기신질환 환자의 혈관석회화" 대한신장학회 29 (29): 847-850, 2010

      5 이영수, "말기신부전 환자에서 투석에 따른 혈관 경직도의 변화" 대한심장학회 34 (34): 865-873, 2004

      6 Floege J, "Vascular calcification in patients with end-stage renal disease" 19 (19): V59-66, 2004

      7 Covic A, "Vascular calcification in chronic kidney disease" 119 : 111-121, 2010

      8 Sigrist M, "Vascular calcification and cardiovascular function in chronic kidney disease" 21 : 707-714, 2006

      9 이정은, "Serum osteoprotegerin is associated with vascular stiffness and the onset of new cardiovascular events in hemodialysis patients" 대한내과학회 28 (28): 668-677, 2013

      10 Kanani PM, "Role of oxidant stress in endothelial dysfunction produced by experimental hyperhomocyst(e)- inemia in humans" 100 : 1161-1168, 1999

      11 Sigrist MK, "Progressive vascular calcification over 2 years is associated with arterial stiffening and increased mortality in patients with stages 4 and 5 chronic kidney disease" 2 : 1241-1248, 2007

      12 Bergstrom J, "Nutrition and mortality in hemodialysis" 6 : 1329-1341, 1995

      13 Zhang K, "Malnutrition, a new inducer for arterial calcification in hemodialysis patients" 11 : 66-, 2013

      14 Zoccali C, "Inflammatory proteins as predictors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patients with end-stage renal disease" 19 (19): V67-72, 2004

      15 Dumler F, "Hypoalbuminemia is a marker of overhydration in chronic maintenance patients on dialysis" 49 : 282-286, 2003

      16 Plata-Salaman CR, "Cytokines and anorexia: a brief overview" 25 (25): 64-72, 1998

      17 Goodman WG, "Coronary-artery calcification in young adults with end-stage renal disease who are undergoing dialysis" 342 : 1478-1483, 2000

      18 Schindler R, "Causes and therapy of microinflammation in renal failure" 19 (19): V34-40, 2004

      19 Collins AJ, "Cardiovascular mortality in end-stage renal disease" 325 : 163-167, 2003

      20 Coen G, "Calcimimetics, parathyroid hormone, and vascular calcification in chronic kidney disease" 74 : 1229-1231, 2008

      21 Aoki A, "Associations between vascular calcification, arterial stiffness and bone mineral density in chronic hemodialysis patients" 9 : 246-252, 2009

      22 Blacher J, "Association between plasma homocysteine concentrations and cardiac hypertrophy in end-stage renal disease" 12 : 248-255, 1999

      23 Blacher J, "Arterial calcifications, arterial stiffness, and cardiovascular risk in end-stage renal disease" 38 : 938-942, 2001

      24 Stenvinkel P, "Are there two types of malnutrition in chronic renal failure? evidence for relationships between malnutrition, inflammation and atherosclerosis (MIA syndrome)" 15 : 953-960, 2000

      25 Coen G, "Are PTH serum levels predictive of coronary calcifications in haemodialysis patients" 22 : 3262-3267, 2007

      26 Galassi A, "Accelerated vascular calcification and relative hypoparathyroidism in incident haemodialysis diabetic patients receiving calcium binders" 21 : 3215-3222, 2006

      27 Adragao T, "A simple vascular calcification score predicts cardiovascular risk in haemodialysis patients" 19 : 1480-1488,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5-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Medicine ->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 0.1 0.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1 0.1 0.259 0.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