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을 위한 학교 적응력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프로그램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804545
2009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을 위한 학교 적응력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프로그램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을 위한 학교 적응력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프로그램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국제결혼이 증가하면서 그에 따라 다문화가정 자녀도 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그 자녀들이 학교에 입학하면서 여러 가지 적응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외모에서 오는 차이로 인해 따돌림을 받거나 학습 능력 부족, 의사소통의 어려움 등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이 학교에 적응 할 수 있도록 학교 적응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연구 대상은 경남 C시의 다문화가정 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공부방에 다니는 학생 중 참여를 희망하는 학생 18명을 선발하여 실험집단 9명과 통제집단 9명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실험집단은 공부방 방과 후 수업시간을 이용하여 화요일, 목요일 주 2회 40분간 총 10회기에 걸쳐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을 위한 학교 적응력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어떠한 처치도 하지 않았다.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에게 학교적응 검사를 실시하였고, 프로그램이 끝난 후 두 집단 모두에게 사전검사와 동일한 척도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을 위한 학교 적응력 향상 프로그램은 손민정(2008)이 개발한 프로그램을 본 연구자가 효과검증 하였고, 측정도구로는 민병수(1991)가 개발하여 사용한 학교생활적응 척도를 참고하여 김진숙(2005)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수준에 맞게 수정한 척도를 손민정(2008)이 4점 척도에서 3점 척도로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을 위한 학교 적응력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먼저 t-검증을 통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실시하였고, 실험처치인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을 위한 학교 적응력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를 보기 위해서 공변량분석(ANCOVA)을 SPSS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을 위한 학교 적응력 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학교적응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을 위한 학교 적응력 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학교적응 하위요인 가운데 교우관계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을 위한 학교 적응력 향상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학교적응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5605d194d39d1a74ffe0bdc3ef48d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