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면역조절제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Levamisole이 뱀장어의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In vivo상에서 림프구의 증식능과 림포카인(MIF 및 MAF)생산능, 자연살해세포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면역조절제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Levamisole이 뱀장어의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In vivo상에서 림프구의 증식능과 림포카인(MIF 및 MAF)생산능, 자연살해세포의 ...
본 연구는 면역조절제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Levamisole이 뱀장어의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In vivo상에서 림프구의 증식능과 림포카인(MIF 및 MAF)생산능, 자연살해세포의 살해능, 대식구의 탐식능 및 superoxide anion측정, 다핵구의 hydrogen peroxide 및 Lysozyme활성능 등을 측정하였으며 아울러 In vivo상에서 Levamisole(LMS)를 약욕법으로 처리(전처리, 전기간처리 및 동시처리)하고 항원감작에 따른 혈액성상의 변화, 항균효과 및 생존율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LMS는 T-cell 마이토젠인 Con A 및 PHA처리시에는 LMS농도에 비례감소를 보인 반면에 B-cell 마이토젠인 LPS에는 LMS처리와는 무관하게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림포카인(MTF 및 MAF)의 생성에는 LMS처리 농도에 비례증가 되었다. NK세포의 활성은 표적세포에 대한 결합율을 증가시킨 결과 NK 세포의 활성의 증가를 보였다. 대식구의 탐식능 및 superoxide anion의 생성능 및 다핵구의 hydrogen peroxide 생성 및 Lysozyme의 활성을 증가시켰다. 한편, in vivo상에서 levamisole(LMS)의 처리시기에 따른 면역증강효과는 알부민 및 총단백량과 lyxozyme, TIC 및 NBT 환원능 및 항응집소가를 증가시켜서 결과적으로 항균효과 및 생존율이 대조군에 비해 처리군에서 증가되었으며, 특히 동시처리군이 가장 활성이 높았다. 이러한 일련의 결과들은 LMS가 숙주의 면역조절세포의 증식에는 관여하지 않으나, 면역계 주요작동 세포인 림프구, 자연살해세포 및 탐식세포등의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면역기능활성을 유도하여 결과적으로 면역증강효과를 발현시키는 것을 유추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1996년도 한국학술진흥재단의 공모과제(지방대육성과제)에 의해서 수행되었습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evamisoles an immunostimulating compound, particularly exerts against nematodes of animal and man and has been extensively and safely used in veterinary and human medicine. It is a synthetic, simple chemical, but stimulates the action of some natural...
levamisoles an immunostimulating compound, particularly exerts against nematodes of animal and man and has been extensively and safely used in veterinary and human medicine. It is a synthetic, simple chemical, but stimulates the action of some naturall occuring substances such as thymic hormones, which are more complex in structure. These experiment have been desiged to study, in vivo and in vitro, some still crucial problems or little known immunostimulant effects of levamisole in eel. Proliferation of lymbocytes treated with T-cell mitogen(Con A/ PHA) was markedly inhibited by coculture with LMS in a dose dependent. but not B cell mitogen(LPS) and without mitogen slightly increased. However, production of MIF and MAF treated with ConA were increased in a dose dependent. NK cell activities were some what increased when LMS was pretreated and this augmentation was due to increase of binding capacity of effector-target cell but not due to the target cell lytic activity of effector cells. Phagocytic activity and superoxide anion formation of macrophage, and hydrogen peroxide formation and lysozyme activity of leucocytes were enhanced in a dose relationship When E. tarda challenged with different teatment regimens : 7-day LMS treatment before challenge, 7-day LMS treatment started simultaneously with challenge, 14-day treatment before and after challenge. The levele of total protein, albumib, trypsin inhibitor capacity, lysozyme activity, antibody titer, NBT-reduction, antibacterial reaction and survival rate were increased compared to those of levamisole untreated control. The efficacy of LMS was the highst in the simoutaneously treated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LMS triggers the increase of the lymphokine production of lymphocytes, the binding affinity of NK cells to target cells, the superoxide anion formation and phagocytosis of macrophage. and the hydrogen peroxide formation and lysozyme activity of leucocytes, resulting in the enhancement of immune response.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