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구경북 지역의 장애아와 장애아 가족의 삶의 질  :  (교육 및 사회경제적 측면을 중심으로) (With Special Reference to Education and Socio-economic Aspects) = The Quality of Lif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E6880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장애아 가족의 삶의 질 탐색 연구로써, 대구, 경북지역의 시각, 청각, 지체부자유, 정신지체, 정서장애의 5개 영역별 장애아 가족 240가구를 주요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주된 목적은 이들 가족이 직면한 경제 및 사회심리적 문제, 나아가 장애자녀의 교육적 환경 관련 중요 요인들을 집단별로 비교 분석함으로써,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구축, 제안하는데 두었다.
      연구에 사용된 주요 자료수집 방법은 탐색조사를 거쳐 보완된 질문지법과 면접법을 병행하였고, 특히 삶의 질 측정은 6가지 어의차이 정도를 5점리커트 형태를 이용하여 지수화(index)하였고, 문항들의 내적 일관성은 α값이 0.89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주요 결론은; 첫째, 장애아의 교육적 측면의 경우, 아동교육에 대한 가족의 관심과 영향이 증가함에 따라 삶의 질 수준이 높아지는 반면 장애아 관련 문제 행동 대처기능이 약화될 경우 삶의 질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제생활 측면에서는 지체장애 가계는 의료비에서, 청각장애 가계는 교통비, 시각, 정신지체 및 정서장애 가계는 아동의 개별 교육비에 대한 지출이 높게 나타났다. 아울러 장애자녀의 치료·교육에 대한 긍정적 기대치가 부모의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파악되어 장애가계 유형별 필요가 감안된 치료·교육의 정책지원이 제안될 수 있다. 셋째, 가족환경적 측면에서는, 모든 장애 유형에 걸쳐 장애아 부모집단이 열악한 사회적 지지환경이 가족내 스트레스를 증폭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즉, 스트레스나 우울정도가 삶의 질과 직접 관련되어 있어 장애아 부모에 대한 체계적인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 실시라는 정책대안이 제안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장애아 가족의 삶의 질 탐색 연구로써, 대구, 경북지역의 시각, 청각, 지체부자유, 정신지체, 정서장애의 5개 영역별 장애아 가족 240가구를 주요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주...

      본 연구는 장애아 가족의 삶의 질 탐색 연구로써, 대구, 경북지역의 시각, 청각, 지체부자유, 정신지체, 정서장애의 5개 영역별 장애아 가족 240가구를 주요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주된 목적은 이들 가족이 직면한 경제 및 사회심리적 문제, 나아가 장애자녀의 교육적 환경 관련 중요 요인들을 집단별로 비교 분석함으로써,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구축, 제안하는데 두었다.
      연구에 사용된 주요 자료수집 방법은 탐색조사를 거쳐 보완된 질문지법과 면접법을 병행하였고, 특히 삶의 질 측정은 6가지 어의차이 정도를 5점리커트 형태를 이용하여 지수화(index)하였고, 문항들의 내적 일관성은 α값이 0.89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주요 결론은; 첫째, 장애아의 교육적 측면의 경우, 아동교육에 대한 가족의 관심과 영향이 증가함에 따라 삶의 질 수준이 높아지는 반면 장애아 관련 문제 행동 대처기능이 약화될 경우 삶의 질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제생활 측면에서는 지체장애 가계는 의료비에서, 청각장애 가계는 교통비, 시각, 정신지체 및 정서장애 가계는 아동의 개별 교육비에 대한 지출이 높게 나타났다. 아울러 장애자녀의 치료·교육에 대한 긍정적 기대치가 부모의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파악되어 장애가계 유형별 필요가 감안된 치료·교육의 정책지원이 제안될 수 있다. 셋째, 가족환경적 측면에서는, 모든 장애 유형에 걸쳐 장애아 부모집단이 열악한 사회적 지지환경이 가족내 스트레스를 증폭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즉, 스트레스나 우울정도가 삶의 질과 직접 관련되어 있어 장애아 부모에 대한 체계적인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 실시라는 정책대안이 제안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was to identify the life quality of five different types of families of handicapped children, taking educational environment, economic conditions, and family life into account. The five types of families of handicapped children were families of Children with emotional or behavioral disorders, physical handicapped children, visual handicapped children, hearing impaired children, and families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An instrument, based on previous research was administered to 240 parents of handicapped children Analysis of variance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Findings indicated that educational environment, economic security, and family stress were important determinants of life quality of families of handicapped children. It also indicated that public policies for the families of handicapped children should not necessarily be uniform for all families, but should be diversified to accomodate the need and wants of different types of familie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five types of families of handicapped children are discussed and implications for public policies are provided.
      번역하기

      The purpose was to identify the life quality of five different types of families of handicapped children, taking educational environment, economic conditions, and family life into account. The five types of families of handicapped children were famili...

      The purpose was to identify the life quality of five different types of families of handicapped children, taking educational environment, economic conditions, and family life into account. The five types of families of handicapped children were families of Children with emotional or behavioral disorders, physical handicapped children, visual handicapped children, hearing impaired children, and families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An instrument, based on previous research was administered to 240 parents of handicapped children Analysis of variance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Findings indicated that educational environment, economic security, and family stress were important determinants of life quality of families of handicapped children. It also indicated that public policies for the families of handicapped children should not necessarily be uniform for all families, but should be diversified to accomodate the need and wants of different types of familie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five types of families of handicapped children are discussed and implications for public policies are provid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배경
      • 1. 삶의 질의 개념
      • 2. 국내.외 연구동향
      • 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배경
      • 1. 삶의 질의 개념
      • 2. 국내.외 연구동향
      • Ⅲ. 연구방법
      • 1. 자료
      • 2. 변수 및 척도
      •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1. 조사대상자의 특성
      • 2. 교육환경
      • 3. 경제생활
      • 4. 가족생활
      • Ⅴ. 결론 및 제언
      • 1. 교육적 측면과 장애아 가족의 삶의 질
      • 2. 경제생활과 장애아 가족의 삶의 질
      • 3. 가족환경적 측면과 장애아 가족의 삶의 질
      • 참고문헌
      • Abste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