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21C 과학기술 환경변화에 대응한 과학기술정책의 전개방향 = Setting a new course for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to meet the challenges of the 21st centu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8606450

      • 저자
      • 발행사항

        과천 : 과학기술부, 2003

      • 발행연도

        2003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607 판사항(21)

      • 자료형태

        단행본(다권본)

      • 발행국(도시)

        경기도

      • 서명/저자사항

        21C 과학기술 환경변화에 대응한 과학기술정책의 전개방향= Setting a new course for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to meet the challenges of the 21st century / 과학기술부 [편]

      • 형태사항

        xx,434 p.: 삽도; 30 cm.

      • 총서사항

        정책연구; 2002-2 정책연구(과학기술부) ; 2002-4

      • 일반주기명

        최종보고서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연구책임자 : 오연천

      • 소장기관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상국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고려대학교 과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부산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전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충북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의 목적 = 1
      • 제2절 연구의 방법 = 7
      • 제2장 환경변화와 세계적 동향 = 9
      • 목차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의 목적 = 1
      • 제2절 연구의 방법 = 7
      • 제2장 환경변화와 세계적 동향 = 9
      • 제1절 기술동향 = 9
      • 1. 정보기술(IT) = 9
      • 2. 생명공학기술(BT) = 13
      • 3. 나노기술(NT) = 16
      • 4. 우주항공기술(ST) = 18
      • 5. 환경기술(ET) = 19
      • 제2절 선진국의 과학기술 연구개발 동향 = 21
      • 1. 정보기술(IT) = 21
      • 2. 생명공학기술(BT) = 23
      • 3. 나노기술(NT) = 26
      • 4. 우주항공기술(ST) = 28
      • 5. 환경기술(ET) = 31
      • 제3절 주요선진국의 과학기술전략 = 33
      • 1. 미국의 과학기술 발전노력 = 33
      • 2. 영국의 과학기술정책발전 노력 = 35
      • 3. 프랑스의 과학기술발전노력 = 36
      • 4. 독일의 과학기술발전노력 = 37
      • 5. 일본의 과학기술발전노력 = 38
      • 6. 시사점 = 40
      • 제3장 과학기술발전과 정부의 역할 = 44
      • 제1절 과학기술정책의 정당성과 대상 = 44
      • 1. 과학기술정책의 정당성 = 44
      • 2. 대상 = 45
      • 제2절 과학기술정책의 범위 및 과학기술정책유형 = 46
      • 1. 과학기술정책의 범위 = 46
      • 2. 과학기술정책유형 = 47
      • 제3절 과학환경의 변화와 정부의 역할변화 = 48
      • 1. 과학환경의 변화 = 48
      • 2. 정부역할 변화의 필요성 = 52
      • 3. 새로운 정부역할 = 54
      • 제4장 주요선진국의 과학기술정책과 정부의 역할 = 59
      • 제1절 미국의 과학기술행정체제 = 59
      • 1. 국가차원의 과학기술정책 종합조정체제 = 59
      • 2. 행정부의 과학기술정책 관련기구 = 61
      • 3. 의회의 과학기술활동기구 = 71
      • 4. 시사점 = 74
      • 제2절 독일의 과학기술행정체제 = 76
      • 1. 독일의 과학기술체제 = 76
      • 2. 시사점 = 82
      • 제3절 프랑스의 과학기술행정체제 = 85
      • 1. 프랑스의 과학기술체제 = 85
      • 2. 시사점 = 92
      • 제4절 일본의 과학기술행정체제 = 93
      • 1. 개편의 배경과 개요 = 93
      • 2. 개편된 과학기술 행정체제의 주요 내용 = 98
      • 3. 시사점 = 107
      • 제5절 중국의 과학기술 행정체제 = 111
      • 1. 중국의 과학기술 수준 = 111
      • 2. 과학기술 자원의 축적 = 112
      • 3. 과학기술 행정체계의 개혁 = 116
      • 4. 중국 과학기술 행정체계의 주요특성 = 128
      • 5. 향후 발전방향 = 138
      • 6. 시사점 = 143
      • 제6절 주요선진국 과학기술행정체제의 함의 = 145
      • 제5장 우리나라 과학기술추진체계의 평가 = 151
      • 제1절 우리나라 과학기술체계의 변천 = 151
      • 1.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전개 = 151
      • 2. 한국 과학기술발달 과정에서 정부의 역할 = 158
      • 3. 한국 과학 기술 행정체계의 발달과정 = 168
      • 4. 정책적 함의 = 185
      • 제2절 우리나라 과학기술 관련 정부조직 운영체계의 검토와 평가 = 188
      • 1. 과학기술부와 국가과학기술위원회의 관계 = 188
      • 2. 과학기술부와 정부출연 연구기관의 관계 = 220
      • 3. 과학기술부와 유관행정부처와의 관계 = 252
      • 제3절 과학기술 관련부처의 통합논의에 대한 검토 = 265
      • 1. 과학행정운용체제 논의의 전제 = 265
      • 2. 과학행정 유관부처의 운영방식에 관한 논의 = 268
      • 3. 과학기술 관련 정부조직 개편안 검토 = 272
      • 제6장 과학공동체와 과학기술행정 = 281
      • 제1절 과학발전에 있어서 과학공동체의 중요성 = 281
      • 1. 과학공동체의 의의 = 281
      • 2. 과학기술의 발전과정 = 283
      • 제2절 한국의 과학문화와 과학공동체 = 286
      • 1.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지위와 보상 = 286
      • 2. 이공계기피현상 = 288
      • 3. 한국 과학기술자의 네트워크 = 291
      • 제3절 과학기술공동체와 과학기술부 = 293
      • 1. 과학공동체를 위한 과학기술부의 역할 = 293
      • 2. 과학기술부의 위상이 과학공동체에 미치는 영향 = 295
      • 3. 과학기술부의 통합에 따른 과학공동체의 와해 가능성 = 297
      • 4. 과학문화 형성과 과학기술부의 역할 = 298
      • 제4절 과학공동체를 위한 장기 안정적 과학행정 = 302
      • 1. 과학행정은 시장(market)과 경쟁의 논리만으로 부족하다 = 302
      • 2. 과학공동체형성을 위한 과학기술인력의 사기진작 = 304
      • 3.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과학행정을 위한 과학기술부의 위상강화 = 305
      • 제7장 과학기술 행정기능 발전 방안 = 306
      • 제1절 외부기능과의 연계·이관을 통한 효율화 = 306
      • 1. 국가과학기술위원회와 과학기술부의 유기적 연계 = 306
      • 2. 국무조정실 소속 정부출연 연구기관의 과학기술부 이관 = 308
      • 제2절 단독부처 내부의 기능 활성화 = 316
      • 1. 과학기술부의 정책·집행기능 현황 = 316
      • 2. 과학기술부 기능 활성화의 필요성 = 326
      • 3. 과학기술부의 기능 활성화방향 = 336
      • 4. 기능 활성화에 대응한 과학기술행정체제 = 366
      • 제8장 요약 및 결론 = 375
      • 제1절 과학기술발전과 정부의 역할 = 375
      • 1. 세계적 동향 = 375
      • 2. 정부의 역할 = 376
      • 제2절 주요 선진국의 과학기술행정체제 = 380
      • 제3절 과학기술추진체계의 평가 = 383
      • 1. 과학기술 추진체계의 문제점 = 384
      • 2. 과학기술 추진체계의 바람직한 대안 = 384
      • 제4절 과학기술 전담부처의 존립 필요성 = 391
      • 1. 과학기술공동체의 육성과 발전 = 391
      • 2. 상징성으로서의 과학기술장관직과 국회의 관련 상임위원회 = 394
      • 3. 과학기술부의 재설계 원칙 = 395
      • 제5절 과학기술부의 기능보강과 개혁 : 5+1과 전문기술직보강 = 396
      • 참고문헌 = 400
      • 부록 = 4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