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식음료부문 종사자의 창의성과 조직유효성 및 서비스품질 간의 확인적 요인분석 -서울지역 특1급 호텔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Hotel Food & Beverage Department Employees' Creativity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Service Qua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256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ood and beverage sector in the Hotel Industry contributes, on average, 20-30 percent of total revenue and is a major contributing factor for successful hotel management. The focus of this study analyse is the effect of hotel food and beverage employees' creative influence and its impa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service quality. According to the exploratory factorial analysis the food and beverage department employees’ creativity is component autonomy, leadership, and motivati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engages organizational commitment, changing job intention and job satisfaction. The service quality indicates total five constructs such as availability, responsibility, credibility, sympathy and validity. This study investigat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goodness of fit shows χ2=246.940 (df=276), p=0.000, GFI=0.923, AGFI= 0.904, NFI=0.923, RMR=0.031, thus the model can be an appropriated through standard figure. For further study the hospitality industry should study on creativity for improve creative management and employees it would direct competitiveness among variable hotel industry.
      번역하기

      The food and beverage sector in the Hotel Industry contributes, on average, 20-30 percent of total revenue and is a major contributing factor for successful hotel management. The focus of this study analyse is the effect of hotel food and beverage emp...

      The food and beverage sector in the Hotel Industry contributes, on average, 20-30 percent of total revenue and is a major contributing factor for successful hotel management. The focus of this study analyse is the effect of hotel food and beverage employees' creative influence and its impa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service quality. According to the exploratory factorial analysis the food and beverage department employees’ creativity is component autonomy, leadership, and motivati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engages organizational commitment, changing job intention and job satisfaction. The service quality indicates total five constructs such as availability, responsibility, credibility, sympathy and validity. This study investigat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goodness of fit shows χ2=246.940 (df=276), p=0.000, GFI=0.923, AGFI= 0.904, NFI=0.923, RMR=0.031, thus the model can be an appropriated through standard figure. For further study the hospitality industry should study on creativity for improve creative management and employees it would direct competitiveness among variable hotel indust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호텔의 객실판촉 상품은 60~70%의 이윤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식음료부서의 경우 노동집약적인 시스템과 식자재 비용 때문에 약 20~30% 정도의 순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이로 인해 식음료부문을 대폭 축소한 중저가 호텔이 생긴 것도 바로 이러한 이유에 있는 것이다. 그러나 양질의 식음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특1급 호텔이 유지하고자 하는 이미지에 중요한 요소가 되고, 객실부문 서비스를 보다 높은 가격에 판매할 수 있도록 유인할 수 있기 때문에 특1급 호텔경영의 성공여부는 식음료부문 종사자의 고객과의 서비스접점 과정에서 나타나는 서비스품질에 따라 결정된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호텔 식음료부문에 있어서 종사자의 창의성이 조직유효성과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이론적 배경을 기초로 도출된 연구개념의 조작적 정의에 의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으로 호텔 식음료부문 종사자의 창의성, 조직유효성, 서비스품질의 속성요인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호텔 식음료부문 종사자의 창의성이 조직유효성 및 서비스품질 간의 관계검증을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는 전체적 구조모형을 검증한 결과 적합도는 χ2= 246.940(df=276), p=.000 이며, GFI = .923, AGFI = .904, NFI = .923, RMR = 0.031 등으로 모델 적합도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호텔 식음료부문 종사자의 창의성이 조직유효성에, 조직유효성이 서비스품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 1과 2를 검증한 결과, 부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므로 호텔 식음료부문 종사자의 창의적 사고 및 역량을 배양시킬 수 있는 경영기법을 도입해야 한다는 점을 학술적 및 실무적 시사점으로 제언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호텔의 객실판촉 상품은 60~70%의 이윤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식음료부서의 경우 노동집약적인 시스템과 식자재 비용 때문에 약 20~30% 정도의 순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이로 인해 식음료부...

      호텔의 객실판촉 상품은 60~70%의 이윤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식음료부서의 경우 노동집약적인 시스템과 식자재 비용 때문에 약 20~30% 정도의 순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이로 인해 식음료부문을 대폭 축소한 중저가 호텔이 생긴 것도 바로 이러한 이유에 있는 것이다. 그러나 양질의 식음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특1급 호텔이 유지하고자 하는 이미지에 중요한 요소가 되고, 객실부문 서비스를 보다 높은 가격에 판매할 수 있도록 유인할 수 있기 때문에 특1급 호텔경영의 성공여부는 식음료부문 종사자의 고객과의 서비스접점 과정에서 나타나는 서비스품질에 따라 결정된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호텔 식음료부문에 있어서 종사자의 창의성이 조직유효성과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이론적 배경을 기초로 도출된 연구개념의 조작적 정의에 의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으로 호텔 식음료부문 종사자의 창의성, 조직유효성, 서비스품질의 속성요인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호텔 식음료부문 종사자의 창의성이 조직유효성 및 서비스품질 간의 관계검증을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는 전체적 구조모형을 검증한 결과 적합도는 χ2= 246.940(df=276), p=.000 이며, GFI = .923, AGFI = .904, NFI = .923, RMR = 0.031 등으로 모델 적합도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호텔 식음료부문 종사자의 창의성이 조직유효성에, 조직유효성이 서비스품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 1과 2를 검증한 결과, 부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므로 호텔 식음료부문 종사자의 창의적 사고 및 역량을 배양시킬 수 있는 경영기법을 도입해야 한다는 점을 학술적 및 실무적 시사점으로 제언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근우, "호텔종사원의 공정성지각과 조직유효성간의 연구" 한국관광학회 30 (30): 171-191, 2006

      2 김정만, "호텔의 서비스품질관리가 종사원직무만족과 고객만족에 끼치는 영향에관한 연구" 20 (20): 154-174, 1997

      3 김광수, "호텔기업의 조직문화와 임파워먼트가 조직유효성 및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4

      4 채신석, "호텔 아웃소싱근로자의 공정성 지각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학회 33 (33): 319-341, 2009

      5 김홍범, "호텔 레스토랑 지배인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학회 27 (27): 71-89, 2003

      6 崔鐘仁, "집단창의성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6

      7 김세리, "외식업의 리더십, 임파워먼트와 조직유효성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6

      8 이영란, "외식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과 사후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지역 향토음식점의 고객관여를 중심으로 -" 한국관광학회 34 (34): 293-315, 2010

      9 유정림, "외식 서비스품질 측정도구: 보완과 재측정" 한국관광학회 32 (32): 121-141, 2008

      10 김현철, "대학교 급식 서비스품질 지각이 신뢰,고객만족 및 고객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학회 33 (33): 73-97, 2009

      1 김근우, "호텔종사원의 공정성지각과 조직유효성간의 연구" 한국관광학회 30 (30): 171-191, 2006

      2 김정만, "호텔의 서비스품질관리가 종사원직무만족과 고객만족에 끼치는 영향에관한 연구" 20 (20): 154-174, 1997

      3 김광수, "호텔기업의 조직문화와 임파워먼트가 조직유효성 및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4

      4 채신석, "호텔 아웃소싱근로자의 공정성 지각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학회 33 (33): 319-341, 2009

      5 김홍범, "호텔 레스토랑 지배인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학회 27 (27): 71-89, 2003

      6 崔鐘仁, "집단창의성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6

      7 김세리, "외식업의 리더십, 임파워먼트와 조직유효성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6

      8 이영란, "외식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과 사후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지역 향토음식점의 고객관여를 중심으로 -" 한국관광학회 34 (34): 293-315, 2010

      9 유정림, "외식 서비스품질 측정도구: 보완과 재측정" 한국관광학회 32 (32): 121-141, 2008

      10 김현철, "대학교 급식 서비스품질 지각이 신뢰,고객만족 및 고객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학회 33 (33): 73-97, 2009

      11 정의선, "관광학원론" 백산출판사 2011

      12 Woodman, R. W., "Toward a theory of organizational creativity" 18 (18): 293-321, 1993

      13 Nonaka, I., "The Knowledge-creating company"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14 Parasuraman, A., "SERVQUAL : A Multiple 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64 (64): 12-37, 1988

      15 Parasuraman, A., "Reassessment of Expec-tations as a Comparison Standard in Measuring Service Quality :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31 (31): 111-124, 1994

      16 Price, J. 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 inventory of Propositions" Richard D. Irwin 1997

      17 Kang, G. D., "Measurement of internal service quality : Application of the SERVQUAL battery to internal service quality" 12 (12): 278-291, 2002

      18 Yuki, G., "Leadership in Organization : Fifth Edition. New" Prentice-Hall Inc. 2002

      19 Siau, K. L., "Group creativity and technology" 29 (29): 201-216, 1995

      20 Scott, S. G., "Determinants of innovative behavior : A path model of individual innovation in the workplace" 37 (37): 580-607, 1994

      21 Amabile, T. M., "Assessing the work for creativity" 39 : 1154-1184, 1996

      22 Amabile, T. M., "A model of creativity and innovation in organizations" 10 : 123-167, 1988

      23 문화체육관광부, "2010년 관광동향에 관한 연차보고서"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95 1.95 1.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 1.82 2.049 0.9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