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조선 초기 제화시의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 제찬(題贊)을 중심으로 하였다. 고려 중엽 이후 소수 지식인 사이에서 시와 그림이 교류되었다면, 조선 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536424
황수정 (조선대학교)
2023
Korean
the early Joseon period ; <Mongyudowondo> ; Jechan ; Anpyongdaegun ; joint creation ; utopia ; 조선 초기 ; <몽유도원도> ; 제찬 ; 안평대군 ; 공동 창작 ; 이상향
KCI등재
학술저널
1-34(3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조선 초기 제화시의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 제찬(題贊)을 중심으로 하였다. 고려 중엽 이후 소수 지식인 사이에서 시와 그림이 교류되었다면, 조선 초...
본고는 조선 초기 제화시의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 제찬(題贊)을 중심으로 하였다. 고려 중엽 이후 소수 지식인 사이에서 시와 그림이 교류되었다면, 조선 초기는 왕실을 중심으로 그림과 시에 대한 소통이 활발하면서도 집단화되었다. 이러한 데에는 당시 안평대군이 다양한 시서화 활동을 주도하면서 더욱 활성화되었다. 그 중에서도 <몽유도원도> 제찬은 안평대군을 중심으로 가장 성대하게 이루어진 제화시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몽유도원도>는 세종의 셋째 아들 안평대군(安平大君)이 하룻밤 꾼 도원(桃源)의 꿈을 안견에게 그리게 하여 사흘[3일] 만에 완성한 것이다. 안평대군은 이에 <몽유도원기(夢遊桃源記)>를 짓고, 도원 꿈의 과정과 그 내력을 기록하였다. 안평대군은 당시 원로 대신과 집현전 학자 등 21명의 제찬 시문(詩文)을 받아서 시화권(詩畵卷)으로 완성하였다. 이러한 <몽유도원도> 제찬은 시회(詩會) 활동 중에서도 <몽유도원도>를 중심으로 21인의 공동 창작이라는 데 유의미하다.
본고에서는 먼저 조선 초기 제화시 문화 양상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조선 초기 왕실을 중심으로 그림과 어우러진 제화시에 대한 창작이 공동으로 이루어지는 사례가 활발해졌다. 그 중심에 있었던 <몽유도원도> 제찬의 의미를 탐구하였다. <몽유도원도>라는 그림을 중심으로 21인의 작품이 예술적 심미성을 공유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몽유도원도> 제찬은 꿈과 이상향이라는 초월의 세계로 그 예술적 사유를 넓힌 것이다.
다음은 <몽유도원도> 제찬의 양상을 고찰하였다. 안평대군의 <몽유도원도> 칠언절구 제시와 함께 21인 제찬의 양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는 도원도에 대한 인식과 현실 대처의 바람, 그리고 夢中遊, 선경의 묘사 양상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기존의 공동 창작 시화권은 주로 현세 산수 중심이었다. <몽유도원도> 제찬은 꿈을 통한 이상향에 대한 제시(題詩)이다. 이로써 조선 초기 제화시 영역의 다양성을 확보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조선 초기 제화시가 성장하고 발전하는 데 주요한 기틀이 되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신혜, "조선인의 유토피아" 문학동네 2010
2 오창림, "조선 초기 고득종(1388~1452)의 시문과 서예 연구" 탐라문화연구원 (54) : 237-263, 2017
3 박혜영, "조선 전기 제화시 연구" 경희대 2021
4 김남이, "우리 한문학사의 새로운 조명" 집문당 1999
5 오주석, "옛 그림 읽기의 즐거움 1" 신구문화사 2018
6 안휘준, "안평대군(安平大君) 이용(李瑢, 1418~1453)의 인물됨과 문화적 기여" 한국미술사학회 300 (300): 5-43, 2018
7 안휘준, "안평과 <몽유도원도>" 사회평론 2009
8 심경호, "안평" 알마 2018
9 권현희, "안견의 <몽유도원도>의 양식 연구: 구도와 공간 개념을 중심으로" 동아대 2015
10 김경임, "사라진 몽유도원도를 찾아서" 산처럼 2013
1 서신혜, "조선인의 유토피아" 문학동네 2010
2 오창림, "조선 초기 고득종(1388~1452)의 시문과 서예 연구" 탐라문화연구원 (54) : 237-263, 2017
3 박혜영, "조선 전기 제화시 연구" 경희대 2021
4 김남이, "우리 한문학사의 새로운 조명" 집문당 1999
5 오주석, "옛 그림 읽기의 즐거움 1" 신구문화사 2018
6 안휘준, "안평대군(安平大君) 이용(李瑢, 1418~1453)의 인물됨과 문화적 기여" 한국미술사학회 300 (300): 5-43, 2018
7 안휘준, "안평과 <몽유도원도>" 사회평론 2009
8 심경호, "안평" 알마 2018
9 권현희, "안견의 <몽유도원도>의 양식 연구: 구도와 공간 개념을 중심으로" 동아대 2015
10 김경임, "사라진 몽유도원도를 찾아서" 산처럼 2013
11 김은희, "몽유도원도 권축 제화시 연구" 숭실대 2014
12 양성지, "訥齋集"
13 권 별, "海東雜錄"
14 오세창, "槿域書畵徵" 시공사 2007
15 박팽년, "朴先生遺稿"
16 성삼문, "成謹甫先生集"
17 이종묵, "安平大君의 문학 활동 연구" 진단학회 (93) : 257-275, 2002
18 조은실, "夢遊桃源圖를 통한 現實과 理想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2
19 서거정, "四佳詩集"
20 신숙주, "保閑齋集"
21 유미나, "中國詩文을 주제로 한 朝鮮後期 書畵合璧帖 硏究" 동국대 2005
22 高蓮姬, "「夢遊桃源圖 題讚」硏究"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0
23 이형대, "15세기 이상향의 풍경과 추체험 방식-<몽유도원도>와 그 제찬을 중심으로" 한국시가학회 7 : 2000
24 황정연, "15세기 서화 수집의 중심, 안평대군" (재)내일을여는역사재단 37 : 2009
1930년대 향토소설에 나타난 여성의 인물형상 비교 연구 -김유정과 沈從文의 소설을 중심으로-
청・민국시기 한국의 중국어 교재에 보이는 ‘給’의 용법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