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월저도안(月渚道安) 소상팔경의 시적 인식과 풍경 = Eight Scenic Views the Xiao and Xiang Rivers’ poetic perception and landscape of Walserdo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364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한국 불교계 소상팔경의 범주 설정과 그 특징을 고찰하기 위한 예비적 단계에 속한다. 그동안 소상팔경 연구는 문인들이 지은 한시를 위주로 이루어졌고, 근래에 이르러서야 불교계의 소상팔경 작품이 발굴되었다. 그래서인지 불교계 소상팔경의 미학적 특질에 대한 탐구는 아직 본격화되지 않았다. 문인들이 창작한 소상팔경과 어떠한 차별점을 지니는지에 대한 연구도 미진한 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보완하고자 불교계 소상팔경의 작품 분석에 중점을 두면서도 문인들이 지은 소상팔경과의 비교를 시도하였다. 이에 필자가 눈여겨본 작품은 월저도안(月渚道安)의 소상팔경이다. 소상팔경의 불교계 유입이 본격적으로 발생한 17세기의 작품이자 불교계 소상팔경 중에서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어 수적으로 중요한 창작물이기 때문이다.
      월저도안의 <次韻瀟湘八景>은 화자의 시선에 따라 펼쳐지는 상상적 미적 체험과 그것을 지각하는 풍경을 다채롭게 형상화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감각적 체험의 공간과 회화적 풍경, 대립적 세계의 시선과 이상적 풍경, 관습적 소재의 전형과 애상적 풍경이라는 유형을 설정하여 그것의 시적 인식과 의미 지향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탐구가 불교계 소상팔경의 이해를 위한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고는 한국 불교계 소상팔경의 범주 설정과 그 특징을 고찰하기 위한 예비적 단계에 속한다. 그동안 소상팔경 연구는 문인들이 지은 한시를 위주로 이루어졌고, 근래에 이르러서야 불교계...

      본고는 한국 불교계 소상팔경의 범주 설정과 그 특징을 고찰하기 위한 예비적 단계에 속한다. 그동안 소상팔경 연구는 문인들이 지은 한시를 위주로 이루어졌고, 근래에 이르러서야 불교계의 소상팔경 작품이 발굴되었다. 그래서인지 불교계 소상팔경의 미학적 특질에 대한 탐구는 아직 본격화되지 않았다. 문인들이 창작한 소상팔경과 어떠한 차별점을 지니는지에 대한 연구도 미진한 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보완하고자 불교계 소상팔경의 작품 분석에 중점을 두면서도 문인들이 지은 소상팔경과의 비교를 시도하였다. 이에 필자가 눈여겨본 작품은 월저도안(月渚道安)의 소상팔경이다. 소상팔경의 불교계 유입이 본격적으로 발생한 17세기의 작품이자 불교계 소상팔경 중에서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어 수적으로 중요한 창작물이기 때문이다.
      월저도안의 <次韻瀟湘八景>은 화자의 시선에 따라 펼쳐지는 상상적 미적 체험과 그것을 지각하는 풍경을 다채롭게 형상화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감각적 체험의 공간과 회화적 풍경, 대립적 세계의 시선과 이상적 풍경, 관습적 소재의 전형과 애상적 풍경이라는 유형을 설정하여 그것의 시적 인식과 의미 지향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탐구가 불교계 소상팔경의 이해를 위한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肅宗, "列聖御製:全" 1925

      2 하성운, "한・일 고전시가의 소상팔경 모티프 수용과 풍경의 미학" 고려대학교 2020

      3 윤재웅, "한용운의 불교사상과 한시에 나타난 불이론" 동악어문학회 (84) : 75-106, 2021

      4 안장리, "한국의 팔경문학" 집문당 2002

      5 박은영, "풍경으로 본 동아시아 정원의 미" 서해문집 2017

      6 민주식, "풍경(風景)의 미학 -풍경미의 구조와 원리-" 한국미학회 (31) : 5-49, 2001

      7 알프레다 머크, "중국의 시와 그림 그리고 정치" 영남대학교출판부 2015

      8 안휘준, "조선시대 산수화 특강" 사회평론 2015

      9 하성운, "조선시대 불교계의 소상팔경 작품 창작과 문학 세계" 한국언어문학회 (111) : 35-77, 2019

      10 김석태, "월저도안의 산거시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60 : 2007

      1 肅宗, "列聖御製:全" 1925

      2 하성운, "한・일 고전시가의 소상팔경 모티프 수용과 풍경의 미학" 고려대학교 2020

      3 윤재웅, "한용운의 불교사상과 한시에 나타난 불이론" 동악어문학회 (84) : 75-106, 2021

      4 안장리, "한국의 팔경문학" 집문당 2002

      5 박은영, "풍경으로 본 동아시아 정원의 미" 서해문집 2017

      6 민주식, "풍경(風景)의 미학 -풍경미의 구조와 원리-" 한국미학회 (31) : 5-49, 2001

      7 알프레다 머크, "중국의 시와 그림 그리고 정치" 영남대학교출판부 2015

      8 안휘준, "조선시대 산수화 특강" 사회평론 2015

      9 하성운, "조선시대 불교계의 소상팔경 작품 창작과 문학 세계" 한국언어문학회 (111) : 35-77, 2019

      10 김석태, "월저도안의 산거시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60 : 2007

      11 월저도안, "월저당대사집" 동국대학교출판부 2022

      12 조송식, "산수화의 미학" 아카넷 2015

      13 전경원, "동아시아의 시와 그림, 소상팔경" 건국대학교출판부 2007

      14 이형대, "금강산 기행가사의 시선과 풍경" 민족문화연구원 (42) : 79-104, 2005

      15 鄭斗卿, "題瀟湘八景圖"

      16 河溍, "遠浦歸帆"

      17 權斗經, "蒁姪請賦瀟湘八景"

      18 여기현, "瀟湘八景의 시적 형상화 양상" 반교어문학회 15 : 2003

      19 정운채, "瀟湘八景을 노래한 시조와 한시에서의 景의 성격" 한국어교육학회 79 : 1992

      20 김신중, "瀟湘八景歌의 관습시적 성격" 한국시가문화학회 5 : 1998

      21 고연희, "瀟湘八景, 고려와 조선의 詩・畵에 나타나는 受容史"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9 : 2003

      22 權相一, "瀟湘八景"

      23 鄭宗魯, "瀟湘八景"

      24 權萬, "瀟湘八景"

      25 尹推, "瀟湘八景"

      26 李萬敷, "河回十六詠幷序"

      27 권동순, "月渚道安의 禪詩 연구" 한국선학회 (29) : 205-236, 2011

      28 月渚道安, "月渚堂大師集" 普賢寺 17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