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보 집단상담자의 집단상담 공동지도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the Novice Group Counselor as a Co-leader of Group Counsel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281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the novice group counselor as a co-leader of group counseling and to understand how they perceive those experiences for their development as group therapists as well as self growth. 11 novice group therapists were selected based on the purposeful sampling method. They co-led semi-structured groups for undergraduate students as graduate students of counseling psychology major and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s. Interview transcripts from group counseling experiences were analyzed along with participants' journal reports, final reports and researcher's field notes by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method. The results revealed a central concept- Walking a tightrope with the co-leader to go one step further after realizing the attraction of group counseling, 4 categories and 10 themes. Four categories include (1) co-leadership is a small supervision, (2) three-legged race for group therapy, (3) efforts for co-leader relationship, and (4) growing and accomplishing as a person.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of the group counseling co-leadership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group therapist and the training of novice group counselor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proposed.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the novice group counselor as a co-leader of group counseling and to understand how they perceive those experiences for their development as group therapists as well as self growth. 11 novice grou...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the novice group counselor as a co-leader of group counseling and to understand how they perceive those experiences for their development as group therapists as well as self growth. 11 novice group therapists were selected based on the purposeful sampling method. They co-led semi-structured groups for undergraduate students as graduate students of counseling psychology major and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s. Interview transcripts from group counseling experiences were analyzed along with participants' journal reports, final reports and researcher's field notes by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method. The results revealed a central concept- Walking a tightrope with the co-leader to go one step further after realizing the attraction of group counseling, 4 categories and 10 themes. Four categories include (1) co-leadership is a small supervision, (2) three-legged race for group therapy, (3) efforts for co-leader relationship, and (4) growing and accomplishing as a person.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of the group counseling co-leadership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group therapist and the training of novice group counselor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propo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 연구는 초보 집단상담자의 집단상담 공동지도 경험을 탐색함으로써 집단상담 공동지도 모델이 초보 집단상담자가 집단상담자로서 성장하고 발달하는 데 어떤 의미로 인식되는지 심층적으로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상담심리 전공 대학원생들로, 반구조화 형태의 대학생 대상 집단상담을 공동지도자와 짝을 이루어 운영한 초보 집단상담자들을 편의 표집 하였다. 연구 참여에 동의한 총 11명의 참여자와 1~2회의 심층면담을 실시한 후 녹음한 자료를 전사하고, 참여자의 집단상담 경험에 관한 회기보고서, 최종보고서, 연구자의 현장 노트를 수집하여 지속적 비교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보 집단상담자의 공동지도 경험은 ‘공동지도라는 줄타기를 통해 집단상담의 매력을 깨닫고 집단상담자가 되는 길에 한 발 내딛기’라는 핵심범주 하에 총 4개의 범주, (1) 공동지도는 작은 슈퍼비전, (2) 집단운영을 위한 이인삼각, (3) 공동지도 관계를 위한 노력, (4) 인간적인 성장과 성취감, 그리고 10개의 주제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집단상담 공동지도 모델이 집단상담자의 발달 및 초보 집단상담자 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고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초보 집단상담자의 집단상담 공동지도 경험을 탐색함으로써 집단상담 공동지도 모델이 초보 집단상담자가 집단상담자로서 성장하고 발달하는 데 어떤 의미로 인식되는지 심층적...

      본 연구는 초보 집단상담자의 집단상담 공동지도 경험을 탐색함으로써 집단상담 공동지도 모델이 초보 집단상담자가 집단상담자로서 성장하고 발달하는 데 어떤 의미로 인식되는지 심층적으로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상담심리 전공 대학원생들로, 반구조화 형태의 대학생 대상 집단상담을 공동지도자와 짝을 이루어 운영한 초보 집단상담자들을 편의 표집 하였다. 연구 참여에 동의한 총 11명의 참여자와 1~2회의 심층면담을 실시한 후 녹음한 자료를 전사하고, 참여자의 집단상담 경험에 관한 회기보고서, 최종보고서, 연구자의 현장 노트를 수집하여 지속적 비교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보 집단상담자의 공동지도 경험은 ‘공동지도라는 줄타기를 통해 집단상담의 매력을 깨닫고 집단상담자가 되는 길에 한 발 내딛기’라는 핵심범주 하에 총 4개의 범주, (1) 공동지도는 작은 슈퍼비전, (2) 집단운영을 위한 이인삼각, (3) 공동지도 관계를 위한 노력, (4) 인간적인 성장과 성취감, 그리고 10개의 주제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집단상담 공동지도 모델이 집단상담자의 발달 및 초보 집단상담자 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고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미선, "집단상담자 경력에 따른 집단상담 수퍼비전 교육내용 요구분석" 한국상담학회 10 (10): 911-931, 2009

      2 김현령, "집단상담자 경력에 따른 자기대화 차이 분석: 집단원의 대화독점 문제상황을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4 (14): 2125-2141, 2013

      3 Corey, S., "집단상담과정과 실제" CENGAGE Learning 2016

      4 유기웅, "질적연구방법의 이해" 박영사 2012

      5 김형태, "자기성장 집단상담의 효과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상담학회 8 (8): 965-978, 2007

      6 Ladany, N., "상담 수퍼비전" 학지사 2013

      7 고문정, "대학생의 비구조화 집단상담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한국상담학회 16 (16): 131-156, 2015

      8 Miller, S., "What it's like being the ‘holder of the space’ : A narrative on working with reflective practice in groups" 6 (6): 367-377, 2005

      9 Podsakoff, P. M., "Transformational leader behaviors and their effects on followers’ trust in leader,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1 (1): 107-142, 1990

      10 Cohen, M. B., "Training in tandem : Co-facilitation and role modeling in a group work course" 24 (24): 21-36, 2002

      1 이미선, "집단상담자 경력에 따른 집단상담 수퍼비전 교육내용 요구분석" 한국상담학회 10 (10): 911-931, 2009

      2 김현령, "집단상담자 경력에 따른 자기대화 차이 분석: 집단원의 대화독점 문제상황을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4 (14): 2125-2141, 2013

      3 Corey, S., "집단상담과정과 실제" CENGAGE Learning 2016

      4 유기웅, "질적연구방법의 이해" 박영사 2012

      5 김형태, "자기성장 집단상담의 효과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상담학회 8 (8): 965-978, 2007

      6 Ladany, N., "상담 수퍼비전" 학지사 2013

      7 고문정, "대학생의 비구조화 집단상담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한국상담학회 16 (16): 131-156, 2015

      8 Miller, S., "What it's like being the ‘holder of the space’ : A narrative on working with reflective practice in groups" 6 (6): 367-377, 2005

      9 Podsakoff, P. M., "Transformational leader behaviors and their effects on followers’ trust in leader,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1 (1): 107-142, 1990

      10 Cohen, M. B., "Training in tandem : Co-facilitation and role modeling in a group work course" 24 (24): 21-36, 2002

      11 Yalom, I. D., "Theory and practice of group psychotherapy" Basic Books 2005

      12 Corey, G., "Theory and practice of group counseling" Brooks/Cole 2000

      13 Yalom, I. D., "The theory and practice of group psychotherapy" Basic books 1995

      14 Glaser, B. 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of qualitative analysis" 12 (12): 436-445, 1965

      15 Fram, S. M., "The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method outside of grounded theory" 18 (18): 1-25, 2013

      16 Stempler, B., "Supervisory co-leadership : An innovative model for teaching the use of social group work in clinical social work training" 16 : 97-110, 1993

      17 Soo, E. S., "Strategies for success for the beginning group therapist with child and adolescent groups" 1 (1): 95-106, 1991

      18 Posthuma, B. W., "Small group in counseling and therapy" Allyn and Bacon 2002

      19 Dugo, J. M., "Significance and complexity of early phases in the development of the co-therapy relationship" 1 (1): 294-305, 1997

      20 Okech, J. E. A., "Reflective practice in group co-leadership" 33 (33): 236-252, 2008

      21 Merriam, S. B.,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to design and implementation" Jossey-Bass 2016

      22 Glass, J. S., "PARS : A processing model for beginning group leaders" 24 (24): 15-26, 1999

      23 Lincoln, Y., "Naturalistic inquiry" Sage Publications 1985

      24 Kline, W. B., "Interactive group counseling and therapy" Merrill/ Prentice Hall 2003

      25 Gladding, S. T., "Group work: A counseling specialty" Pearson 2003

      26 Gallogly, V., "Group psychotherapy: Practice and development" Waveland 296-305, 1979

      27 Luke, M., "Group Coleadership : A critical review" 46 (46): 280-293, 2007

      28 O’Connor, K., "Grounded theory : Managing the challenge for those facing institutional review board oversight" 14 (14): 28-45, 2008

      29 Berger, M., "Envy and generosity between co-therapists" 26 (26): 107-121, 2002

      30 Winter, S. K., "Developmental stages in the roles and concerns of group co-leaders" 7 (7): 349-363, 1976

      31 Fall, K. A., "Co-leader stages of development : An application of Tuckman and Jensen" 30 : 309-327, 2005

      32 Miles, J. R., "Co-leader similarity and group climate in group interventions: Testing the co-leadership, team cognition-team diversity model" 14 (14): 114-122, 2010

      33 Corbin, J.,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SAGE 2015

      34 Okech, J. E. A., "A qualitative exploration of group co-leader relationship" 30 (30): 173-190,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9-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Counseling Association (KCA)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5-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 jounal of counseling -> Korea Journal of Counseling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 jounal of counseling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9 2.19 2.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45 2.48 3.426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