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대구지하철 화재 참사가 발발한지 15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대구시민들이 지하철 안전에 대해 느끼는 인식수준을 점검하고자 이루어진 연구이다. 이에 지하철 안전을 이루는 구성...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914133
2018
Korean
지하철 안전 ; 시설물 안전 ; 범죄안전 ; 화재안전 ; 침수안전 ; Subway Safety ; Facility Safety ; Crime Safety ; Fire Safety ; Inundation Safety
KCI등재
학술저널
79-108(3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대구지하철 화재 참사가 발발한지 15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대구시민들이 지하철 안전에 대해 느끼는 인식수준을 점검하고자 이루어진 연구이다. 이에 지하철 안전을 이루는 구성...
이 연구는 대구지하철 화재 참사가 발발한지 15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대구시민들이 지하철 안전에 대해 느끼는 인식수준을 점검하고자 이루어진 연구이다. 이에 지하철 안전을 이루는 구성요소를 크게 네 범주(시설물 안전, 범죄안전, 화재안전, 침수안전)로 나누고, 종속변수에 전반적 안전을 설정하여,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어떠한 영향관계를 보이는지 실증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대구 지하철 안전사고 및 범죄예방을 위한 노력에 대한 종합적 평가의 성격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분석방법은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이루어졌고, 분석결과 범죄안전(β=.187)이 전반적 안전에 가장 큰 영향관계를 보이고, 그 다음으로 시설물 안전(β=.176), 화재안전(β=.087), 침수안전(β=.081) 순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통계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제시한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먼저 범죄예방을 위해서는 첫째, 지하철 경찰인력 증원 내지 효율적 활용 방안이 필요하다. 하지만, 지하철 경찰인력을 증원할 수 없다면, 인력의 탄력적 운영방식을 통해 시간대별 맞춤식 치안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지하철 역사 내 범죄사각지대에 대한 철저한 분석을 통해 CCTV를 확대하고, 이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인력 증원도 뒤따라야 한다. 또한 현재는 전동차 내 CCTV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지만, 법 개정 이전 제작된 전동차의 경우, CCTV가 없는 경우가 많아, 이에 대한 대책도 필요하다.
시설물 안전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첫째, 시설물 관리 체크리스트 점검에 의한 안전 준칙 컨트롤과 노후 전동차와 시설물에 대한 교체작업, 그리고 스마트형 통합관제센터를 통한 안전 컨트롤 타워 기능 구축 등이 요망된다. 둘째, 안전문제를 담당한 전담인력 확충과 기존 행정업무 중심의 역무실을 새로운 형태로의 안전센터 개편전환 노력이 병행되어야 한다. 셋째, 안전에 대한 비상 매뉴얼 제·개정을 통해 안전 대비 시뮬레이션 체계 확립이 필요하다.
화재안전을 위해서는 성능기준 설계(performance based design)를 통한 설비안전 확보와 사고 발생시 능동적이고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체계화된 교육 및 훈련시스템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침수안전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사고 예비단계에서부터 집중호우로 인한 문제 발생이 일어나지 않도록 기상청과의 스마트 연계를 통한 기상상황 수시 점검이 필요하며, 지하철 출입구 주변 하수관로나 맨홀에 배수문제가 없는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현재는 차수판(water stop) 설치를 통해 외부 출구로부터의 빗물 유입을 막도록 하고 있으나, 이 경우 지하철 관계자가 일일이 차수판을 옮겨 작업하는 형태로 되어 있어, 쉬운 문제만은 아니다. 따라서 이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천병철, "지하철범죄의 현황 및 특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2000
2 노성훈, "지하철범죄 예방전략 : 서울 지하철의 성범죄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2 (12): 190-205, 2012
3 김길동, "지하철 역사 안전사고 조사를 통한 유형 분석에 관한 연구" 261-263, 2005
4 박성신, "지하철 안전사고에 대응한 객차 내 정보디자인 개선방향 연구 : 부산 지하철을 대상으로" 경성대학교 디지털디자인전문대학원 2012
5 최성호, "지하철 사건사고의 문제와 안전체계 구축 방향" 49 : 51-66, 2014
6 국토해양부, "지하공간 활용 및 관리개선 연구" 국토해양부 2008
7 안재현, "지하공간 침수피해 상황 및 방지대책" 39 (39): 69-74, 2006
8 나욱정, "지하공간 비상 유도등의 성능평가 및 피난유도 향상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2 (22): 295-302, 2006
9 김경남, "지하공간 리모델링 디자인 체크리스트 개발 연구: 서울시 공공지하공간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2017
1 천병철, "지하철범죄의 현황 및 특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2000
2 노성훈, "지하철범죄 예방전략 : 서울 지하철의 성범죄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2 (12): 190-205, 2012
3 김길동, "지하철 역사 안전사고 조사를 통한 유형 분석에 관한 연구" 261-263, 2005
4 박성신, "지하철 안전사고에 대응한 객차 내 정보디자인 개선방향 연구 : 부산 지하철을 대상으로" 경성대학교 디지털디자인전문대학원 2012
5 최성호, "지하철 사건사고의 문제와 안전체계 구축 방향" 49 : 51-66, 2014
6 국토해양부, "지하공간 활용 및 관리개선 연구" 국토해양부 2008
7 안재현, "지하공간 침수피해 상황 및 방지대책" 39 (39): 69-74, 2006
8 나욱정, "지하공간 비상 유도등의 성능평가 및 피난유도 향상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2 (22): 295-302, 2006
9 김경남, "지하공간 리모델링 디자인 체크리스트 개발 연구: 서울시 공공지하공간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2017
10 정도천, "지하 공간 화재 시 대피를 위한 사인 시스템 디자인" 국민대학교 2015
11 부경대학교, "지하 공간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 소방방재청 2008
12 건설교통부, "지하 life-line설치 공간의 지능형 화재 감지 및 소화시스템개발연구보고서"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2004
13 조응래, "지방자치단체 교통안전 투자예산의 효율적인 확보방안" 5 (5): 75-87, 2008
14 박동균, "범죄예방을 위한 CCTV 운용방안 연구: Y대학교 원룸촌사례를 중심으로" 7 (7): 1-23, 2005
15 박동균, "미국 경찰의 위기관리 활동의 특징과 함의" 한국경찰연구학회 12 (12): 103-124, 2013
16 김성준, "문화기반 도시재생을 위한 지하도시공간 환경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8) : 21-30, 2009
17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memberNo=34003200&volumeNo=6740337"
18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71122_0000155946&cID=10810&pID=10800"
19 "http://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937930"
20 "http://www.fpn119.co.kr/sub_read.html?uid=97055"
21 박동균, "CPTED를 활용한 대학 캠퍼스의 안전관리전략" 2010
22 배윤식, "2010 서울시 지하공간의 안전체계 구축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10
윤리적 리더십, 하위문화와 경찰관의 조직 내 일탈행동 인식간 영향관계
SNS(Social Network Service) 기반 사이버범죄 피해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8 | 0.38 | 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5 | 0.46 | 0.504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