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성용은, "한국 사이버 음란채팅의 실태분석과 민간경비 영역의 대응방안" 한국민간경비학회 14 (14): 111-138, 2015
2 이윤호, "피해자학" 박영사 2007
3 NY중앙일보, "페이스북에 공개하면 안 되는 5가지, 전화번호·주소 외 직장 정보도 범죄 타겟"
4 매경이코노미, "트위터, 페이스북, 채팅앱 등 SNS의 그늘... 음란물, 성매매 도구로 전락하나"
5 이선형, "청소년의 오프라인 일탈과 온라인 일탈에서 인지된 집합효율성의 통제 효과"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5 (25): 1-33, 2014
6 정완, "인터넷대란 피해의 심각성과 대응방안" 한국피해자학회 18 (18): 207-228, 2010
7 성용은, "오프라인과 온라인상 청소년 언어폭력 비교" 한국치안행정학회 13 (13): 63-88, 2017
8 김우남, "스마트폰 시대의 청소년 사이버 범죄 예방에 관한 연구" 2 (2): 7-13, 2014
9 이성식, "사이버범죄학" 도서출판 그린 2017
10 정완, "사이버범죄의 현상" 한국형사정책학회 19 (19): 9-32, 2007
1 성용은, "한국 사이버 음란채팅의 실태분석과 민간경비 영역의 대응방안" 한국민간경비학회 14 (14): 111-138, 2015
2 이윤호, "피해자학" 박영사 2007
3 NY중앙일보, "페이스북에 공개하면 안 되는 5가지, 전화번호·주소 외 직장 정보도 범죄 타겟"
4 매경이코노미, "트위터, 페이스북, 채팅앱 등 SNS의 그늘... 음란물, 성매매 도구로 전락하나"
5 이선형, "청소년의 오프라인 일탈과 온라인 일탈에서 인지된 집합효율성의 통제 효과"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5 (25): 1-33, 2014
6 정완, "인터넷대란 피해의 심각성과 대응방안" 한국피해자학회 18 (18): 207-228, 2010
7 성용은, "오프라인과 온라인상 청소년 언어폭력 비교" 한국치안행정학회 13 (13): 63-88, 2017
8 김우남, "스마트폰 시대의 청소년 사이버 범죄 예방에 관한 연구" 2 (2): 7-13, 2014
9 이성식, "사이버범죄학" 도서출판 그린 2017
10 정완, "사이버범죄의 현상" 한국형사정책학회 19 (19): 9-32, 2007
11 곽병일, "사이버범죄의 유형 분류에 관한 연구: 치안 현장의 실무적 관점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2015
12 정완, "사이버범죄론" 법원사 2010
13 이춘화, "사이버범죄로부터 청소년 보호를 위한 법ㆍ제도 개선방안" 한국소년정책학회 12 : 19-46, 2009
14 조선일보, "사이버따돌림 당한 학생 학교폭력 피해자보다 자살기도율 1.5배"
15 이민식, "사이버공간에서의 범죄피해"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0
16 김준홍, "사이버 커뮤니케이션에서 행위단서로서 범죄피해 경험이 피해 예방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수정된 건강신념모형을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7 (27): 5-46, 2010
17 김잔디, "범죄피해자 지원방안 ― 민간피해자지원단체의 활성화를 중심으로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18 (18): 213-250, 2010
18 신의기, "범죄예방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7 (7): 15-261, 2007
19 경기일보, "도넘은 ‘SNS 성희롱’...범죄행위 인식 확산돼야"
20 이정환, "대학생의 사이버범죄피해가 가해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반긴장이론의 검증과 그 성별차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5 (25): 137-158, 2014
21 김정현, "국제 사이버범죄학" 도서출판 그린 2018
22 신현기, "경찰학사전" 법문사 2012
23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사이버범죄 통계자료"
24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 침해 신고 및 상담사례집" 2013
25 국민일보, "英 청소년 18.4% ‘사이버따돌림’ 경험"
26 이데일리, "‘SNS상 성폭력’ 프레이프(Frape), 첫 법 처벌 받았다"
27 Reep‐van den Bergh, "Victims of Cybercrime in Europe: a Review of Victim Surveys" 7 (7): 1-15, 2018
28 McQuade, III, "Understnading and Managing Cybercrime" Pearson Education, Inc 2006
29 Ricketts, Melissa L, "Understnading and Managing Cybercrime" CRC Press 2014
30 서울신문, "SNS악용 ‘사이버 따돌림’ 처벌법 추진"
31 이상현, "SNS상 개인정보 무단 수집․보관․유포 및타인사칭에 대한 형사법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5 (25): 1-33, 2014
32 김봉수, "SNS범죄에 대한 의미론적 고찰" 법학연구소 33 (33): 169-193, 2013
33 최진혁,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위험성 및 Policing(경찰활동)에 미칠 영향에 대한 시론적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 (29) : 301-336, 2011
34 윤해성, "SNS 환경에서의 범죄현상과 형사정책적 대응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4
35 정보통신정책연구원, "SNS 이용추이 및 이용행태 분석 보고서" 2015
36 최승재, "SNS 서비스 제공자 책임의 기술적 보호조치" 1 : 33-53, 2010
37 Choi, Kyung-shick, "Risk Factors in Computer-Crime Victimization" LFB Scholarly Publishing LLC 2010
38 Choucria, Nazli, "Institutions for Cyber Security: International Responses and Global Imperatives" 20 (20): 96-212, 2014
39 Taylor, Robert W, "Digital Crime and Digtal Terrorism" Pearson Education, Inc 2011
40 Choi, Kyung-shick, "Demographic Variables and Risk Factors in Computer-crime: An Empirical Assessment" 18 (18): 369-377, 2016
41 Choi, Kyung-shick, "Cybercriminology and Digital Investigation (Vol. 1)" LFB Scholary 2015
42 Back, Sinchul, "Capable guardianship and crisis of identity theft in the United States: Expanding cyber-routine activities theory" 2 (2): 16-24, 2017
43 Weijer, Steve G.A, "Big Five Personality Traits of Cybercrime Victims" 20 (20): 407-402, 2017
44 Min, Kyoung-Sik,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n Cyber Security Strategy" 9 (9): 13-20, 2015
45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7 인터넷이용실태조사" 2018
46 경찰청, "2016 경찰통계연보"
47 미래창조과학부, "2014 인터넷이용실태조사"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