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서언
- 2. 부마민주항쟁 진상규명을 위한 구술작업의 경험
- 3. 구술을 통한 부마민주항쟁의 재현
- 4. 부마민주항쟁진상규명위원회의 역할과 구술사업
- 5. 부마민주항쟁 구술사 연구의 한계와 과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168084
2022
Korean
학술저널
124-133(1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일본군‘위안부’ 문제해결운동과 구술사 : 김학순 공개증언과 일본 내 파장(波長)
지역민주화운동사에서 구술사의 역할과 과제 : 인천 사례를 중심으로
1980년대 국가통치와 광산촌 공동체의 기억 : 1980년 사북사건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