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본 군국주의의 한 내면(內面): 이시와라 간지(石原莞爾)에 있어 ‘세계최종전쟁론’과 ‘국방국가론’ = A Logic of Japanese Militarism: Focusing on Ishiwara Kanji(石原莞爾, 1889-1949)’s Discourse of a “Final War in the World” and “National Defense Stat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498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shihara Kanji was a Imperial Japanese Army’s elite military officer who graduated Japanese Military Academy and Imperial Army College at a top ranking till the 1920s. When Japanese Imperial Army began to conduct the Manchuria Incident in 1931 and Sino-Japanese War in 1937, he deeply involved in projecting such plans. However, evaluation of his thought and acts was divided sharply: some praises him as a proponent of Japanese pacifism objecting Imperial Japan’s war against China in 1937; others criticized his behaviors and thoughts which paved the way to Imperial Japan’s aggression of Asian mainland.
      This paper tries to re-organize and analysize his views on ‘the World Final War’, ‘National Defense State’ and “East Asia Confed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evolution of Imperial Japan’s continental expansion.
      His views on ‘the World Final War’ which foresaw a final war betwee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at the final state of human history was originated from the Nichiren, a Japanese religious faction’s world view.
      Based on the conception of a Final World War, Ishihara Kanji urge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National Defense State internally and an East Asia Confederation externally with an aim of mustering Imperial Japan’s capabilities in terms of military and diplomacy.
      In that sense, his political and military ideas can be evaluated as one of exemplary views reflecting Imperial Japan’s logic of militarism.
      번역하기

      Ishihara Kanji was a Imperial Japanese Army’s elite military officer who graduated Japanese Military Academy and Imperial Army College at a top ranking till the 1920s. When Japanese Imperial Army began to conduct the Manchuria Incident in 1931 and S...

      Ishihara Kanji was a Imperial Japanese Army’s elite military officer who graduated Japanese Military Academy and Imperial Army College at a top ranking till the 1920s. When Japanese Imperial Army began to conduct the Manchuria Incident in 1931 and Sino-Japanese War in 1937, he deeply involved in projecting such plans. However, evaluation of his thought and acts was divided sharply: some praises him as a proponent of Japanese pacifism objecting Imperial Japan’s war against China in 1937; others criticized his behaviors and thoughts which paved the way to Imperial Japan’s aggression of Asian mainland.
      This paper tries to re-organize and analysize his views on ‘the World Final War’, ‘National Defense State’ and “East Asia Confed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evolution of Imperial Japan’s continental expansion.
      His views on ‘the World Final War’ which foresaw a final war betwee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at the final state of human history was originated from the Nichiren, a Japanese religious faction’s world view.
      Based on the conception of a Final World War, Ishihara Kanji urge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National Defense State internally and an East Asia Confederation externally with an aim of mustering Imperial Japan’s capabilities in terms of military and diplomacy.
      In that sense, his political and military ideas can be evaluated as one of exemplary views reflecting Imperial Japan’s logic of militaris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시와라 간지(石原莞爾, 1889-1949)는 제국 일본의 육군 엘리트 장교였다. 육사와 육군대학을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고, 독일 군사유학까지다녀온 뒤에 만주사변과 중일전쟁 시기에 일본의 군사 및 대외정책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인물이다.
      그런데 그에 대해 아시아 침략주의자란 평가와, 중국과의 우호관계를 중시한 평화주의자라는 평가가 엇갈리고 있다. 본 연구는 이시와라 간지에대한 상반된 평가를 염두에 두면서, 3개의 시기, 즉 만주사변, 중일전쟁, 태평양전쟁의 시기로 나누어, 각각의 시기마다 그의 최종전쟁론, 동아연맹론, 그리고 국방국가론의 담론들이 실제 일본의 전쟁 및 대외정책과 어떻게 교호작용을 하면서 형성되고 전개되어 갔는지를 재구성하려고 하였다.
      ‘최종전쟁론’이란 일련종의 국체론 교의 및 독일 전쟁사관에 영향받아 형성된 것으로 일본이 동양 왕도(王道)문명의 대표로서, 서양 패도(覇道)문명의 대표인 미국과 세계통일의 이상을 놓고 결전을 벌이게 될 것이라는인식이다. 이시와라는 이러한 인식에 입각하여 만주사변을 획책하였고, 그입장은 중일전쟁과 태평양전쟁의 국면에서도 지속되었다. 또한 ‘최종전쟁’ 대비를 위해 안으로는 ‘국방국가’ 건설, 밖으로는 ‘동아연맹’ 결성이라는 ‘쇼와유신(昭和維新)’의 과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일관되게 주장하였다.
      이상의 서술에서 드러났듯이, 이시와라는 만주사변 이후 국제체제에서이탈한 일본의 현상변경적 대외정책, 군국주의적 국가관과 전쟁정책을 주도하고 대변한 대표적 정책실행자이자 이데올로그였다. 이시와라의 주요견해들은, 고노에 후미마로(近衛文麿) 등의 담론과 더불어, 일본 군국주의의 내적 논리를 구성하는 주요 지표로 간주될 수 있다.
      번역하기

      이시와라 간지(石原莞爾, 1889-1949)는 제국 일본의 육군 엘리트 장교였다. 육사와 육군대학을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고, 독일 군사유학까지다녀온 뒤에 만주사변과 중일전쟁 시기에 일본의 ...

      이시와라 간지(石原莞爾, 1889-1949)는 제국 일본의 육군 엘리트 장교였다. 육사와 육군대학을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고, 독일 군사유학까지다녀온 뒤에 만주사변과 중일전쟁 시기에 일본의 군사 및 대외정책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인물이다.
      그런데 그에 대해 아시아 침략주의자란 평가와, 중국과의 우호관계를 중시한 평화주의자라는 평가가 엇갈리고 있다. 본 연구는 이시와라 간지에대한 상반된 평가를 염두에 두면서, 3개의 시기, 즉 만주사변, 중일전쟁, 태평양전쟁의 시기로 나누어, 각각의 시기마다 그의 최종전쟁론, 동아연맹론, 그리고 국방국가론의 담론들이 실제 일본의 전쟁 및 대외정책과 어떻게 교호작용을 하면서 형성되고 전개되어 갔는지를 재구성하려고 하였다.
      ‘최종전쟁론’이란 일련종의 국체론 교의 및 독일 전쟁사관에 영향받아 형성된 것으로 일본이 동양 왕도(王道)문명의 대표로서, 서양 패도(覇道)문명의 대표인 미국과 세계통일의 이상을 놓고 결전을 벌이게 될 것이라는인식이다. 이시와라는 이러한 인식에 입각하여 만주사변을 획책하였고, 그입장은 중일전쟁과 태평양전쟁의 국면에서도 지속되었다. 또한 ‘최종전쟁’ 대비를 위해 안으로는 ‘국방국가’ 건설, 밖으로는 ‘동아연맹’ 결성이라는 ‘쇼와유신(昭和維新)’의 과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일관되게 주장하였다.
      이상의 서술에서 드러났듯이, 이시와라는 만주사변 이후 국제체제에서이탈한 일본의 현상변경적 대외정책, 군국주의적 국가관과 전쟁정책을 주도하고 대변한 대표적 정책실행자이자 이데올로그였다. 이시와라의 주요견해들은, 고노에 후미마로(近衛文麿) 등의 담론과 더불어, 일본 군국주의의 내적 논리를 구성하는 주요 지표로 간주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정용, "만주사변과 이시하라 간지(石原莞爾)" 14 : 2006

      2 박영준, "러일전쟁 직후 일본 해군의 국가구상과 군사전략론 :사토 테츠타로(佐藤鐵太郞)『帝國國防史論』(1908)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6 (26): 285-312, 2004

      3 루덴돌프, "국가총력전" 재향군인회 1972

      4 高山信武, "陸軍大學校の戦略戦術教育" 芙蓉書房 2002

      5 島田俊彦, "關東軍:在滿陸軍の獨走" 中公新書 1965

      6 岡義武, "近衛文麿" 岩波新書 1972

      7 加藤陽子, "模索する1930年代:日米関係と陸軍中堅層" 山川出版社 1993

      8 佐藤賢了, "東條英機と太平洋戦争" 文藝春秋 1960

      9 石原莞爾, "最終戰爭論" 中公文庫 1993

      10 松本健一, "最終戰爭論" 中公文庫 1993

      1 이정용, "만주사변과 이시하라 간지(石原莞爾)" 14 : 2006

      2 박영준, "러일전쟁 직후 일본 해군의 국가구상과 군사전략론 :사토 테츠타로(佐藤鐵太郞)『帝國國防史論』(1908)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6 (26): 285-312, 2004

      3 루덴돌프, "국가총력전" 재향군인회 1972

      4 高山信武, "陸軍大學校の戦略戦術教育" 芙蓉書房 2002

      5 島田俊彦, "關東軍:在滿陸軍の獨走" 中公新書 1965

      6 岡義武, "近衛文麿" 岩波新書 1972

      7 加藤陽子, "模索する1930年代:日米関係と陸軍中堅層" 山川出版社 1993

      8 佐藤賢了, "東條英機と太平洋戦争" 文藝春秋 1960

      9 石原莞爾, "最終戰爭論" 中公文庫 1993

      10 松本健一, "最終戰爭論" 中公文庫 1993

      11 石原莞爾, "昭和維新論(1944)"

      12 三木淸, "昭和硏究會:ある知識人 集団の軌跡" TBSブリタニカ 1979

      13 寺崎英成, "昭和天皇獨白錄" 文藝春秋 1991

      14 北岡伸一, "日本陸軍と大陸政策, 1906-1928年" 東京大學出版會 1978

      15 北岡伸一, "日本の近代5:政党から軍部へ、1924ー1941" 中央公論新社 1999

      16 石原莞爾, "日本の国防"

      17 石原莞爾, "支那事變の解決"

      18 石原莞爾, "戰爭史大觀の序說" 中公文庫 1941

      19 石原莞爾, "戰爭史大觀" 中公文庫 1941

      20 佐高信, "戰爭史大觀" 中公文庫 1993

      21 大江志乃夫, "張作霖爆殺:昭和天皇の統帥" 中公新書 1989

      22 黒野耐, "帝国国防方針の研究" 総和社 2000

      23 波多野澄雄, "太平洋戰爭とアジア外交" 東京大學出版會 1996

      24 入江昭, "太平洋戦争の起原" 東京大学出版会 1991

      25 黒沢文貴, "大戦間期の日本陸軍" みすず書房 2000

      26 石原莞爾, "國防政治論"

      27 北一輝, "國家改造案原理大綱" みすず書房 1959

      28 Barnhart, Michael A., "Japan Prepare for Total War: The Search for Economic Security, 1919-1941" Cornell University Press 1987

      29 Peattie, Mark R., "Ishiwara Kanji and Japan's Confrontation with the West"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5

      30 Bix, Herbert P., "Hirohito and the Making of Modern Japan" Perennial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1 1.11 1.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 1 1.924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