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과학 수업의 형태가 대부분 탐구학습 위주로 진행됨에 따라 학생들은 실험실에서 여러 종류의 실험기구와 시약을 사용하게 되며, 과학실험실의 제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0362051
서울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학위논문(석사)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화학교육전공 , 2005. 8
2005
한국어
서울
iii, 57 p. : 삽도 ; 26 cm.
지도교수: 전승준
부록수록
단면인쇄임
참고문헌 : p. 4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일반적으로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과학 수업의 형태가 대부분 탐구학습 위주로 진행됨에 따라 학생들은 실험실에서 여러 종류의 실험기구와 시약을 사용하게 되며, 과학실험실의 제반...
일반적으로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과학 수업의 형태가 대부분 탐구학습 위주로 진행됨에 따라 학생들은
실험실에서 여러 종류의 실험기구와 시약을 사용하게 되며, 과학실험실의 제반 시설이나 여건이 충분히 갖추어지지 않은 가운데 여러 종류의 실험 기구와 시약 등 잠재적으로 위험한 물질을 다루게 되었다. 또한 경험이 부족하고 미숙한 다수의 학생들이 공동으로 실험을 진행하다 보면 실험 학습은 항상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내포하기 마련이다. 따라서 실험실내에서의 끊임없는 주의와 잠재적인 위험에 대한 인식을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소재 인문계 고등학교 5개교 학생 180명의 설문을 통해 화학실험중 발생된 사고의 행동에 관한 지식을 알 수 있었다.
대부분 학생들은 실험중 발생된 올바른 행동지식을 갖고 있지 않았으며 그에따른 원인을 학교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는 실험안전에 관련된 내용의 문제점과 학교 안전교육의 문제점으로 접근하여 이에대한 대책을
제시하려 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학교 실험중 사고발생시 올바른 행동조치를 통해 사고의 확대를 방지하고 더 나아가 실생활에 안전의식을 고취시킴으로, 왜 위험한 것인지에 대한 자가 안전의식을 증대시키고자 한다.
따라서 통일된 교과서 안전교육자료 제시와 안전 관련 교과내용이 적용되어야 하겠으며 이는 지속적인
교사들의 실험안전 교육연수와 함께 해야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