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요인분석을 이용한 기본공간정보 선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Selecting Geospatial Framework Data Using Factor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110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everal countries have built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NSDI) for information sharing among various field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of NSDI is framework data, which is the most commonly used geospatial data across various fields. Previous studies on the framework data suggest components based on frequency survey and case study. However, such research methods do not have objectivity in setting the components of the framework data. This research uses factor analysis with 104 medium-level layers from the most widely used National Base Map and 5 layers from the other sources including cadastre and aerial image. Each layer is scaled with usage level as four different patterns of 1) background data, 2) reference data, 3) base data, and 4) other data, respectively.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layers are grouped into 5 to 7 factors according to the patterns. ANOVA reveals that the mean differences between the factors with high values and the other factors with low values under each pattern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uch high value factors under each pattern consist of similar layers, close to identical, with those under the other categories. This research proposes framework data system, including transportation, building, hydrography, elevation, administrative district, digital orthoimagery, geodetic control, and cadastral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Proposed framework in this research will be a basis of establishing spatial data sharing system. For sharing proposed framework data in various fields, these data must be established and distributed as actual standard and also related future researches should be performed.
      번역하기

      Several countries have built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NSDI) for information sharing among various field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of NSDI is framework data, which is the most commonly used geospatial data across various fields. Previ...

      Several countries have built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NSDI) for information sharing among various field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of NSDI is framework data, which is the most commonly used geospatial data across various fields. Previous studies on the framework data suggest components based on frequency survey and case study. However, such research methods do not have objectivity in setting the components of the framework data. This research uses factor analysis with 104 medium-level layers from the most widely used National Base Map and 5 layers from the other sources including cadastre and aerial image. Each layer is scaled with usage level as four different patterns of 1) background data, 2) reference data, 3) base data, and 4) other data, respectively.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layers are grouped into 5 to 7 factors according to the patterns. ANOVA reveals that the mean differences between the factors with high values and the other factors with low values under each pattern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uch high value factors under each pattern consist of similar layers, close to identical, with those under the other categories. This research proposes framework data system, including transportation, building, hydrography, elevation, administrative district, digital orthoimagery, geodetic control, and cadastral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Proposed framework in this research will be a basis of establishing spatial data sharing system. For sharing proposed framework data in various fields, these data must be established and distributed as actual standard and also related future researches should be perform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디지털시대에 다양한 분야에서 공간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여러 국가들은 NSDI를 구축하고 있다. NSDI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기본공간정보로 다양한 분야에서 공통으로 공유되는 공간정보(콘텐트)를 의미한다. 여러 연구들이 공간정보 분야 전문가, 사용자 등을 대상으로 한 선호빈도 조사, 외국 사례조사 등으로 기본공간정보 구성항목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기본공간정보 항목 선정결과에 대한 객관적인 검증이 미흡하다. 본 연구는 요인분석을 이용한 통계적 검증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공통으로 공유되는 실체로 공간정보(콘텐트)가 무엇인지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국가기본도의 중분류 레이어 104개와 그 외에 다양한 분야에서 많이 사용하는 지적, 영상 등을 포함해 총 109개 레이어의 활용행태를 조사한다. 조사내용은 기본공간정보 활용행태의 특성인 배경자료, 기준자료, 기초자료로서 각 레이어가 사용되는 정도이다. 그리고 이외 다른 목적으로 사용빈도가 높은 기타의 경우를 조사한다. 요인분석 결과 각 활용행태에 따라 5-7개 요인집단들이 도출되었다. 각 활용행태의 요인집단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집단의 평균값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 활용행태에서 평균값이 높은 요인집단의 레이어 항목들은 거의 동일하다고 할 만큼 유사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교통(도로, 철도), 건물, 수계, 고도, 행정구역, 영상, 측량기준, 지적 등 8개의 주제를 중심으로 기본공간정보 구성체계를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기본공간정보를 구성하는 주제정의는 공간정보 공유체계를 구축하는 시작의 단추로 의미가 있다. 제안된 기본공간정보가 다양한 분야에서 공유되기 위해서 실제 표준 형태로 구축되고 유통되는 체계를 갖추어야 하며, 이와 관련된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한다.
      번역하기

      디지털시대에 다양한 분야에서 공간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여러 국가들은 NSDI를 구축하고 있다. NSDI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기본공간정보로 다양한 분야에서 공통으로 공유되는 공간정보(...

      디지털시대에 다양한 분야에서 공간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여러 국가들은 NSDI를 구축하고 있다. NSDI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기본공간정보로 다양한 분야에서 공통으로 공유되는 공간정보(콘텐트)를 의미한다. 여러 연구들이 공간정보 분야 전문가, 사용자 등을 대상으로 한 선호빈도 조사, 외국 사례조사 등으로 기본공간정보 구성항목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기본공간정보 항목 선정결과에 대한 객관적인 검증이 미흡하다. 본 연구는 요인분석을 이용한 통계적 검증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공통으로 공유되는 실체로 공간정보(콘텐트)가 무엇인지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국가기본도의 중분류 레이어 104개와 그 외에 다양한 분야에서 많이 사용하는 지적, 영상 등을 포함해 총 109개 레이어의 활용행태를 조사한다. 조사내용은 기본공간정보 활용행태의 특성인 배경자료, 기준자료, 기초자료로서 각 레이어가 사용되는 정도이다. 그리고 이외 다른 목적으로 사용빈도가 높은 기타의 경우를 조사한다. 요인분석 결과 각 활용행태에 따라 5-7개 요인집단들이 도출되었다. 각 활용행태의 요인집단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집단의 평균값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 활용행태에서 평균값이 높은 요인집단의 레이어 항목들은 거의 동일하다고 할 만큼 유사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교통(도로, 철도), 건물, 수계, 고도, 행정구역, 영상, 측량기준, 지적 등 8개의 주제를 중심으로 기본공간정보 구성체계를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기본공간정보를 구성하는 주제정의는 공간정보 공유체계를 구축하는 시작의 단추로 의미가 있다. 제안된 기본공간정보가 다양한 분야에서 공유되기 위해서 실제 표준 형태로 구축되고 유통되는 체계를 갖추어야 하며, 이와 관련된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Kim, K. R., "The Study on the Strategies for the 2nd National Framework Data Project"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NGII) 2005

      2 Sagong, H. S., "Supporting Research of National GIS in 2006 :Integrated Management of Spatial Framework Data"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2007

      3 Woo, J. Y., "Research of Quality Improvement of Establishing Spatial Framework Data"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NGII) 2001

      4 Park, K. Y., "Research and Pilot Project of Establishing Spatial Framework"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NGII) 2001

      5 Shin, D. B., "Research about Establishing Promotion Strategy of Spatial Framework Data"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NGII) 2002

      6 Lee, H. Y, "Research Methodology" Cheongram 2012

      7 Spatial Technologies Industry Association, "Phase 1 report - Increase private sector awareness of, and enthusiastic participation in" the National Spatial Data Infra Structure(NSDI) 6-1-6-6, 2001

      8 Promotional Committee of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System, "Master Plan of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System Phase 2" 2000

      9 Steven M. Frank, "Framework Data Sets for the NSDI" National Center for Geographic Information and Analysis(NCGIA) 1995

      10 David L. Tulloch, "Exploratory Studies fo the NSGIC/FGDC Framework Survey: LOOKING AT THE STATE OF THE NATION" The Universities Consortium for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s and The Federal Geographic Data Committee 2000

      1 Kim, K. R., "The Study on the Strategies for the 2nd National Framework Data Project"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NGII) 2005

      2 Sagong, H. S., "Supporting Research of National GIS in 2006 :Integrated Management of Spatial Framework Data"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2007

      3 Woo, J. Y., "Research of Quality Improvement of Establishing Spatial Framework Data"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NGII) 2001

      4 Park, K. Y., "Research and Pilot Project of Establishing Spatial Framework"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NGII) 2001

      5 Shin, D. B., "Research about Establishing Promotion Strategy of Spatial Framework Data"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NGII) 2002

      6 Lee, H. Y, "Research Methodology" Cheongram 2012

      7 Spatial Technologies Industry Association, "Phase 1 report - Increase private sector awareness of, and enthusiastic participation in" the National Spatial Data Infra Structure(NSDI) 6-1-6-6, 2001

      8 Promotional Committee of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System, "Master Plan of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System Phase 2" 2000

      9 Steven M. Frank, "Framework Data Sets for the NSDI" National Center for Geographic Information and Analysis(NCGIA) 1995

      10 David L. Tulloch, "Exploratory Studies fo the NSGIC/FGDC Framework Survey: LOOKING AT THE STATE OF THE NATION" The Universities Consortium for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s and The Federal Geographic Data Committee 2000

      11 Park, J. T., "Establishment of Korean spatial data infrastructure model and study of globalization strategy"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KRIHS) 2009

      12 Park, K. Y., "Establishment and Pilot Research of Spatial Framework Data Phase 2"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NGII) 2002

      13 The White House, Executive Order 12906, "Coordinating Geographic Data Acquisition and Access: The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14 Office of Management and Budget, "Circular No. A-16 Revised, Coordin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and Related Spatial Data Activities"

      15 Choe, B. N., "Basis Research of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System"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08

      16 Choe, B. N., "A study on the 2nd National GIS Master Plan : Startegies and Tasks for the Development of Digital Korea"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KRIHS) 2000

      17 Kim, Y. P., "A Study on Upbringing and Supporting of GIS industry"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KRIHS) 2001

      18 Choe, B. N., "A Pilot Study on Building Geospatial Databas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KRIHS) 1997

      19 FGDC, "2013 Annual Repor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9-01-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간정보학회 -> 대한공간정보학회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8-0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간정보학회지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KCI등재
      2016-01-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7-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간정보학회 논문지 -> 한국공간정보학회지 KCI등재
      2010-05-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GIS학회 -> 한국공간정보학회
      영문명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ssociation Of Korea ->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KSIS)
      KCI등재
      2010-05-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GIS학회지 -> 한국공간정보학회 논문지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ssociation of Korea -> 미등록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 1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61 0.992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