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獨體”,“合體” 源流及其應用 = The origin of DUTI and HETI as well as their utiliz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453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독체자”와 “합체자”는 한자 교육에서 항상 만나게 되는 상대적 개념이다. 그런 데 여기서 “체”란 무엇인가? 이전에 이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가 없었다. 본문은 이 논의를 아래의 세 방향에서 진행하였다. 우선 “독체자”와 “합체자”의 원류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체”의 의미를 밝히려 하였다. 허신의 “문”과 “자”는 문자의 역사적 발전 단계에서 나온 것으로, ‘문’은 상형 단계의 전체 모양을 설명하는 형식의 구조를 가지고 있는 문자를 지칭하며, ‘자’는 글자의 구성 요소를 조합하여 글자를 만들어 내는 부호 문자 단계의 문자를 말한다. 그와 관련된 “독체”와 “합체”는 글자를 만들어 내는 것과 글자를 구성하는 두 가지 방면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두 번째는 학계에서는 이에 대해 각기 다른 분석의 각도로부터 시작한 다양한 논의가 있었는데 이에 대해 논증하였다. 그 다음으로 “독체”와 “합체”와 관련된 한자자형구조 분석법을 서술하였다. 이 분석은 두 가지 방법으로 진행하였는데, 첫째는 구조 기능 분석을 통해 글자를 구성하는 구건이 어떤 기능으로 글자의 구성에 참여하였는가를 밝히는 것이었다. 두 번째는 자소 분석법으로 자형의 조합 요소에 집중해 보면 어떤 경우는 구 건의 기능성과는 일정한 관계가 없다. 다음으로 현대한자학과 중국어 국제 교육 영역에서 구체적으로 “독체”와 “합 체”를 사용하는 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서술하였다. 현대한자학에서는 구조 기능 분석과 자소 분석이 결합된 양상으로 나타나며, 중국어 국제 교육의 영역에서는 자소 분석을 따르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독체”는 한자의 기능 생성성에만 집중되 어지고, “합체”는 구조의 분석에만 집중되어짐을 알 수 있었다. 이런 특징을 잘 살려 고금 한자의 형태를 분석하고 이용하는 것은 효과적인 교육 방법이 될 수 있다.
      번역하기

      “독체자”와 “합체자”는 한자 교육에서 항상 만나게 되는 상대적 개념이다. 그런 데 여기서 “체”란 무엇인가? 이전에 이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가 없었다. 본문은 이 논의를 아래의 세 ...

      “독체자”와 “합체자”는 한자 교육에서 항상 만나게 되는 상대적 개념이다. 그런 데 여기서 “체”란 무엇인가? 이전에 이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가 없었다. 본문은 이 논의를 아래의 세 방향에서 진행하였다. 우선 “독체자”와 “합체자”의 원류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체”의 의미를 밝히려 하였다. 허신의 “문”과 “자”는 문자의 역사적 발전 단계에서 나온 것으로, ‘문’은 상형 단계의 전체 모양을 설명하는 형식의 구조를 가지고 있는 문자를 지칭하며, ‘자’는 글자의 구성 요소를 조합하여 글자를 만들어 내는 부호 문자 단계의 문자를 말한다. 그와 관련된 “독체”와 “합체”는 글자를 만들어 내는 것과 글자를 구성하는 두 가지 방면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두 번째는 학계에서는 이에 대해 각기 다른 분석의 각도로부터 시작한 다양한 논의가 있었는데 이에 대해 논증하였다. 그 다음으로 “독체”와 “합체”와 관련된 한자자형구조 분석법을 서술하였다. 이 분석은 두 가지 방법으로 진행하였는데, 첫째는 구조 기능 분석을 통해 글자를 구성하는 구건이 어떤 기능으로 글자의 구성에 참여하였는가를 밝히는 것이었다. 두 번째는 자소 분석법으로 자형의 조합 요소에 집중해 보면 어떤 경우는 구 건의 기능성과는 일정한 관계가 없다. 다음으로 현대한자학과 중국어 국제 교육 영역에서 구체적으로 “독체”와 “합 체”를 사용하는 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서술하였다. 현대한자학에서는 구조 기능 분석과 자소 분석이 결합된 양상으로 나타나며, 중국어 국제 교육의 영역에서는 자소 분석을 따르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독체”는 한자의 기능 생성성에만 집중되 어지고, “합체”는 구조의 분석에만 집중되어짐을 알 수 있었다. 이런 특징을 잘 살려 고금 한자의 형태를 분석하고 이용하는 것은 효과적인 교육 방법이 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rough observing WEN and ZI that elucidated in SHUOWENJIEZI, this thesis definates TI as construction unit in Character structure. It relates two Chinese Character systems,one hieroglyphic system,the other one symbol system. On the base of TI, there are two kinds of analysis methods that have an important role in modern Character study and teaching, one standing at the point of Character constructure and function, the other being concerned with Character constituted units. Analogic laws is beneficial to teaching penetrating ancient and modern Chinese Character.
      번역하기

      Through observing WEN and ZI that elucidated in SHUOWENJIEZI, this thesis definates TI as construction unit in Character structure. It relates two Chinese Character systems,one hieroglyphic system,the other one symbol system. On the base of TI, there ...

      Through observing WEN and ZI that elucidated in SHUOWENJIEZI, this thesis definates TI as construction unit in Character structure. It relates two Chinese Character systems,one hieroglyphic system,the other one symbol system. On the base of TI, there are two kinds of analysis methods that have an important role in modern Character study and teaching, one standing at the point of Character constructure and function, the other being concerned with Character constituted units. Analogic laws is beneficial to teaching penetrating ancient and modern Chinese Charact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黃侃, "黃侃國學文集" 中華書局, 2006

      2 鄭樵, "通志-二十略" 中華書局, 1995

      3 馬敘倫, "讀金器刻辭" 中華書局, 1962

      4 王筠, "說文釋例" 中華書局, 1988

      5 陸宗達, "說文解字通論" 北京出版社, 1981

      6 段玉裁, "說文解字注" 上海古籍出版社,

      7 許慎, "說文解字" 中華書局, 1963

      8 孔廣居, "說文疑疑 卷上, 叢書集成 初編" 商務印書館,

      9 崔永華, "詞彙․文字研究與對外漢語教學" 北京語言大學出版社, 1997

      10 姚孝遂, "許慎與說文解字" 中華書局, 1983

      1 黃侃, "黃侃國學文集" 中華書局, 2006

      2 鄭樵, "通志-二十略" 中華書局, 1995

      3 馬敘倫, "讀金器刻辭" 中華書局, 1962

      4 王筠, "說文釋例" 中華書局, 1988

      5 陸宗達, "說文解字通論" 北京出版社, 1981

      6 段玉裁, "說文解字注" 上海古籍出版社,

      7 許慎, "說文解字" 中華書局, 1963

      8 孔廣居, "說文疑疑 卷上, 叢書集成 初編" 商務印書館,

      9 崔永華, "詞彙․文字研究與對外漢語教學" 北京語言大學出版社, 1997

      10 姚孝遂, "許慎與說文解字" 中華書局, 1983

      11 蘇培成, "現代漢字學綱要 增訂本" 北京大學出版社, 2001

      12 李運富, "漢字漢語論稿" 學苑出版社, 2008

      13 王寧, "漢字構形學講座" 上海教育出版社, 2002

      14 王鳳陽, "漢字學" 吉林文史出版社, 1989

      15 馬總, "意林, 四部叢刊初編子部" 上海商務印書館,

      16 李國英, "小篆形聲字研究" 北京師範大學出版社, 1996

      17 啟功, "古代字體論稿" 文物出版社, 1964

      18 馬敘倫, "六書解例" 商務印書館, 1933

      19 "六書故" 戴侗,

      20 姚孝遂, "中國文字學史" 吉林教育出版社, 1995

      21 胡樸安, "中國文字學史" 上海書店, 198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