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 중세(中世) 조운로(漕運路)와 도자기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 t is natural for the ceramic industry to distribute through ship by sea or river. Therefore, Asian countries such as China, Japan and East Asian, European and African countries as well as Korea have large numbers of salvaged ceramics and there have been studied 14 times including 'ShinAn' excavation and other researches in Korea.
      In particular, tens of thousands ceramics of the Goryeo Dynasty which had been salvaged in the southwestern part of Korea influenced new movement in Korean Ceramic History. Furthermore, metal goods as well as Mokgan(wooden document) have found with which has been affected much on the study upon types and formation of the ceramics as well as its circulation.
      According to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 it has been proved to be the most popular way to carry on the ceramics was by ship through its excavation background that over 50 percents of the artworks in the Goryeo Dynasty were from salvaged ships. It has been known that approximately 260 main places were in Jolla-do and Chungchung-do, which have been convenient to transport the works to GaeKyung or NamKyung where the demand for handicrafts were high through ship.
      It was the best way to carry as much as goods by marine transportation route, in another word, the marine transportation road for taxation, in the Goryeo Dynasty. Therefore, government properties from all over the country were collected in 13 storages, called 'Chang(倉)', 11 of which were in the southwestern shore of Korea and 2 of which were inland, and were loaded on the proper time. This shows that it was closely related that the way of ceramic industry development being influenced to the southwestern part of Korea and the establishment of Tax Regulation and the government control.
      That is to say, when it came to the late 10th century and the early 11th century when the Tax Regulation and the central government were accomplished, it might know that the ceramic industry around the southwestern part were vitalized much. Most of these places such as HaeNam, GoHung, GangJin, YoungGwang, BuAn, Boryoung etc were bound with the marine transportation road.
      At that time, since GangJin and BuAn had been on the same marine transportation system, they were produced and supplemented at the same time although few differences were found in some formative ways. Ceramics produced around GangJin area where the ceramic factories were started prior to BuAn area had influenced much to neighbored cities by its technical and formative ways. Among them, BuAn was the place where a ceramic factory was not found. Nevertheless, it might notice that YooChunRi, one of small village in BuAn, was the main village for the ceramic development in spite of under the official control.
      Ceramics from the salvaged ships, that is to say, which were excavated on the marine transportation road for taxation, were on the road, not reaching to the customers even yet. That is why it is quite difficult to recognize where they were from and they were heading for. It shows how important to study on the producing and consuming places as well as its circulation, which were resulted into the fact for its production and its circulation of the ceramic industry.
      번역하기

      I t is natural for the ceramic industry to distribute through ship by sea or river. Therefore, Asian countries such as China, Japan and East Asian, European and African countries as well as Korea have large numbers of salvaged ceramics and there have...

      I t is natural for the ceramic industry to distribute through ship by sea or river. Therefore, Asian countries such as China, Japan and East Asian, European and African countries as well as Korea have large numbers of salvaged ceramics and there have been studied 14 times including 'ShinAn' excavation and other researches in Korea.
      In particular, tens of thousands ceramics of the Goryeo Dynasty which had been salvaged in the southwestern part of Korea influenced new movement in Korean Ceramic History. Furthermore, metal goods as well as Mokgan(wooden document) have found with which has been affected much on the study upon types and formation of the ceramics as well as its circulation.
      According to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 it has been proved to be the most popular way to carry on the ceramics was by ship through its excavation background that over 50 percents of the artworks in the Goryeo Dynasty were from salvaged ships. It has been known that approximately 260 main places were in Jolla-do and Chungchung-do, which have been convenient to transport the works to GaeKyung or NamKyung where the demand for handicrafts were high through ship.
      It was the best way to carry as much as goods by marine transportation route, in another word, the marine transportation road for taxation, in the Goryeo Dynasty. Therefore, government properties from all over the country were collected in 13 storages, called 'Chang(倉)', 11 of which were in the southwestern shore of Korea and 2 of which were inland, and were loaded on the proper time. This shows that it was closely related that the way of ceramic industry development being influenced to the southwestern part of Korea and the establishment of Tax Regulation and the government control.
      That is to say, when it came to the late 10th century and the early 11th century when the Tax Regulation and the central government were accomplished, it might know that the ceramic industry around the southwestern part were vitalized much. Most of these places such as HaeNam, GoHung, GangJin, YoungGwang, BuAn, Boryoung etc were bound with the marine transportation road.
      At that time, since GangJin and BuAn had been on the same marine transportation system, they were produced and supplemented at the same time although few differences were found in some formative ways. Ceramics produced around GangJin area where the ceramic factories were started prior to BuAn area had influenced much to neighbored cities by its technical and formative ways. Among them, BuAn was the place where a ceramic factory was not found. Nevertheless, it might notice that YooChunRi, one of small village in BuAn, was the main village for the ceramic development in spite of under the official control.
      Ceramics from the salvaged ships, that is to say, which were excavated on the marine transportation road for taxation, were on the road, not reaching to the customers even yet. That is why it is quite difficult to recognize where they were from and they were heading for. It shows how important to study on the producing and consuming places as well as its circulation, which were resulted into the fact for its production and its circulation of the ceramic indust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까지의 조사 및 연구를 통해 보면 고려초부터 초선초까지 10~15세기 기간에 한반도 해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도자기의 제작과 유통을 국가적인 공납과 이를 위한 조운제의 시행에 시각을 맞추어 그 변화에 따른 실제 현황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접근하고자 하였다. 고려에서 정식을 조창을 설치하거나, 조창을 증설하거나, 또는 조창을 이설하는 사안을 기초로하여 국가의 공물로서 도자기의 제작지와 유통경로 등에 변화가 일어났다고 본다.
      그런데 조운제의 실시와 변경에 대한 기록은 있지만, 가마터를 이설하거나 어느 지역 도자기를 운송한다는 등의 기록은 거의 전무하다. 따라서 기록상의 자료와 실재하는 가마터 및 소비유적의 자료를 상호 교차 비교하는 방법을 사용하고자 하였다. 개경과 강화의 왕궁, 남경지역의 혜음원지을 비롯한 왕실관련 사찰과 관청, 분묘 등 다양한 성격의 소비유적에서는 많은 양의 고려시대 자기가 출토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적지 않은 유적에 대한 발굴과 보고서 작업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이와 같은 기초 유물데이터를 함께 대입하여 재해석함으로써 입체적으로 파악하는데 주력하였다.
      또 유물자료 가운데는 자체에 명문이나 年記를 가진 것들이 있다. 가장 대표적인 예로서 ‘淳化’銘이 있는 일련의 발굴자료들이다. 황해남도에서 발굴된 자료들에는 고려국가의 종묘에 제사지내기 위해 만들었으며, 감독 장인의 이름도 파악된다. 명문내용을 통해 그릇의 용도와 목적을 알 수 있게 하는 자료이다. 그런데 명문을 없지만 경기도 용인지역에서는 대형의 국가용 제기로 추정되는 다양한 청자들이 제작되고 있어 개경인근 가마들의 조업목적의 일면을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들 실물자료에 기록된 내용과 의미파악에 주력하면서 제작주체와 사용등을 살피고 아울러 제작지와 유통 경로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국내유적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반드시 국내출토 중국산 도자기 자료를 접하게 되므로, 고려와 같은 시기 중국으로부터 다양한 경로를 통해 전래되어 실제로 사용되거나 전하는 것들을 비교하였다. 박물관의 유물로 전하는 것 외에 분묘와 사찰, 왕궁유적 등에서 많은 양은 아니지만 빠짐없이 출토되는데, 이들 중국도자기는 국내산 자기와 사용에서 보완관계에 놓여 있는 경우가 많았다. 또 10세기 이후 시기별로 중국에서 유행하는 경향과 유사하게 국내의 동시대 유적에서 발견되었다. 이들 중국산 자기의 유입은 바로 서해를 중심에 두고 이루어졌던 동북아시아 海路의 流動속에서 이해할 수 있다. 고려는 직, 간접적으로 중국 자기의 제작기술 영향아래 항상 열려 있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해로에서 발견된 대표적 예로서 신안선은 2만점이 넘은 도자기를 박재하고 있었지만, 실은 국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용품이 아니었다. 고려의 조운 교통로 는 동아시아 물류에도 기여했을 것임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이 과정을 통해 어느정도 조운로의 경유지와 인근 육상교통로, 이를 잇는 다양한 유적에 대한 특성파악이 가능해졌다. 예컨대, 세부 지역별 가마의 개체수와 요업의 중심시기 및 상한하한 파악이 가능했다. 이 작업을 통해 한국중세 요장의 지역적 이동과 동시대성 등을 어느정도 짐작할 수 있었다. 또 소비유적의 특성에 따른 생산지의 추정 및 경로추정도 가능하여, 예를 들어 개경의 왕궁에서 어떤 지역에서 생산된 어떤 도자기를
      번역하기

      현재까지의 조사 및 연구를 통해 보면 고려초부터 초선초까지 10~15세기 기간에 한반도 해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도자기의 제작과 유통을 국가적인 공납과 이를 위한 조운제의 시행에 시각...

      현재까지의 조사 및 연구를 통해 보면 고려초부터 초선초까지 10~15세기 기간에 한반도 해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도자기의 제작과 유통을 국가적인 공납과 이를 위한 조운제의 시행에 시각을 맞추어 그 변화에 따른 실제 현황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접근하고자 하였다. 고려에서 정식을 조창을 설치하거나, 조창을 증설하거나, 또는 조창을 이설하는 사안을 기초로하여 국가의 공물로서 도자기의 제작지와 유통경로 등에 변화가 일어났다고 본다.
      그런데 조운제의 실시와 변경에 대한 기록은 있지만, 가마터를 이설하거나 어느 지역 도자기를 운송한다는 등의 기록은 거의 전무하다. 따라서 기록상의 자료와 실재하는 가마터 및 소비유적의 자료를 상호 교차 비교하는 방법을 사용하고자 하였다. 개경과 강화의 왕궁, 남경지역의 혜음원지을 비롯한 왕실관련 사찰과 관청, 분묘 등 다양한 성격의 소비유적에서는 많은 양의 고려시대 자기가 출토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적지 않은 유적에 대한 발굴과 보고서 작업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이와 같은 기초 유물데이터를 함께 대입하여 재해석함으로써 입체적으로 파악하는데 주력하였다.
      또 유물자료 가운데는 자체에 명문이나 年記를 가진 것들이 있다. 가장 대표적인 예로서 ‘淳化’銘이 있는 일련의 발굴자료들이다. 황해남도에서 발굴된 자료들에는 고려국가의 종묘에 제사지내기 위해 만들었으며, 감독 장인의 이름도 파악된다. 명문내용을 통해 그릇의 용도와 목적을 알 수 있게 하는 자료이다. 그런데 명문을 없지만 경기도 용인지역에서는 대형의 국가용 제기로 추정되는 다양한 청자들이 제작되고 있어 개경인근 가마들의 조업목적의 일면을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들 실물자료에 기록된 내용과 의미파악에 주력하면서 제작주체와 사용등을 살피고 아울러 제작지와 유통 경로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국내유적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반드시 국내출토 중국산 도자기 자료를 접하게 되므로, 고려와 같은 시기 중국으로부터 다양한 경로를 통해 전래되어 실제로 사용되거나 전하는 것들을 비교하였다. 박물관의 유물로 전하는 것 외에 분묘와 사찰, 왕궁유적 등에서 많은 양은 아니지만 빠짐없이 출토되는데, 이들 중국도자기는 국내산 자기와 사용에서 보완관계에 놓여 있는 경우가 많았다. 또 10세기 이후 시기별로 중국에서 유행하는 경향과 유사하게 국내의 동시대 유적에서 발견되었다. 이들 중국산 자기의 유입은 바로 서해를 중심에 두고 이루어졌던 동북아시아 海路의 流動속에서 이해할 수 있다. 고려는 직, 간접적으로 중국 자기의 제작기술 영향아래 항상 열려 있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해로에서 발견된 대표적 예로서 신안선은 2만점이 넘은 도자기를 박재하고 있었지만, 실은 국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용품이 아니었다. 고려의 조운 교통로 는 동아시아 물류에도 기여했을 것임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이 과정을 통해 어느정도 조운로의 경유지와 인근 육상교통로, 이를 잇는 다양한 유적에 대한 특성파악이 가능해졌다. 예컨대, 세부 지역별 가마의 개체수와 요업의 중심시기 및 상한하한 파악이 가능했다. 이 작업을 통해 한국중세 요장의 지역적 이동과 동시대성 등을 어느정도 짐작할 수 있었다. 또 소비유적의 특성에 따른 생산지의 추정 및 경로추정도 가능하여, 예를 들어 개경의 왕궁에서 어떤 지역에서 생산된 어떤 도자기를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