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홍기문, "향가해석" 사회과학원 1956
2 이임수, "향가와 서라벌 기행" 도서출판 박이정 2007
3 이임수, "한국문화의 원형에 대한 어원 연구" 21 : 1999
4 이병선, "한국고대국명지명 연구" 형설출판사 1982
5 이임수, "한국 시가문학사" 보고사 2014
6 양주동, "증정 고가연구" 일조각 1995
7 김민수, "우리말 어원사전" 태학사 1997
8 백문식, "우리말 어원 사전" 박이정 2014
9 권인한, "어휘" 16 : 2016
10 백낙천, "어문의 표준화와 성경 번역의 전개 양상 : 근대 계몽기와 일제 강점기를 중심으로" 동악어문학회 (72) : 9-36, 2017
1 홍기문, "향가해석" 사회과학원 1956
2 이임수, "향가와 서라벌 기행" 도서출판 박이정 2007
3 이임수, "한국문화의 원형에 대한 어원 연구" 21 : 1999
4 이병선, "한국고대국명지명 연구" 형설출판사 1982
5 이임수, "한국 시가문학사" 보고사 2014
6 양주동, "증정 고가연구" 일조각 1995
7 김민수, "우리말 어원사전" 태학사 1997
8 백문식, "우리말 어원 사전" 박이정 2014
9 권인한, "어휘" 16 : 2016
10 백낙천, "어문의 표준화와 성경 번역의 전개 양상 : 근대 계몽기와 일제 강점기를 중심으로" 동악어문학회 (72) : 9-36, 2017
11 경상북도, "신라의 언어와 문학" 2016
12 권인한, "신라국호 이표기와 한국한자음의 관계" 15 : 2001
13 채미하, "신라 국호의 양상과 ‘계림’" 신라사학회 (37) : 1-32, 2016
14 송은아, "성공적인 지역축제를 위한 스토리텔링의 도입– 산수유 축제를 중심으로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1 (11): 37-46, 2017
15 "삼국유사"
16 이장희, "삼국사기 삼국유사 소재 고유어 어휘에 대한 종합적 연구" 2014
17 "삼국사기"
18 송미영, "문화 자원을 활용한 지역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강화군 고려산 진달래축제를 중심으로 -" 한국문화융합학회 41 (41): 97-126, 2019
19 윤지영, "도시 콘텐츠를 스토리텔링하자" 149 : 2012
20 조철제, "국역 동경잡기" 계림문화재연구원 2014
21 최남희, "고대국어 표기 한자음 연구" 도서출판 박이정 1999
22 이장희, "고대국어 어휘 연구를 위한 기초 작업-텍스트와 자료의 이해-" 구결학회 (33) : 63-96, 2014
23 이근수, "고구려어와 신라어는 다른 언어인가" 177 : 1982
24 백두현, "경주말[語]의 보존과 활용 2" 경주문화원 부설 향토문화연구소 2017
25 이준환, "鄕札 表記字 漢字音 硏究의 回顧와 展望" 구결학회 (26) : 5-54, 2011
26 李基文, "新羅語의 ‘福’(童)에 대하여" 49.50 : 1991
27 姜憲圭, "國語學論文集: 姜憲圭 敎授 華甲紀念論文集" 2000
28 권인한, "俗地名과 국어음운사의 한 과제 -‘大丘’와 ‘達句火’의 관계를 중심으로-" 국어학회 40 : 21-42, 2002
29 兪昌均, "于亭朴恩用博士 回甲紀念論叢" 1987
30 도수희, "三國史記의 固有語에 관한 硏究" 20 : 1996
31 권인한, "『三國史記』·『三國遺事』 자료 연구의 방법과 실제 ― 고유명사 異表記에 의한 고대 한국한자음 연구를 중심으로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2) : 253-275, 2008
32 조재형, "‘아기’의 語原에 대한 再考察" 국제어문학회 (47) : 99-127, 2009
33 박선진, "‘경주’의 도시 이미지 분석과 향후 과제" 한국문화융합학회 42 (42): 479-505,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