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최경창 시에 나타난 닫힌 공간의 의미 = A Study on the Meaning of Closed Space Shown in Choi Gyong-Chang’s Poet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084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죽의 심리는 집단 무의식과 자기 원형 심상 등 여러 요인에 의해 형성됐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래서 고죽도 유교 강령이 뿌리 깊게 내린 시대정신과 상황의 틀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

      고죽의 심리는 집단 무의식과 자기 원형 심상 등 여러 요인에 의해 형성됐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래서 고죽도 유교 강령이 뿌리 깊게 내린 시대정신과 상황의 틀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었다. 결국 고죽의 詩는 當時 집단 무의식에 그의 타고난 원형심상이 작동함으로써 그의 심리작용이 표출된 結晶體임을 알 수 있었다. 본고는 이런 인식을 바탕으로 특히 닫힌 시적 공간에서 시에 드러난 고죽의 두 가지 심리 추이를 통해 고죽의 시 정신을 탐구했다.
      우선 고죽은 세상의 부조리한 면이나 자신의 질곡의 여정을 토로할 때면 닫힌 공간의 단절양상을 통해 진솔하게 그의 심상을 묘사하는 作詩法을 보였다. 이는 도가의 尙虛 문예관이 아닌 유가의 務實 문예관으로 그 실체를 선명하게 파악하여 지난 자신의 모습을 분명하게 드러내려는 장치였다. 또한 고죽은 이때에 닫힌 시적 공간을 배경으로 심리의 추이도 닫아가는 기법을 사용했는데, 이 역시 대상과 자신의 실태를 드러내 자연스럽게 자신의 의지를 표출하려는 의도였다. 이로써 고죽은 페르조나의 특성을 벗어버리고 자신의 진솔한 면모와 만났다. 결국 고죽은 세상의 부조리한 면이나 자신의 질곡의 여정과 여과 없이 조우해 그 실존에 대한 文藝美를 드러냈다.
      다음으로 고죽은 충의에 대한 의지나 인간에 대한 연민과 염원을 표출할 때면 닫힌 공간의 접속양상을 통해 적극적인 태도로 심리를 드러내는 作詩法을 보였다. 즉 고죽은 詩 속에 역사적 전고를 들어 충의에 대한 자신의 의지나 신념을 심층적으로 갈무리했다. 또한 고죽은 사랑하는 이들에 대한 애틋한 마음을 진솔하게 토로함으로써 진정한 정감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정감은 질곡의 삶을 살아가는 백성들을 대할 때면 더욱 핍진하게 드러났다. 이처럼 고죽은 詩를 통해 닫힌 공간의 접속양상으로 인간에 대한 따뜻한 숭고미를 일깨웠다. 그리고 이때의 공간은 신성 공간이자 치유의 공간이로서 고죽은 이 틈 속에서 삶의 희망과 염원을 노래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well-known that Go Juk’s psychology was derived from several factors including collective unconsciousness and his own imagery. Therefore, he could not be freed from the spirit of the age and the situation framework in which Confucian principle...

      It is well-known that Go Juk’s psychology was derived from several factors including collective unconsciousness and his own imagery. Therefore, he could not be freed from the spirit of the age and the situation framework in which Confucian principles were deeply rooted. After all, it was discovered that his poetry was resulted from his psychological action when his native imagery worked on collective unconsciousness. Based on the things mentioned abo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pirit of his poetry through his psychology revealed in his closed poetic space.
      First of all, Go Juk described his imagery transparently and honestly through severance of space in expressing absurdity of society and his journey of fetters. He intended to clearly show his own image by identifying himself based on falsehood as one of Confucian points of view. Also, he used a method of closing psychological change on the background of the closed poetic space. It was an intention to reveal his real identity and express his own will naturally. So, Go Juk was freed from characteristics of persona and faced with his honest identity. Readers were impressed by literary beauty when they encountered absurdity of society or Go Juk’s journey of fetters.
      Then, Go Juk gave a focus on psychology with positive attitude through connecting images of closed space while he expressed the will of loyalty and wish and compassion for humans. That is, Go Juk finished his will or faith with loyalty by presenting antique stories in his poetry. Also he expressed true affection to whom he loved honestly, not lunatically. Such feeling was more truly expressed when he met common people who lived a life of fetters. Thus, Go Juk reminded people of sublime beauty through connecting images of closed space in poetry. The space was space of holiness, sacrifice and healing, and was full of catharsis in which he sang hope and wish for lif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종대, "최경창의 시와 주정적 세계" 한국국어교육연구회 211-237, 2000

      2 변종현, "최경창 한시 연구" 동양한문학회 11 : 125-160, 1997

      3 정일권, "최경창 시에 나타난 시적 공간의 의미" 한국언어문학회 (95) : 237-262, 2015

      4 吳戰壘, "중국시학의 이해" 태학사 2003

      5 이중톈, "이중톈 미학 강의" 김영사 2011

      6 유육례, "예이츠와 최경창의 사랑의 시 연구" 한국예이츠학회 52 : 273-292, 2017

      7 Richard J. Gerrig, "심리학과 삶" 파이슨애듀케이션코리아 2013

      8 이부영, "분석심리학" 일조각 2015

      9 최상진, "동양심리학" 지식산업사 2002

      10 리빙하이, "동아시아 미학" 동아시아고대학 2010

      1 정종대, "최경창의 시와 주정적 세계" 한국국어교육연구회 211-237, 2000

      2 변종현, "최경창 한시 연구" 동양한문학회 11 : 125-160, 1997

      3 정일권, "최경창 시에 나타난 시적 공간의 의미" 한국언어문학회 (95) : 237-262, 2015

      4 吳戰壘, "중국시학의 이해" 태학사 2003

      5 이중톈, "이중톈 미학 강의" 김영사 2011

      6 유육례, "예이츠와 최경창의 사랑의 시 연구" 한국예이츠학회 52 : 273-292, 2017

      7 Richard J. Gerrig, "심리학과 삶" 파이슨애듀케이션코리아 2013

      8 이부영, "분석심리학" 일조각 2015

      9 최상진, "동양심리학" 지식산업사 2002

      10 리빙하이, "동아시아 미학" 동아시아고대학 2010

      11 김종서, "詩話에 나타난 三唐詩人에 대한 批評 樣相" 우리한문학회 17 (17): 309-358, 2007

      12 "朝鮮王朝實錄"

      13 "文選"

      14 屈原, "懷沙"

      15 許筠, "惺所覆瓿藁"

      16 김준옥, "崔白詩의 唐風 形成 背景" 한국시가문화학회 (31) : 161-188, 2013

      17 안병학, "崔慶昌의 詩世界와 삶의 安定性에 대한 懷疑" 翰林大學校泰東古典硏究所 2 : 91-124, 1986

      18 崔慶昌, "孤竹集"

      19 조영임, "孤竹 崔慶昌의 風格과 詩世界" 개신어문학회 16 : 197-225, 1999

      20 許筠, "國朝詩刪"

      21 司馬遷, "史記"

      22 김금숙, "三唐詩人의 詩에 나타난 世界 認識 硏究 - ‘길’에서의 시적 자아의 움직임을 中心으로" 한국한문고전학회 32 (32): 163-196, 2016

      23 조영임, "三唐詩人의 ‘仙界憧憬’에 대한 小考" 한국한시학회 (12) : 203-226,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9-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고시가문화학회 -> 한국시가문화학회
      영문명 :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 Poetry and Culture -> The Society of Korean Poetry and Culture
      KCI등재
      2015-09-2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고시가문화연구 -> 한국시가문화연구
      외국어명 : The Studies in Korean Classic Poetry and Culture -> The Studies in Korean Poetry and Cultur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7-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고시가문학회 -> 한국고시가문화학회
      영문명 :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 Poetry ->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 Poetry and Culture
      KCI등재
      2014-07-0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고시가연구 -> 한국고시가문화연구
      외국어명 : The Society Korean Classic Poetry -> The Studies in Korean Classic Poetry and Cultur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4 0.64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8 0.45 1.123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