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계선지능 아동의 자기표현과 긍정적 또래관계 경험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5506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경계선 지능 아동의 자기표현과 긍정적 또래관계 경험에 긍정적 변화로 나타나는지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는 서울 Y 대안학교에 재학 중으로 자발적 참여의사를 밝힌 아동 10명중 지속적으로 참여 가능한 4명을 최종 선정하였다. 집단미술치료는 2023년 8월 23일부터 12월 18일까지 주 1회 90분, 총 16회기로 두 명의 연구자가 치료사로서 두 그룹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연구자료는 기관 담임교사의 보고 및 사전 면담자료, 치료사의 회기평가 및 관찰일지, 사전·사후 동적 학교생활화(KSD) 그림 검사를 수집하였으며 두 연구자가 질적으로 분석하고 수퍼비전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확인하였다.
      결과 이를 통한 결과는 첫째, 회기별 진행 과정에서 자기이해 및 표현의 변화와 집단원 간 긍정적 상호작용에 대한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의 단계별 변화에서 또래관계에 대한 태도 변화를 관찰 할 수 있었다. 셋째, 사전·사후 KSD 그림검사에서 또래관계와 학교에 대한 인식의 긍정적인 변화를 발견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경계선지능 아동의 자기표현과 긍정적 또래관계 경험에 있어 ‘따로 또 같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집단미술치료의 효과를 확인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목적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경계선 지능 아동의 자기표현과 긍정적 또래관계 경험에 긍정적 변화로 나타나는지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는 서울 Y 대안학교에 재학 중...

      목적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경계선 지능 아동의 자기표현과 긍정적 또래관계 경험에 긍정적 변화로 나타나는지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는 서울 Y 대안학교에 재학 중으로 자발적 참여의사를 밝힌 아동 10명중 지속적으로 참여 가능한 4명을 최종 선정하였다. 집단미술치료는 2023년 8월 23일부터 12월 18일까지 주 1회 90분, 총 16회기로 두 명의 연구자가 치료사로서 두 그룹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연구자료는 기관 담임교사의 보고 및 사전 면담자료, 치료사의 회기평가 및 관찰일지, 사전·사후 동적 학교생활화(KSD) 그림 검사를 수집하였으며 두 연구자가 질적으로 분석하고 수퍼비전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확인하였다.
      결과 이를 통한 결과는 첫째, 회기별 진행 과정에서 자기이해 및 표현의 변화와 집단원 간 긍정적 상호작용에 대한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의 단계별 변화에서 또래관계에 대한 태도 변화를 관찰 할 수 있었다. 셋째, 사전·사후 KSD 그림검사에서 또래관계와 학교에 대한 인식의 긍정적인 변화를 발견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경계선지능 아동의 자기표현과 긍정적 또래관계 경험에 있어 ‘따로 또 같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집단미술치료의 효과를 확인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self-expression and positive peer relationship experiences of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at Y Alternative School in Seoul, targeting 10 children identified as showing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Among them, 4 participants who consistently attended therapy sessions were selected. The group art therapy was conducted over 16 sessions, once a week for 90 minutes, from August 23, 2023, to December 18, 2023.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ach led by two therapists, including the principal researcher. The sessions involved discussions with the teachers and parents of the participants, art therapy activities, and observational records. Qual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through content analysis and thematic interpretation.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rogram facilitated changes in emotional expression, communication, and peer interactions during the therapy process. Moreover, the children displayed positive shifts in attitudes towards self-expression and relationships with peers. The study identified noticeable progress in their ability to build positive peer relationships and enhanced self-expression capabilities.
      Conclusions The findings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group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in fostering positive developmental experiences in self-expression and peer relationships. This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new forms of therapeutic programs tailored to the needs of this population.
      번역하기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self-expression and positive peer relationship experiences of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at Y Alternative School i...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self-expression and positive peer relationship experiences of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at Y Alternative School in Seoul, targeting 10 children identified as showing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Among them, 4 participants who consistently attended therapy sessions were selected. The group art therapy was conducted over 16 sessions, once a week for 90 minutes, from August 23, 2023, to December 18, 2023.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ach led by two therapists, including the principal researcher. The sessions involved discussions with the teachers and parents of the participants, art therapy activities, and observational records. Qual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through content analysis and thematic interpretation.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rogram facilitated changes in emotional expression, communication, and peer interactions during the therapy process. Moreover, the children displayed positive shifts in attitudes towards self-expression and relationships with peers. The study identified noticeable progress in their ability to build positive peer relationships and enhanced self-expression capabilities.
      Conclusions The findings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group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in fostering positive developmental experiences in self-expression and peer relationships. This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new forms of therapeutic programs tailored to the needs of this popul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